음악/음악감상실
Clarinet Quintet in B Minor, Op.115
(Quintet for clarinet, two violins, viola and cello)
브람스 / 클라리넷 5중주 B단조, 작품115
Johannes Brahms, 1833-1897
전곡 연속듣기
Jozsef Balogh, clarinet
Jenoe Jando, piano
Csaba onczay, cello
Danubius String Quartet
1. Allegro (00:00)
2. Adagio (13:00)
3. Andantino (24:00)
4. Finale : con moto (28:55)
Jan Mach, clarinet
Frantisek Soucek, violin
Petr Strizek, violin
Petr Holman, viola
Vladimir Fortin, cello
Zemlinsky Quartet
Festival Wissembourg, August 21st 2017
1. Allegro (0:00)
2. Adagio (12:21)
3. Andantino - Presto assai ma con sentimento (23:24)
4. Con moto (28:01)
Karl Leister, clarinet
Amadeus Quartet
Vadim Lando, clarinet
Hovhannes Mokatsian, 1st violin,
Razmik Hovhannisyan, 2nd violin,
Mary Dolmazyan, viola,
Aram Talalyan, cello
I. Allegro
Leopold Wlach, clarinetAnton Kamper, 1st violin
Karl Maria Titze, 2nd violinErich Weiss, viola
Franz Kvarda, celloVienna Konzerthaus Quartet
1952(Westminster)
Paul Meyer, clarinet
Violin: Aki Saulière, 1st violin
Renaud Capuçon, 2nd violin
Béatrice Muthelet, viola
Gautier Capuçon, cello
Producer: Alain Lanceron, Etienne Collard
II. Adagio
III. Andantino - Presto non assai, ma con sentimento
IV. Con moto - Un poco meno mosso
Musicians: Sabine Meyer
Strings: Alban Berg Quartet
Lead Vocals: Alban Berg Quartet
Ensemble: Alban Berg Quartet
Musicians: Günter Pichler
Musicians: Gerhard Schulz
Violin: Gerhard Schulz
Violin: Günter Pichler
Musicians: Thomas Kakuska Musicians,
Violoncello: Valentin Erben
Editor, Tonmeister: Johann Nikolaus Matthes
Lead Vocals: Sabine Meyer
Tonmeister: Hilmar Kerp
Producer: Johann-Nikolaus Matthes
Clarinet: Sabine Meyer
Viola: Thomas Kakuska
Cello: Valentin Erben
1891년 마이닝겐의 궁정 악단의 클라리넷 주자 뮐펠트의 뛰어난 기량과 아름다운 음색의 연주에 감명을 받은 브람스는 그 해 클라리넷 3중주곡과 클라리넷 5중주곡, 3년 후엔 두 곡의 클라리넷 소나타 를 작곡했다. 만년의 작곡가는 클라리넷의 음색을 좋아했고 이 악기를 통해 인생의 낙일을 직감한 체념의 심경을 토로했다. 클라리넷의 특성과 기능을 충분히 살리면서 현과 균형감을 이룬 이 작품은 작곡가의 대표적인 실내악이며 모차르트의 곡과 더불어 이 분야의 걸작으로 잘 알려져 있다.
노년으로 접어든 작곡가의 창작의 정점인 이 곡은 특히 고뇌와 동경이 교차되는 제2악장 아다지오가 인상적이며 중간부의 클라리넷의 독주는 늦가을 밤의 외로움에 찬 흐느낌으로 다가온다.
작품개요 및 배경
대규모로 튼튼한 구성을 가진 이 작품 역시 뮐펠트를 위해 작곡되었다. 이 곡은 브람스가 삶의 마지막 시기에 이르러 뒤돌아본 감상이 담담하게 그려졌고, 감미로운 젊은 날의 추억과 운명 앞에서 고개를 숙여야만 하는 체념, 가슴을 죄는 듯한 슬픔과 고독 등이 펼쳐진다. 작곡 당시 브람스의 가슴에 자리했던 감상이 모두 담겨 있는 작품이다. 아울러 형식적인 면에서도 가장 잘 다듬어진 모습을 보여주는 걸작이다.
클라리넷 5중주(B단조 Op.115)는 모차르트의 클라리넷 5중주와 견줄 만한 작품으로 여겨진다. 클라리넷 선율은 각별히 친밀감있는 표현력을 지닌다. 특히 변주곡인 느린 악장에서 독주 악기로서의 클라리넷의 역할이 두드러진다. 대체로 악기의 표현적인 가능성을 추구하면서 지도적인 역할과 화성적인 보조적 역할을 모두 수행하도록 하여 현악기의 짜임새 안에 클라리넷을 잘 융합시켰다. 1악장의 첫 주제는 다른 실내악곡에서는 보기 드물게 명상적이며 즉흥적인 성격을 띠는데, 이는 다음에 작곡할 일련의 피아노곡(테르메초)에서 발견되는 경향을 암시한다.
브람스의 음악세계는 그가 받은 교육에의 영향으로 독일 낭만파 가운데서 비교적 보수적인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그는 15세기 이후 대가들의 작품을 이어받아, 그 전통위에서 자신의독자적인 개성을 추구하려 했던 결과 비교적 중후하고 서정적인 작품을쓰게 되었다. 브람스의 실내악 작품은 그의 창작의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실내악 작곡에 대한 정열은 평생을 두고 계속되는데, 이는 타오르는자신의 내면 감정을 담아내는데 가장 적합한 음악형식이 실내악이었기때문이겠다.
그는 그의 나이 57세 때인 1890년 G장조의 현악5중주 작품 111을 완성한 후 당분간 작곡을 중단하고 휴식하기로 생각하였다. 그러나 이듬해 3월 마이닝겐에서 있은 뛰어난 클라리넷 연주가 뮐펠트(RichardMuhlfeld 1856-1907)의 연주는 브람스에게 강한 인상을 심어주었으며,브람스는 그를 위해 새로운 작품을 써주고자 결심하였다. 이리하여 뮐펠트는 브람스의 영감을 자극하여 그로하여금 클라리넷를 위한 작품을4편씩이나 작곡하게 하였는데, 하나 하나가 대작일 뿐만 아니라 모차르트의 작품들과 더불어 클라리넷 레파토리의 핵심을 이루고 있다. 그것은 피아노, 클라리넷, 첼로를 위한 3중주 A단조, 작품 114번, 그리고5중주, 또한 F단조와 E플랫 장조의 피아노와 클라리넷을 위한 2곡의 소나타, 작품 120이다. 3중주와 5중주는 거의 동시에 완성되었으며, 모두1891년 11월 24일 마이닝겐에서 초연되었다.
전설적인 연주와 요제프 요아힘이 제1바이올린을, 마이닝겐 관현악단의 멤버들이 제2바이올린과 비올라, 유명한 첼리스트이며 요아힘4중주단 단원인 로베르트 하우스만 등이 뮐펠트와 연주 그룹을 형성했으며, 뮐펠트, 브람스, 하우스만은 트리오를 연주하였다. 두 작품 중에서도 그 구성이나 인기에 있어서 5중주가 압도적으로우위를 차지하며, 또한 브람스 작품가운데 가장 독랑적인 면을 갖는이 곡은 한편 비창감에 젖은, 만년의 고독한 심경이 농밀하게 응축되어 있다.
동일한 악기편성에 의한 모차르트 K.581(수타틀러 5중주)과 쌍벽을이루는 걸작으로서, 이 두 작품은 또한 클라리넷을 쓴 실내악곡 중에서 가장 빼어난 명작들이다. 이후 브람스와 뮐펠트는 함께 자주 연주회를 하게 되었으며, 뮐펠트는 넓은 지역을 다니며 브람스가 그에게작곡해 준 작품들을 연주하였다.
브람스 실내악곡의 진수
이 곡은 브람스 만년의 심오한 분위기와 함께, 형식미와 헝가리적 색채 등 작곡가의 특징을 매우 잘 보여주는 곡이다. 간결한 주제로 각 악장간의 관계를 다채롭고도 긴밀하게 연출하여, 브람스 노년 작품의 정점을 찍는 곡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곡은 클라리넷의 특성과 기능을 충분히 살리면서 현과 균형감을 이룬 브람스의 대표적인 실내악이며, 모차르트의 곡과 더불어 이 분야의 걸작으로 잘 알려져 있다. 노년으로 접어든 작곡가의 창작의 정점인 이 곡은 특히 고뇌와 동경이 교차되는 제2악장 아다지오가 인상적이며 중간부의 클라리넷의 독주는 늦가을 밤의 외로움에 찬 흐느낌으로 다가온다.
이 곡은 브람스가 삶의 마지막 시기에 이르러 뒤돌아본 감상이 담담하게 그려졌고, 감미로운 젊은 날의 추억과 운명 앞에서 고개를 숙여야만 하는 체념, 가슴을 죄는 듯한 슬픔과 고독 등이 펼쳐진다. 작곡 당시 브람스의 가슴에 자리했던 감상이 모두 담겨 있는 작품이다.
브람스의 실내악 작품은 그의 창작의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며, 실내악 작곡에 대한 정열은 평생을 두고 계속되는데, 이는 타오르는 자신의 내면의 감정을 담아내는데 가장 적합한 음악형식이 실내악이었기 때문이다. 브람스 작품가운데 가장 독보적인 면을 갖는 이 곡은 한편 비창감에 젖은, 만년의 고독한 심경이 농밀하게 응축되어 있다.
동일한 악기편성에 의한 모차르트 K.581(수타틀러 5중주)과 쌍벽을 이루는 걸작으로서, 이 두 작품은 또한 클라리넷을 쓴 실내악곡 중에서 가장 빼어난 명작들이다.
이후 브람스와 클라리넷 연주가 뮐펠트(Richard Muhlfeld 1856-1907)와 함께 자주 연주회를 하게 되었으며, 뮐펠트는 넓은 지역을 다니며 브람스가 그에게 작곡해 준 작품들을 연주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