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ano Concerto No. 1 in D minor op. 15
브람스 / 피아노 협주곡 1번 D단조 op. 15
Johannes Brahms, 1833.5.7~1897.4.3
00:00 I. Maestoso
24:06 II. Adagio
38:45 III. Rondo
Hélène Grimaud, piano
Michael Gielen, cond.
Southwest German Radio Symphony Orchestra
SWR Sinfonieorchester Baden-Baden und Freiburg, 2005
Clifford Curzon, piano
George Szell, cond.
London Symphony Orchestra
Kingsway Hall, London 1962.05
Maurizio Pollini, piano
Christian Thielemann, cond.
Sächsische Staatskapelle Dresden
Semperoper, Dresden 2011.06
00:10 - I. Maestoso (D minor)
21:50 - II. Adagio (D Major)
33:33 - III. Rondo: Allegro non troppo (D minor - D Major)
Rudolf Buchbinder, piano
Paavo Järvi, cond.
HR-Sinfonieorchester (Radio-Sinfonie-Orchester Frankfurt)
0:30 - Maestoso
25:31 - Adagio
42:11 - Rondo (Allegro non troppo)
Krystian Zimerman, piano
Leonard Bernstein, cond.
Vienna Philharmonic Orchestra
작품 배경 및 개요
브람스의 친구 율리우스 오토 그림은 1854년 3월 9일 요아킴 앞으로 브람스가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를 완성했다고 전하고 있다. 3월 9일이라 하면 브람스의 신세를 지고 있던 슈만의 정신병이 악화되어 그를 정신병원에 입원시킨 후 닷새가 되는 날이다. 그 해 7월 19일 브람스는 요아킴 앞으로 ‘나의 d단조 소나타를 얼마동안 그대로 방치해 두고 싶다. 그 최초의 3개의 악장을 몇 번이고 슈만 부인과 연주해 보았지만 정말로 두 대의 피아노용으로는 불만이다’라고 써있다.
이리하여 곧 제1악장은 관현악화되었으며 교향곡의 제1악장으로 쓰였다. 그러한 이유 등으로 브람스는 이 작품을 신중하게 손질을 하고 있었으나 후에 이 제1악장을 먼저 피아노협주곡으로 고쳤다. 1856년 4월에 브람스는 이것을 요아킴에게 보내어 의견을 묻고 있다. 원래의 두 대의 피아노용 소나타인 제2악장은 후에 <독일 레퀴엠>의 제2악장에 전용되었으며 새로운 피아노 협주곡의 제2악장은 이미 계획되었던 미사의 베네딕투스 악장에서 힌트를 얻어 씌어진 것 같다. 그리고 종악장의 론도도 악상을 달리 해서 작곡된 것이다. 이리하여 몇 번의 변주가 있었고 그동안 클라라와 요아킴의 충고와 의견을 참고로 개작을 거듭, 1858년 2월에야 겨우 전곡을 완성시켰다.
작품 해설 & 구성
브람스가 26세때 작곡한 최초의 대작으로 교향곡과도 비슷한 구성력과 웅대한 스케일감이 특징이다. 고전적인 3악장 구성이지만 종래의 피아노 협주곡과는 달리 교향곡적인 분위기가 지배적인 작품으로 피아노도 전체의 일부로 취급되고 있다.
초기작품의 충실함을 지니고 있음에도 유연성의 결여로 인해 초연시에는 청중들의 비난을 받았다고 한다.
1악장 Maestoso 6/4박자
Leon Fleisher, piano
Carlo Romano, oboe
Monica Berni, flute
Lawrence Foster, cond.
OSN Rai (Orchestra Sinfonica Nazionale della RAI)
Turin, 1998
이 장엄하고 거대한 첫 악장은 마치 천둥이 치는 듯한 오케스트라의 강렬한 총주로 출발한다. 이 개시부는 초자연적인 울림과 오르간 포인트(지속저음)의 부각이라는 면에서 베토벤의 [합창 교향곡]의 첫 악장을 떠올리게 한다. 계속해서 바로크 협주곡의 리토르넬로를 연상시키는 긴 서주가 이어지는데, 여기서는 이 악장의 제1주제를 중심으로 투쟁적 분위기와 숙명적 이미지가 부각된다.
서주의 격렬한 요동이 조금씩 가라앉으면 이내 주부로 넘어가 피아노가 등장한다. 제시부에서는 역시 투쟁적인 국면으로 나아가는 제1주제와 지극히 차분하고 서정적인 제2주제가 극명한 대비를 이루는데, 특히 풍부한 표정을 띠고 서서히 부풀어 올라 무한한 동경을 자아내는 제2주제부의 감흥은 각별하다. 피아노의 강렬한 타건과 함께 시작되는 발전부에서는 피아노와 관현악이 마치 전투라도 벌이듯 격렬하게 맞부딪히다가 폭발적인 클라이맥스에 도달하고, 재현부 이후에 음악은 다시 한 번 뜨겁게 달아 오른 다음 격정적인 울림 속에서 막을 내린다.
2악장 Adagio 6/4박자
Krystian Zimerman, piano
Leonard Bernstein, cond.
Wiener Philharmoniker
명상적인 기운과 종교적인 기품으로 가득한 이 느린 악장은 작곡 당시 아직 20대 초반이었던 브람스가 얼마나 속 깊고 다정다감한 청년이었는지를 잘 보여준다. 피아노와 관현악이 응답풍의 대화를 이어나가는 3부 형식의 곡으로, 주요주제는 첫머리에서 바순이 제시하며 피아노의 정교한 서법이 두드러진다.
어떤 이는 이 악장을 들으면서 브람스가 언급했던 ‘클라라의 초상’을 떠올리고, 어떤 이는 슈만을 기리는 진혼곡의 이미지를 거론하기도 한다. 다분히 침착하고 사색적인 흐름 속에 깊은 슬픔과 애틋한 그리움이 담겨 있으며, 사뭇 감동적인 클라이맥스에서는 그 모든 상념과 감정들을 종교적으로 승화시키려는 듯한 열의가 느껴진다.
3악장 Rondo: Allegro non troppo 2/2박자
Krystian Zimerman, piano
Leonard Bernstein, cond.
Wiener Philharmoniker
피날레는 경쾌하고 활력 넘치는 론도 악장이다. 다시금 펼쳐지는 투쟁을 통해서 이제까지의 역경과 고뇌를 떨치고 승리를 향해 나아가는 듯한 이 악장은 여러 가지 흥미로운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다. 론도 주제는 다성적인 요소와 당김음을 지니고 있어 바흐의 협주곡을 연상시키며, 두 번째 부 주제는 카논풍으로 등장하여 역시 바로크적인 기법을 가리키고 있다. 아울러 중간의 단조 부분에서 푸가토를 도입하여 긴장감을 높이는 수법은 베토벤의 협주곡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 단계에서 음악은 ‘환상곡풍으로’라고 지시된 짧은 카덴차를 거친 후 짐짓 멋을 부린 듯한 코다로 넘어가 잠시 느긋한 흐름을 보이다가 밝은 D장조로 힘차게 마무리된다.
한편 이 협주곡은 1859년 1월 22일, 하노버 궁정극장에서 브람스 자신의 피아노와 요아힘의 지휘로 초연되었다. 클라라의 일기는 이 때 브람스의 연주가 아주 훌륭했고, 청중들도 호의적이었다고 전하고 있다. 하지만 그로부터 닷새 후에 라이프치히의 게반트하우스에서 진행된 공연은 참담한 실패로 돌아갔다. 브람스의 피아노와 오케스트라의 연주는 오히려 하노버에서보다 더 훌륭했지만 청중들의 반응은 냉랭했다. 그러한 결과에 충격을 받은 브람스는 “다음 협주곡은 완전히 다른 울림의 것이어야 한다!”라고 선언했다. 그리고 그의 두 번째 피아노 협주곡이 완성된 것은 그로부터 20년도 더 지난 먼 훗날의 일이었다.
'음악 > 음악감상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비 라카토쉬 / '죽은 새' 교향곡 (0) | 2018.09.21 |
---|---|
Am I That Easy To Forget - Engelbert Humperdinck 외 (0) | 2018.09.17 |
I love you more than I can say - Leo Sayer (0) | 2018.09.03 |
브람스 / 교향곡 2번 D장조, "전원교향곡" (0) | 2018.08.24 |
톤지 훌지크 / 크로아티안 랩소디(광시곡) (0) | 2018.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