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여행기/100+(플러스) 명산

90. 전남강진 만덕산(2022.2.22)

박연서원 2023. 2. 13. 09:18

만덕산 [萬德山] 408.6/412m 전남 강진군 강진읍

석문산 [石門山] 283/272m 전남 강진군 도암면

 

만덕산 [萬德山] 

높이 408.6m의 낮은 산이지만 능선에는 상당한 크기의 암석들이 많으며, 남쪽에는 사적 107호인 다산선생의 초당과 백련사 (白蓮寺), 일명(萬德寺)가 언덕 사이로 나란히 있다. 다산 정약용 선생은 조선 말기 당대 실학을 집대성한 대학자이다.

강진에 유배되어 18년간 귀양생활 중, 8년 간을 강진읍 동문 밖에서 머물다 이곳으로 거처를 옮겼다. 이곳에서 후진을 가르치고, 저술에 전념하여 목민심서, 경세유표, 흠흠심서 등 500여 권에 달하는 저서를 완성했다.

백련사는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되어 고려시대에 크게 융성했던 절인데, 현재는 대웅전 외에 5동의 전각이 있다. 백련사 주변에는 1.3ha에 걸쳐서 1,500여 그루의 동백나무가 자라고 있는데, 특히 절 앞에 많다. 천연기념물 제151호로 지정되어 있다.

 

전라남도 강진군의 도암면 봉황리에 위치한 산이다(고도:412m). 남쪽사면에는 기암괴석과 절벽이 많이 있고 동백나무 등의 상록 활엽수가 많다. 특히 이 일대의 동백나무 군락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이 귀향살이를 할 때 거주하던 다산 초당이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강진)에 "만덕산 앞 봉우리는 돌 창고 같고, 뒷 봉우리는 연꽃 같도다."라는 고려의 승려 혜일(慧一)의 시를 인용하여 소개하고 있다. 이를 통해 지명이 고려 시대 이전부터 불렸음을 엿볼 수 있다. 동일 문헌에 "전라도 강진현 남쪽에 우뚝 솟아 맑고 빼어난 산이 바닷가에 이르러 머물렀으니, 만덕산(萬德山)이라 한다."는 윤회(尹淮)의 기문이 소개되어 있다.

 

『청구도』에 만덕산에 "석봉은 아름다운 연꽃 같도다(石峯如美蓉)"라고 기록되어 있다. 『대동여지도』에 만덕산에 백련사(白蓮寺)가 표기되어 있다. 이 사찰은 신라 때에 세워지고 고려의 원묘대사가 중수하였는데, 무의대사 때에 이르러서는 법화도량이 되어 동방의 이름난 절로 일컬어졌다. 이러한 명성은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널리 알려져 이 산을 백련산(白蓮山)이라고도 부른다. 『1872년지방지도』에는 돌산의 모습과 함께 그 아래에 만덕사(萬德寺)가 묘사되어 있다. 관련 지명으로 만덕리(萬德里)가 있는데, 이것은 만덕사에서 유래하였다.

 

강진만 바다를 한눈에 굽어보기 좋은 곳이 만덕산이다. 높이 408.6m의 낮은 산이지만 능선에는 상당한 크기의 암석들이 많으며, 남쪽에는 사적 제107호인 다산선생의 초당과 백련사가 언덕 사이로 나란히 있다. 이곳에는 만덕산은 야생차가 많이 자생하여 다산이라고도 불리며, 다산 정약용 선생의 호가 이곳 만덕산을 배경으로 한다.

다산 정약용 선생은 조선말기 당대 실학을 집대성한 대학자이다. 강진에 유배되어 18년 간 귀양생활 중, 8년 간을 강진읍 동문 밖에서 머물다 이곳으로 거처를 옮겼다. 이 곳에서 후진을 가르치고, 저술에 전념하여 <목민심서>, <경세유표>, <흠흠신서> 등 500여 권에 달하는 저서를 완성했다. 정상 남쪽 골짜기의 백련사 주변에는 3ha에 걸쳐서 7,000여 그루의 동백나무가 자라고 있는데, 특히 절 앞에 많다. 천연기념물 제151호로 지정되어 있다.

 

만덕산은 강진읍 남쪽에 위치한 야트막한 산으로 마을 뒷산처럼 보잘 것 없지만 산안으로 파고 들면 암팡지고 아기자기한데다 그윽한 정취가 넘치는 산이다. 산기슭에는 천년 고찰 백련사와 다산선생의 실학정신이 깃들어 있는 다산초당 등 역사적 자취를 더듬어 볼 만한 곳이 있어 등산과 유적지 답사를 겸한 산행이 적격이다. 산세 또한 부드러워 가족산행으로도 권장할 만하다.

 

외지 탐방객들은 토굴암자를 거쳐 깃대봉(정상)에 올랐다 다시 백련사로 내려선 다음 다산초당으로 이어지는 코스로 산행을 끝내지만 등산인들은 만덕산 북단의 옥련사에서 시작하여 정상에 오른 다음 백련사를 거쳐 다산초당에 이르는 코스가 적당하며 시간적인 여유가 있으면 정상에서 바람재를 거쳐 도암면 석문사에 이르는 코스가 1일 산행으로 적당할 것이다.

바람재에서 석문사에 이르는 등산 코스는 일반인들의 발길이 닿지 않아 활잡목 및 잡초가 등산로를 뒤덮고 있으나 이정표가 군데군데 있어 산행하는데는 큰 어려움이 없다.

옥련사-깃대봉-백련사-다산초당 코스는 그다지 험난한 구간이 없고 산행시간도 점심시간을 포함하여 4~5시간 정도면 충분하기 때문에 노약자들도 산행이 가능하다. 백련사에서 다산초당에 이르는 오솔길 주변에 동백나무숲(천연기념물 제151호)이 하늘을 뒤덮고 초당을 내려서는 길에는 하늘높이 자란 삼나무와 소나무가 빽빽이 들어서 있어 누구든지 들어서면 사색에 젖을 수 있는 코스이다.

 

등산로

* 백련사-만덕산 정상-다산초당 (5km, 2시간 30분)

* 옥련사-정상-백련사-다산초당 (4시간)

* 용문사-석문 삼거리-바람재-전위봉-만덕산-백련사 (5시간)

* 옥련사–필봉–깃대봉-(백련사–다산초당–기도원)–바람재–채광지–암릉–용문사 (7.4km, 5시간)

 

석문산 [石門山]

해남읍에서 강진으로 가는 길 사이에 병기라는 낮은 재가 있다. 이 재를 넘어서면 강진주라리라는 마을이 나오는데 여기에서 남쪽으로 논 사이를 뚫고 한 가닥 길이 나 있다.

이 길은 서기산에서 내려오는 물줄기를 따라 남으로 뻗고 있다. 강을 석문천이라 부르고 이 석문천이 만덕산 줄기의 하나인 석문산의 허리를 뚫고 도암만으로 흘러가는 곳에 「소금강」이라 불리는 암석으로 된 절벽이 있다.

길 양옆은 깍아 세운 듯한 절벽으로 되어 있어 마치 문설주가 서 있는 것같다. 암석의 모양이 기이하여 금강산을 연상케 한다.

 

대중 교통

강진으로가서 군내버스를 이용한다.

서울, 부산, 마산, 인천, 성남에서 강진행 버스가 운행된다.

광주로가서 강진으로 이동한다.

<강진-만덕산>

강진읍에서 3km정도의 가까운 거리에 있어 버스를 이용하거나 택시를 이용하면 등산로 입구 옥련사까지 바로 갈 수 있어 교통은 편리하다.

 

도로 안내

서울, 인천, 충청권 → 서해안고속도로 이용

대전, 호남권 → 호남고속도로 이용

부산, 대구, 경상권 → 남해/88고속도로 이용

 

호남고속도로 광산IC - 13번 국도 - 송정 - 나주 - 13번 국도 - 영암 - 성전 - 2번 국도 - 9.2km - 강진 - 해남방면 18번 국도 - 1.7km - 추도3거리 - 다산초당 방향 좌회전 - 완도 방면 군도 2호선 - 백련사

 

산행기

 

1. 소석문-석문산-구름다리-바람재-다산초당-다산박물관-다산초당입구

일자 : 2020.8.29.(토)

동행 : 좋은사람들 36인승 버스 1대 (대장 큐가이)

 

동암역05:39-(급행)-신도림역06:04/06:10-사당역06:28/06:41-양재역06:49/06:52-

군산휴게소09:10/09:25-소석문주차장(≒70/71.6/71.4)11:26/11:31-석문산(282.5,≒295/295.5/294.8, 0.647/0.593/0.67)11:59/12:02-구름다리12:27/12:32-노적봉전망대12:36-고개쉼터(≒298/293.2/300.2, 2.44/2.308/2.7)13:13/13:44(중식)-중간2봉(≒307/309.2/312.2, 3.39/3.232/3.7)14:09/14:12-바람재(≒251/255/252.3, 6.21/6.009/6.7)15:21/15:24-3거리(≒383/383.1/383.4, 6.73/6.484/7.4)15:55/16:00-(우)-다산초당16:29/16:31-다산유적비16:44-만덕쉼터(≒32/33/33.2, 9.44/9.135/10.20)16:48/18:00-정안휴게소20:50/21:09-양재역22:22/22:37-(9100번)-모래내시장23:25

(산행거리 9.5/9.14/10.2km, 산행시간 총5시간17분, 순4시간24분/29분/16분,

 평균속도 2.1/2.03/2.4km/h, 최고고도 396/395m, 시작고도 70m, 최저고도 31m)

 

 

▼구름다리

△구름다리

 

△다산초당

 

△다산정양용선생유적비

   

2. 백련사주차장-백련사-만덕산-다산초당-다산박물관-다산유적비

일자 : 2022.2.22.(화)

동행 : 좋은사람들 28인승 버스 1대(대장 pty8489, 기사 제일고속 7311 양남수)

 

동암역05:49-(급행)-신도림역06:15/06:19-사당역1번출구06:36/06:50-양재역07:02-군산휴게소09:12/09:38-백련사주차장(109/82.8/109.3, 백련사0.3)11:35/11:40-이정표(다산초당0.9,해월루0.4,백련사0.1)11:45-3거리(깃대봉0.1,옥련사1.9,백련사0.55)12:03-만덕산 깃대봉(청렴봉, 408.6,437/413.3/444.5, 1.46/1.397/1.4)12:20/12:29(인증)-3거리(바람재0.26,다산초당1.13,깃대봉0.54)12:47-()-4거리(해월루0.1,다산초당0.6,다산박물관1.6,백련사0.4,깃대봉1.3)13:05-이정표(다산초당0.5,다산박물관1.5,백련사0.5,해월루0.2)13:07-쉼터(182/158/181.6, 2.89/2.802/2.8, 다산초당0.3,다산박물관1.3,백련사0.7,해월루0.4)13:11/13:36(중식)-천일각(天一閣),다산초당(茶山草堂),다산동암(茶山東菴),보정산방(寶丁山房),송풍루(松風樓, 송풍암松風菴)(다산박물관1.0,백련사1.0,해월루0.7)13:39/13:41-귤송당13:46-다산박물관13:51/13:53-만덕경로당13:57-다산정약용선생유적비(31/3.1/31.4, 4.3/4.175/4.1)13:58/14:35-(버스)-망호출렁다리 주차장,망호선착장(≒26/1.8/26.8)14:49/14:50-다산다리14:51/14:59-가우도치안센터15:01-갈림길(↑모노레일0.57,청자다리0.62,←출렁다리0.75,↓다산다리0.23)15:03-영랑나루쉼터15:07/15:08-가우도두꺼비바위,로타리쉼터15:10-가우도표지판(인증장소)15:14/15:17-청자타위15:24/15:35-가우도출렁다리15:44/15:48-이정표(↑다산다리0.8,가우마을0.6,↓청자다리0.9,모노레일0.95,출렁다리0.3)15:52-다산정약용쉼터15:55-가우마을16:02/16:03-가우도친구집(펜션&식당)16:04/16:30(막걸리+회덮밥)-망호출렁다리 주차장,망호선착장(≒29/4.2/30.1, 4.77/4.753/4.7)16:40/16:52-졸음쉼터18:45/18:51-군산휴게소19:04/19:15-양재역21:07/21:08-사당역14번출구21:20/21:31-신도림역21:50/22:01-(급행)-동암역22

(만덕산 산행거리 4.4/4.17/4.1km, 산행시간 총2시간18분, 순2시간4분/1시간41분/50분,

 평균속도 2.1/2.48/2.2km/h, 최고고도 443/417/439m, 시작고도 110m, 최저고도 1m)

(가우도 보행거리 4.8/4.75/4.7km, 보행시간 총1시간50분, 순1시간29분/24분/23분,

 평균속도 3.2/3.36/3.4km/h, 최고고도 100/76/102m, 시작고도 27m, 최저고도 1m)

※가우도친구집 061-432-8455/010-6507-8455/010-7220-8458

                    전남 강진군 도암면 가우도길 2-7 (신기리 21-7)

 

 

▼백련사

△백련사 배롱나무(백일홍)

△백련사

 

△만덕산 깃대봉

 

△천일각

△다산동암

 

△다산박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