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여행기/100+(플러스) 명산

92. 전북순창 회문산(2022.3.3)

박연서원 2023. 2. 24. 08:19

회문산 [回文山] (큰지붕) 837m

전북 순창군 구림면

 

특징, 볼거리

회문산은 임실군, 순창군, 정읍시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 산으로 회문봉, 장군봉, 깃대봉의 세 봉우리로 이루어지며 동서 8km, 남북 5km에 걸쳐있다.

옥정호에서 흘러내린 섬진강이 회문산을 두 팔로 감싸듯 휘감아 사방으로 물길이 흐르고 있어 산 정상에서 바라봤을 때 전망이 장관을 이룬다. 계곡이 많아 물놀이에 제격이며 특히 산 아랫마을인 덕치·천담의 계곡이 아름다워 해마다 많은 관광객들이 찾고 있다.

 

회문산은 가족단위 산행지로 적격이다. 숲이 무성하지만 해발이 837m로 그다지 높지 않고 호젓한 분위기와 광활한 전망이 일품이다. 북으로는 섬진강, 동으로 오원천, 남으로 구림천이 싸고 돈다. 날씨가 좋은 날에는 지리산까지 보여 예로부터 천혜의 요새로 알려진 산이다.

 

예부터 영산으로 이름난 회문산은 많은 아픔의 역사가 깃들어 있다.

홍문대사(홍성문)가 입산 도통하여 ‘회문산가 24혈’의 명당 책자를 만들면서 영산이라 이름나기 시작하였다.

책 내용 중 회문산 정상에 24명당과 다섯 신선이 앉아 바둑을 두고 있는 형국인 오선위기(五仙圍基) 자리가 있는데, 이곳에 관을 보토하여 묘를 쓰고 나면 당대부터 발복하여 59대까지 갈 것이라고 하였다.

이에 한국 최초의 신부인 김대건 신부가 처형을 당할 때 3족을 멸하는 화를 면하기 위해서

동생 란식과 조카 현채가 기거하였고 두 분의 묘소가 현존하고 있다.

 

조선시대 말기 동학혁명이 일어났을 때 동학군은 이 산을 거점으로 투쟁을 하였으며 한말에 국운이 기울어 일제 침략의 마수가 뻗치던 무렵에는 회문산을 근거지로 하여 정읍의 최익현, 임실의 임병찬 의병장, 양윤숙선생이 회문산을 거점으로 항일구국운동을 벌였던 곳이기도 하다.

 

한국 전쟁 중에는 조선로동당 전라북도 도당 위원장 방준표가 이끄는 조선인민유격대가 회문산에 아지트를 설치하여 격전이 있었다. 또한 북한의 남부군총사령부가 있었으나 지금은 빨치산훈련장에 체력단련장이 들어서고 빨치산의 은신처와 밥짓던 터는 통나무집과 물놀이터로 모습이 완전히 바뀌었다.

현재는 양민 희생자를 위한 위령탑과 빨치산 사령부를 재현한 비목공원이 세워져 있다.

 

증산교에서 김제시와 완주군에 걸친 모악산을 어머니 산으로, 회문산을 아버지 산으로 삼고 있어 증산교 도인들이 자주 찾는 산이다.

한국의 5대 명당'으로도 불려 암반 위에까지 묘지가 많이 설치되어 있기도 하다.

 

짙은 숲속에선 하루종일 꾀꼬리 산비둘기가 울고 까투리와 장끼가 사랑을 속삭인다. 자연휴양림으로 탈바꿈한 회문산은 얼룩진 과거사를 묻어둔 채 가족단위 자연공원으로 각광 받고 있다.

 

회문산 산행은 자연휴양림 입구인 안정리 안심마을에서 시작된다. 30분쯤 오르면 자연휴양림 매표소가 나오고 다시 10분쯤 걸으면 왼쪽 노령문 직전 왼편의 골짜기에서 이가 시리도록 찬 석간수가 샘솟는다. 노령문을 통과하면 출렁다리가 나타나고 그 밑으로 포말을 일으키며 떨어지는 구룡폭포가 한 눈에 들어온다. 이 폭포를 중심으로 아래에는 작은 문턱바위,위에는 큰 문턱바위가 버티고 있다.

 

휴양림 관리사무소를 지나 5-6분 오르면 태조 이성계와 무학대사가 마주 앉아 회문산의 산세를 논했다는 무학바위가 자리잡고 있다. 임간학교-산림욕장으로 거치면 본격적인 회문산 능선산행이 시작되는 안부에 도착한다.이곳에서 작은 지붕을 거쳐 정상인 큰 지붕까지는 대략 1시간 정도 걸린다.

 

하산은 천마봉-회문리, 북릉-백여리로 한다. 정상 남서쪽 마을인 죽림마을로 내려오는 계곡길도 있다. 귀염받날이라 불리는 천마봉 능선을 타면 27번 국도로 내려서기 때문에 돌아오기 편하다.

 

서울역에서 전주까지 가는 열차는 하루 10회(상오7시35분-하오11시) 운행된다. 창읍에서 산행시작지인 안심마을까지는 하루 7차례(상오 6시30분-하오 7시30분까지) 버스가 오간다.

산행 시간 : 3시간

 

산행 코스

1코스 : 안정리-회문봉(1시간)-장군봉(30분)-과촌(20분)-대시몰(30분)-산안(25분)-안정리

2코스 : 베틀아우-과촌(1시간)-장군봉(1시간 30분)-회문봉-안정리

3코스 : (옥정호 쪽)-히여티 (1시간)-가리점 (2시간)-회문봉(1시간)-장군봉(30분)-과촌

 

교통 안내

서울-전주 : 강남고속터미널에서 고속버스 10분 간격

서울-광주 : 강남고속터미널에서 고속버스 10분 간격

서울-순창 : 강남고속터미널에서 1일 8회 운행

전주-순창 : 직행, 시외버스 이용, 강진에서 하차후 택시 이용하거나, 강진에서 순창군내버스 이용, 일증리 하차/1시간 간격 (40분 소요)

광주-순창 : 직행, 시외버스 이용, 순창에서 다시 임실행 완행 이용, 일증리 하차

순창-회문산 : 안정리행 군내버스 이용, 종점에서 휴양림까지 2km/1일 4회 운행 (40분 소요)

 

전주에서는 17번 국도를 타고 임실읍에서 우회전, 30번 국도를 타고 갈담까지 간 다음 27번 국도를 타고 일중리 자연휴양림 입구까지 가는 방법과 처음부터 줄곧 27번 국도를 타고 운암대교를 건너 갈담을 거쳐 자연휴양림 입구에 도달하는 방법이 있다.

 

산행기

 

코스 : 덕치치안센터-깃대봉-천마봉-삼연봉-회문산-회문산자연휴양림

일자 : 2022.3.3(목) 

동행 : 좋은사람들 28인승 버스 1대 17번(대장 한솔뫼)

 

동암역05:48-(급행)-신도림역06:13/06:18-사당역1번출구06:36/06:50-양재역07:03/07:04-정안알밤휴게소08:25/08:43-덕치치안센터(≒154/131.8/154.2,)10:09/10:18-이정표(↑깃대봉2.7,↓덕치치안센터0.4)10:24-이정표(↑깃대봉2.65,빨치산교통호2.45,홍성문대사옛집터2.25)10:26-이정표(360, ←깃대봉1.6,↓덕치치안센터1.5,덕치면사무소)10:54-이정표(445, ↑깃대봉1.39,빨치산교통호1.2,↓덕치치안센터1.68)11:03-홍성문대사옛집터11:45-능선3거리(→깃대봉0.48,←일중마을2.39,↓덕치치안센터2.6,홍성문대사옛집터0.08)11:49-빨치산교통호11:50/11:51-깃대봉(775/799,≒786.8/814, 3.073/3.1)12:00/12:03-천마봉(≒759.9/786.8, 3.52/3.5)12:18/12:19-삼연봉(≒643.3/659.9, 4.056/4.4, ↑회문산2.2,←큰문턱바위0.6,자연휴양림 매표소,↓깃대봉)12:41/12:47-사방댐갈림길(↑회문산1.7,←회문산역사관0.3,↓삼연봉0.4)12:54-서어나무갈림길(↑회문산0.7,←자연휴양림매표소2.0,↓삼연봉1.5)13:16-장군봉갈림길(↖회문산0.4,↗장군봉1.4,↓삼연봉1.8)13:26-회문산정상(회문산 큰지붕, 837,≒885/643.3/880.9, 4.056/6.6, ↑작은지붕0.4,↓삼연봉2.2)13:37/13:50-임병찬 의병장 묘13:52-천근월굴(天根月窟)13:54-회문산 작은지붕(≒830.3, 7.0, ↑헬기장0.4,↓회문산정상0.3,임병찬의병장묘0.2)13:58/13:59-여근목(女根木)13:59/14:01-임도(←시루바위0.5,회문산정상0.7,임병찬의병장묘0.6)14:07-야영장[↑매표소1.0,↓임도(서어나무)0.596,↓헬기장0.4]14:19/14:20-국립회문산자연휴양림[산림문화휴양관14:28/14:29-거북바위,뱀바위14:31-숲속의집14:33-출렁다리,노령문(蘆嶺門)14:36/14:38-노령문입구(↑매표소0.2,↗돌곶봉0.9)14:40-돌비(↑매표소0.2,←큰문턱바위0.2,↓숲속의집0.5)14:41-매표소14:43]-장승산장가든14:46-주차장(≒367.6, 10.23/9.97/10.0)14:48/15:34-이인휴게소16:51/17:02-양재역18:42/18:43-사당역14번출구18:59-큰맘할매순대국19:10/19:40(석식)-사당역8번출구19:45/19:47-신도림역20:06/20:11-(급행)-동암역20:36

(산행거리 10.2/9.97/10.0km, 산행시간 총4시간30분, 순4시간19분/11분/6분,

평균속도 2.3/2.38/2.4km/h, 최고고도 882/855/881m, 시작고도 154m, 최저고도 128m)

※큰맘할매순대국 02-588-6304 서울 동작구 동작대로7길 66 (사당동 1038-33)

 

 

 

▼회문산 큰지붕

△회문산 큰지붕

 

 

▼천근월굴

△천근월굴

 

△회문산 작은지붕

 

△여근목

 

△회문산자연휴양림 산림문화휴양관
△거북바위
△뱀바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