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여행기/100+(플러스) 명산

88. 전남화순 모후산(2022.2.13)

박연서원 2023. 2. 6. 09:18

모후산 [母后山] 919/943.7m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남면, 순천시 주암면·송광면

 

특징, 볼거리

높이 919m. 주위에 운월산·밤실산 등이 있다. 산정은 평탄하나 사방이 비교적 급경사를 이룬다. 북동·북서 사면에서는 보성강·동복천의 지류가 각각 발원한다. 울창한 숲과 계곡의 푸른 물이 절경을 이루고 있으며 곡천유원지·사평폭포 등의 명승지는 관광이나 등반의 좋은 장소가 되고 있다. 주변에 무등산도립공원·유마사·화순물염적벽 등의 명승지가 있다. 특산물로는 고사리·느타리버섯·토종꿀 등이 있다. 여관을 비롯한 숙박시설이 갖추어져 있으며, 광주광역시에서 화순군 남면 유마리까지 직행 버스가 운행된다.

 

모후산(母后山)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화순군과 순천시의 경계를 이루는 높이 943.7m의 산이다. 무등산 북쪽 지맥의 한 봉우리이나 규모가 크고 산세도 험한 편이다. 정상에 오르면 동복호와 주암댐, 무등산, 백아산, 조계산 등이 보여 전망이 트여있다.

 

본래 라복산(蘿蔔山)이라고 부르다가 고려 공민왕 10년인 1361년에 홍건적의 고려 침공이 있었을 때 공민왕 부부가 태후와 함께 피난해 산 것을 계기로 모후산이라 부르게 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온다. 조선 선조 25년인 1592년에 정유재란이 일어났을 때 동복현감인 김성원이 노모를 구하기 위해 싸우다 죽었다 하여 모호산(母護山)이라고 고쳐 부르게 되었다.

 

모후산 남쪽 계곡에는 당나라의 유마운이 창건했다는 대한불교조계종 사찰 유마사가 있다. 한국 전쟁 중 조선로동당 전남도당이 유마사에 숨어들어 백아산과 연계하여 활동한 일이 있다. 공산주의자들의 소굴이라는 이유로 당시의 유마사 건물은 소각되었다. 새로 지은 유마사를 기점으로 산행 코스가 마련되어 있다. 1980년대까지만 해도 인적이 드물었으나 현재는 등산로가 잘 정비되어 있다.

 

주변에 화순 적벽, 김삿갓 유적지, 남도 화단을 대표하는 화가 중 한 명인 오지호의 생가와 기념미술관이 있다. 조계산도립공원, 화순온천과도 가까운 거리이다.

 

모후산하면 화순 모후산으로 퍼뜩 떠오르지만, 모후산의 한자이름에서 볼 수 있듯이 화순 쪽보단 순천 쪽의 역사가 더 크다 하겠다.

 

고려 공민왕 때에 홍건적의 개경침공으로 피신을 해야 했던 공민왕은 왕의 처가 쪽인 화순 동복오씨 분들과 어머니를 모시고 피신처를 찾던 중 화순동복사람인 "김도" 의 안내로 지금의 순천시 송광면 삼청리 모후산 자락 왕대마을 쪽에 안착하게 된다. 아들인 공민왕은 경상도 안동으로 가게 되고, 어머니와 처가쪽 사람들이 이곳 송광면 삼청리 왕대마을에 머무르면서, 모후산에서 자생하는 산삼을 먹으며 기력을 회복하게 된다. 그후 홍건적 난이 어느 정도 진압된 이후 어머니를 모시러 온 공민왕이 이곳 순천 송광면 삼청리 왕대마을에 도착하여 기이하고 우람한 산세를 보고 곁에 있던 "김도"에게 물었다. 이 산이 무슨 산이냐?라고 물으니, "김도"는 예 라복산이라 하옵니다.라고 대답하였다. 그러고 나서 다시 왕이 말하기를 과연 "덕여모후"로다라고 말하였다. 산의 크나큰 덕이 어머니 같다란 뜻의 이 말은 순천 역사중 송광면 삼청리에 전해 내려오는 오랜 전설로 전해지고 있으며 왕이 머무른 장소라 하여 마을 이름도 "왕대"라 칭하였고, 왕족이 피신한 임시수도라 하여 그 아랫 마을 이름은 "유경"이라 부르게 되었다. 지금도 이곳 송광면 왕대, 유경 마을에는 공민왕의 이야기와 함께 산넘어 주암면 대광리 용문마을에 존재하던 "대광사"란 큰 절이 존재했었고(조선말 때까지 존속, 그후 폐찰됨) 대광사 관련 불교유적들이 송광면 삼청리, 후곡리, 주암면 대광리 주변으로 남아있으며 대표적인 대광사의 유적에는 대한민국 명승25호로 지정된 "초연정원림"이 있고 후곡리 모후산 중턱에는 유마사 운성암절터가 현재에도 남아있다. (한국의 폐사지란 책자에 수록)

 

과거에는 후곡리 절터, 삼청리 절터로 불리었던 곳이다. 이렇듯 모후산은 화순군과 함께 순천시 주암, 송광면의 진산으로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대광사 이야기와 함께 기록되어 있는 명산 임에도 불구하고 1991년 광주권 상수도 공급을 위해 이곳을 중심으로 주암호 담수가 시작되고, 수몰되는 위기를 맞이하게 된다. 상수원보호구역과 함께 자연환경보전구역으로 묶여있는 탓에 순천 쪽 명성보단 화순군의 산으로 알려진 모후산이다.

 

주변 관광지 : 유마사·화순 물염적벽·주암댐·고인돌공원·영롱대·백민미술관·오지호화백 생가 및 기념미술관·한천농악전수관·임대정·사평폭포·사평휴양림·조계산도립공원 등이 있다. 매년 2월 중순이면 고로쇠를 채취하며, 특산품에 등복청·삼베·복천어·다슬기탕·기정떡·고로쇠나무 등이 있다.

 

산행 코스

1코스 : 유마리 - 유마사 - 용문재 - 정상 - 농바위 - 유마사 - 유마리 : (4시간)

2코스 : 유천리 - 용문재 - 정상 - 유치재 - 유천리 : (4시간)

 

산행 제1코스는 중국 당(唐)의 유마운이 창건한 유마사에서 시작한다. 산막골을 거쳐, 용문재를 지나 오른쪽 능선을 타면, 상봉에 이른다. 이곳에는 큰 묘와 헬기장이 있다. 상봉에서 남쪽 능선을 따라 가면 집게가 입을 벌리고 있는 모양의 집게봉에 다다르며 뱀골로 가면, 유마사로 내려오게 된다. 산행시간은 4시간 10분 정도 소요된다.

 

제2코스는 유마사에서 출발하여 뱀골과 집게봉을 경유하여 상봉에 이른다. 유치재를 넘어 유천마을로 하산하면 된다. 산행시간은 5시간 정도 소요된다. 교통편은 화순-순천간 22번 국도을 이용하여 유천리 마을 입구에서 4km 정도 가면 된다. 또는 화순-벌교간 15번 국도로 24km쯤 가다 남계리 마을 입구에서 좌측으로 4km 정도 가면 유마사가 나온다.

 

교통 안내

광주-유천리입구/ 하루 5회 운행/ 2시간 소요

광주-남계/ 하루 3회 운행/ 1시간 30분 소요

화순-순천간 22번 국도로 가다 화순기점 26km 지점인 유천리 마을 입구에서 임도로 4km쯤 가면 모후산 등산로 입구임

화순-벌교간 15번 국도로 24km쯤 가다 남계리 마을입구에서 좌측으로 4km정도 가면 유마사가 나온다.

 

산행기

 

코스 : 유마사-용문재-모후산-중봉-유마사

일자 : 2022.2.13(일) 화순 모후산

동행 : 좋은사람들 28인승 버스 1대(대장 금강수, 기사 하나리무진 8790 김재만)

 

동암역05:40-(급행)-신도림역06:05/06:10-사당역1번출구06:28/06:51-양재역06:59/07:03-여산휴게소08:47/09:06-유마사주차장(≒290/264.4/290.1, ↑유마사0.3,용문재2.8,모후산4.2,→목재문화체험장0.8,생태숲체험장0.2)10:53/10:58-이정표(←모후산4.0,용문재2.6,↗생태숲,↓유마사주차장0.2)11:01-이정표(←모후산3.5,용문재2.2,→유마사주차장0.3,↓유마사0.2)11:07-집게봉갈림길(↖용문재1.8,→집게봉1.8,↓유마사주차장0.8)11:12-(좌)-합수곡3거리(→중봉1.5,↖동북유천리3.7,용문재1.4,↓유마사1.2)11:23/11:24-배암이골3거리(↑모후산2.0,용문재0.6,→철철바위1.2,↓유마사2.7)11:37-용문재,6각정자,모노레일,산불감시초소(≒700/673.8/704.3, 2.57/2.529/2.5, ↑동복면유천리3.4,→모후산정상1.4,↙도마치2.5,↓유마사2.6)11:55/11:59-모후산강우레이더관측소12:36-모후산(918,≒983/957.3/985.1, 3.78/3.69/3.7)12:38/13:10(중식)-중봉(≒846/818.8/846.1, 4.83/4.693/4.7, ↑집게봉1.0,→철철바위0.8,↓모후산1.1)13:39/13:41-(우)-(모후2)이정표(←유마사주차장1.2,↓모후산2.1,집게봉1.8)14:04-합수곡3거리(←유마사1.2,↗동북유천리3.7,용문재1.4,↓중봉1.5)14:21-집게봉갈림길(↗유마사주차장0.8,←집게봉1.8,↓용문재1.8)14:28-이정표(↑유마사주차장0.3,→유마사0.2,↓모후산3.5,용문재2.2)14:34-(우)-유마사(維摩寺, ≒327/305.1/328.3, 7.48/7.27/7.2)14:38/14:48-유마사 해련부도14:50-유마사주차장(≒306/280/306.9, 7.86/7.633/7.6)14:53/15:28-정안휴게소17:56/18:09-서울TG19:14-양재역19:28/19:29-사당역14번출구19:39-명동칼국수19:41/20:16(석식)-사당역14번출구20:20/20:22-신도림역20:39/20:51-(급행)-동암역21:17

(산행거리 7.9/7.64/7.6km, 산행시간 총3시간55분, 순3시간41분/30분/27분,

 평균속도 2.1/2.18/2.2km/h, 최고고도 988/962/985m, 시작고도 292m, 최저고도 264m)

※명동칼국수 02-582-8789 서울 서초구 방배천로 12 (방배동 450-28)

 

△유마사 주차장
△집게봉갈림길
△합수곡3거리

 

△배암이골3거리

 

 

▼용문재

△용문재

 

△모후산강우레이더관측소
△모후산강우레이더관측소

 

▼모후산 정상

△모후산강우레이더관측소
△드론

△모후산 정상

 

 

▼유마사(維摩寺) 

△유마사일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