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음악감상실
Préludes, Book I No. 8 'La fille aux cheveux de lin', L. 117/8
(The Girl with the Flaxen Hair)
드뷔시 / 전주곡 1권 8번, '아마빛 머리카락의 소녀'
Claude Achille Debussy, 1862~1918
Albrecht Mayer, oboeMathias Mönius, cond.Academy of St. Martin in the Fields
Joshua Bell, violin
Ofra Harnoy, cello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piano
Yeol Eum Son, piano (피아노 : 손열음)
2010
Stephen McGhee, cello
Tom Joyce, piano
Seattle First Baptist Church, September 5, 2009
Ensemble à LImproviste
Joris Roelofs, altsax/klarinet
Jasper Blom, altsax/sopraansax
Clemens van der Feen, bas(bass)
Kris Goessens, piano
Onno Govaert, drums
15-3-09 in het Bimhuis tijdens het VPROJazzLive weekend
Jascha Heifetz, violin
Emanuel Bay, piano
David Oistrakh, violin
Frida Bauer, piano
1. Danseuses de Delphes 델파이의 무희들
이 곡은 드뷔시가 델파이의 아폴로 신전 기둥(아칸투스 기둥)을 찍어 놓은 사진을 루브르에서 보고 영감을 얻어 작곡한 것이라고 한다. Marguerite Long은 드뷔시의 연주를 다음과 같이 회고하였다.
"드뷔시는 이 곡을 느리게, 거의 메트로놈과도 같이 정확하게 연주했다. 그의 음가는 푹신하면서도 엄숙한 밀도를 유지해서, [이 곡이] 연상시키고 있는 부조 작품의 형상은 무희라기보다는 여사제가 되었다. 마지막 두 음은 엎드려 기도하는 것 같았다."
아칸투스 기둥2. Voiles 돛
이 곡의 제목인 Voiles은 돛을 의미할 수도 있고 베일을 의미할 수도 있는 명사이다. 잔잔한 저녁 바다 위를 미끄러져 가는 하얀 돛단배를 연상시키는 곡이지만, 드뷔시는 이런 해석을 경계하며 "이 곡은 해변의 사진이 아니다"라고 말했다고 한다. 한편 이 곡의 제목을 무용수의 '베일'로 보는 의견도 있다.
3. Le vent dans la plaine 벌판의 바람
이 곡의 제목은 Verlaine의 시 '잊혀진 아리에타'에 나오는 표현이다."살며시 부는, 알 수 없는 곳으로부터 오는 약간 신비로운 바람이 갈대들(계속되는 아르페지오)을 떨게 합니다."
4. Les sons et les parfums tournent dans l'air du soir 소리와 향기가 저녁 공기 안에서 맴도네
보들레르의 유명한 시 '저녁의 하모니'에 나오는 한 행을 제목으로 한 곡이다. "꽃이 각자 줄기 위에서 떨며향로처럼 향을 발산하는 시간이 왔구나.소리와 향기가 저녁 공기 안에서 맴도네.우울한 왈츠, 서글픈 아찔함이여!"
5. Les collines d’Anacapri 아나카프리의 언덕
아나카프리는 나폴리 근처 카프리 섬에 있는 마을이다.
아나카프리 언덕에서 찍은 사진
6. Des pas sur la neige 눈 위의 발자취
유쾌하고 따듯한 '아나카프리의 언덕'을 작곡한 다음 날인 1909년 12월 27일, 드뷔시는 조용하고, 이루 말할 수 없는 고독에 젖은 곡을 작곡한다. 드뷔시는 이 곡의 리듬이 "슬프고 얼어붙은 풍경의 배경과 같은 음가"를 가져야 한다고 했다. 이 곡은 'Children's corner의 The snow is dancing과 반대되는 곡이라고 할 수 있다.
7. Ce qu'a vu le vent d'ouest 서풍이 본 것
이 곡은 안데르센의 천국의 정원과 관련이 있다고 하지만, 곡의 분위기로 볼 때 셸리(Shelley)의 '서풍에 부치는 노래'와의 연관성을 제기하는 의견도 있다. 셸리의 시에 나오는 "너의 힘찬 하모니의 격동"이라는 표현이 이 곡의 분위기를 잘 설명해준다.
8. La fille aux cheveux de lin 아마빛 머리의 소녀
이 곡의 제목은 르콩트 드 릴(Leconte de Lisle)의 시의 제목에서 가져왔다.
"나는 너의 머리카락에 입맞추고 싶고, 네 입술의 자주빛을 누르고 싶다!"
9. La sérénade interrompue 중단된 세레나데
이 곡은 스페인의 춤곡 jota(호타)를 연상케하는 3/8박자 곡으로, 기타의 나라 스페인으로 우리를 안내한다. 스타카토 리듬이 기타 연주를 듣는 것 같은 느낌을 준다. A. Cortot는 이 곡에 대해, "길바닥에서의 천 가지 사건들이 우리의 불쌍한 돈 후안의 연가를 멈추게 한다"라고 표현했다.
10. La cathédrale engloutie 가라앉은 대성당
이 곡은 바다 속에 가라앉은 이스(Ys) 섬의 전설(프랑스 브르타뉴 지방 전설)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드뷔시가 존경했던 랄로의 오페라 <이스의 왕 Le roi d’Ys>을 본 것이 계기가 되었다.
물속에서 울리는 성당의 종소리 묘사가 특히 매력적이다.
11. La danse de Puck 퍽크의 춤
이 곡은 셰익스피어의 <한여름밤의 꿈>에 Arthur Rackham이 일러스레이션을 한 것을 보고 영감을 받은 것이라고 한다.
Arthur Rackham의 일러스트레이션
12. Minstrels 음유시인
이 곡은 영국에서 본 광대들의 음악에서 영감을 얻었다는 설도 있고, 당시 파리에 소개되기 시작하던 흑인 음악가들의 재즈 음악에서 영감을 얻었다는 설도 있다.
프랑스의 대표적인 작곡가 Debussy(1862~1918)의 La Fille Aux Cheveux De Lin (아마빛 머리의 소녀)는 미뉴에트(1890) 등과 함께 그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꼽힌다. 인상주의의 대표적인 작곡가이기도 한 드뷔시는 피아노와 실내악등에서 많은 명작을 남긴 위대한 작곡가 중 한 사람이다.
대부분의 작곡가들의 음악은 그들의 작품집에 실린 순서에 의하여 이름이 매겨지는데 이 곡 '아마빛 머리의 소녀'는 그이 피아노 전집중 8번째로 실린 곡으로' Ce qu'a vu le vent d'ouest'에 이어져 아름다운 선율을 우리에게 들려주고 있다.
특히 이 곡은 애드가 앨런 포우등의 작품을 음악의 소재로 사용했던 드뷔시가 프랑스 작가인 르콩드 드릴(Leconte de Lisle, 1818~1894)의 시에 나오는 소녀에게서 영감을 받아 작곡한 곡으로 알려져 있다. 이곡의 모태가 되었던 작가 르콩트 드 릴은 프랑스 고답파의 대표자로 그의 시의 대부분은 죽음에의 동경, 삶의 회의, 사랑의 비관 등을 노래한 염세적인 시를 주로 쓴 작가이다. 이 곡에 감춰진 듯 비춰지는 순간 순간의 애절함은 이러한 시인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조용하지만 애절한 슬픈 사랑에 어울리는 곡이다.
드뷔시는 그 동안 작곡한 총24곡의 전주곡을 정리하여 2권으로 나누어 제1권은 1910년에, 제2권은 1912년에 출판하였다. '아마빛 머리의 소녀'는 제1권의 8번 곡으로 르콩트 드 릴의 시에 나오는 소녀에게 바쳐진, 다정하고 감미로운 화음의 곡이다.
이 곡은 드뷔시의 첫번째 프렐류드 모음집에 있는 작품중의 하나로 원래는 피아노 곡이지만 바이올린 곡으로도 연주되기도 하고 또 그 선율의 아름다움과 정적인 분위기가 하프의 음색과 어울려 하프로도 많이 편곡되어 연주되고 있다.
이곡에서 드뷔시의 독특한 인상적인 색채는 하프의 아르페지오에 의한 음의 분산을 통해 마치 인상파 화가의 경계가 불분명한 그림처럼 풍성하고 여유롭게 표현되고 있다. 드뷔시는 `아마빛 머리의 소녀'에서 긴 속눈썹과 부드러운 금발의 곱슬머리를 가진 처녀를 그리고 있다. 소녀의 머리카락은 마치 구름속 선녀의 머리처럼 부드럽고 따사로우며, 그녀의 입술은 붉은 체리빛깔의 달콤함을 머금고 있으리라 상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