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음악감상실
Violin Concerto in A minor, Op.82
글라주노프 / 바이올린 협주곡 A단조 Op.82
Alexander Glazunov 1865~1936
Jascha Heifetz, violin
Sir John Barbirolli, cond.
London Philharmonic Orchestra
글라주노프의 바이올린 협주곡은 드보르자크의 바이올린 협주곡에 기원을 두고 있다. 드보르자크의 바이올린 협주곡을 상기시키는 듯한 악기의 독자적인 연주가 특징이다. 그의 바이올린 협주곡은 낭만적인 음악적 언어의 전달이며, 유사하면서도 러시아적인 독특한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1악장 Andante maestoso
I. Andante maestoso
Nathan Milstein, violin
William Steinberg, cond.
Pittsburgh Symphony Orchestra
2악장 Andante
II. Andante
3악장 Scherzo: Allegro
III. Scherzo: Allegro
Aleksandr Konstaninovich Glazunov,
(1865.8.10 Saint Petersburg, Russia~1936.3.21 Paris, France)
러시아에서 차이코프스키의 뒤를 잇는 중요한 교향곡 작곡가. M. A. 발라키레프에게 피아노를 배운 글라주노프의 어머니는 뛰어난 재능을 지닌 아들을 자기 선생에게 데리고 갔다. 글라주노프는 그의 권고로 1880년부터 림스키코르사코프에게 배우게 되었다. 1882년 발라키레프는 글라주노프가 작곡한 교향곡 1번을 연주했고 1886년 백만장자 목재 상인인 M. P. 벨랴예프가 그 수정본을 출판했다. 벨랴예프는 또한 자신의 이름을 따서 유명한 음악 출판사를 세웠는데 글라주노프가 나중에 그 운영을 도왔다.
2개의 현악4중주곡과 그리스 민요에 의한 서곡, 교향시 〈스텐카 라진 Stenka Razin〉을 작곡한데 이어 1886년에 교향곡 2번을 완성했다. 당시 그는 러시아 민족주의 음악가들의 계승자로 인정받았으며, 그들과 같은 양식으로 작곡했다. 또한 1884년 바이마르에 있는 리스트를 방문하여 그의 영향을 받았고, 그밖에 특히 바그너와 차이코프스키의 영향도 뒤에 나타난다.
교향곡 4번·5번·6번과 발레곡들인 〈레이몬다 Raymonda〉·〈사랑의 술책 Ruses d'amour〉·〈사계 Les Saisons〉 등 대부분 주요 작품들은 1890년대에 작곡되었다. 1904년에 〈바이올린 협주곡 A단조〉를 썼고, 1906년에 마지막 교향곡인 제8번을 완성했다. 1905년에는 자신이 1899년부터 가르쳤던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의 원장이 되었다. 1906년 이후에 쓴 주목할 만한 작품은 2개의 피아노 협주곡(1911, 1917), 2개의 현악4중주곡(1920, 1930), 첼로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콘체르토발라타 Concerto-Ballata〉(1931), 색소폰·플루트·현을 위한 협주곡(1934) 등이 있다.
그는 러시아 혁명(1917) 후 1928년까지 상트페테부르크 음악원 원장으로 있다가 고립감을 느껴 결국 소련을 떠났다. 그후 미국에서 순회공연(1929~30)을 했으나, 좋은 반응을 얻지 못했고 그 뒤로는 파리에 정착하여 여생을 그곳에서 보냈다.
그는 음악하기 전에는 불가리아에서 법학을 공부하던 법률학도였다. 어떻게 하다가 불가리아의 왕의 기념식자리에서 노래를 불렀는데 그의 소리를 들어본 불가리아의 왕이 그의 소리에 탄복하여 그를 이태리로 유학을 주선하였다는 일화가 있다. 그는 다른 대가들보다 다소 늦게 입문하였다. 그는 28살에 대뷔하여 2차대전을 거쳐 보다 본격적인 활동이 시작되었다.
알렉산드르 글라주노프는 러시아 후기 낭만주의의 주요 작곡가이다. 비록 오늘날에는 바이올린 협주곡, 발레음악 '라이몬다'와 '사계'의 작곡가 정도로 제한된 명성을 누리고 있지만, 당대에는 9편의 교향곡, 4편의 협주곡, 7편의 현악4중주, 그리고 4편의 발레음악 등을 발표하며 러시아 기악음악의 대표주자로 각광받던 인물이다. 림스키코르사코프의 제자였던 그는 16세 때 첫 교향곡을 작곡했을 정도로 천재였고, 성장해서는 저명한 작곡가 겸 지휘자로 국제적으로 활약했으며, 라흐마니노프 이전에는 차이코프스키의 후계자로 거론되기도 했다.
바이올린 협주곡 a단조는 그가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의 원장으로 취임하던 해인 1905년 발표한 작품으로 초연시 독주를 맡았던 레오폴트 아우어에게 헌정됐으며, 오늘날 그의 대표작으로 여겨지고 있다.
글라주노프는 이 작품을 쓰면서 멘델스존과 생상스의 협주곡들을 연구했고, 그 결과 구성면에서 전통적인 방식을 참고하되 표면적으로는 단악장처럼 보이는 독특한 형식을 만들어냈다.
즉, 이 곡은 크게 3개의 악장으로 나눌 수 있지만 각 악장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특히 느린 악장은 제1악장의 제시부와 발전부 사이에 삽입된 것 처럼 보인다.
모데라토 템포의 목관이 감각적으로 새기는 리듬으로 출발해 곧 바이올린 솔로가 가세하며 주제 제시부로 진입한다. 풍부한 저음역으로부터 경묘한 고음역에가지 매끄럽게 이어지는 제1주제는 러시아풍이며, 끈근한 느낌의 하강악구로 시작되는 제2주제는 차이코프스키 발레의 한 장면을 연상시킨다.
계속해서 스테르초풍의 악절이 나오는데, 그 직후 발전부로 넘어가리라 기대되는 대목에서 갑자기 템포가 뚝 떨어지며음악은 휴지부에 도달한다.
이후 음악은 다채롭고 변화무쌍한 흐름을 보이다가, 바이올린 솔로의 눈부신 카덴차로 발전부를 마무리한다. 그리고 그 말미에서 트럼펫의 팡파르가 터져 나오며 알레그로 템포의 마지막 악장으로 넘어간다.
론도풍의 피날레는 바이올린 솔로의 현란한 기교 과시와 피콜로, 트라이앵글 등이 가세한 관현악의 능란한 뒷받침으로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으며, 마지막에는 꾸준한 가속을 통해서 열광적인 분위기를 조성하며 짜릿한 흥분속에 끝마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