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0 12

안면도수목원(2024.2.27)

수목원투어​안면도수목원 [安眠島樹木園]전화 : 041-674-5019, 635-7299, 7298주소 : 충청남도 태안군 안면읍 안면대로 3195-6사이트 : https://www.anmyonhuyang.go.kr:453/arboretum_main.asp안면도자연휴양림 사이트 : https://www.anmyonhuyang.go.kr:453/index.asp​ 안면도수목원은 충청남도 휴양림관리사업소에서 조성하여 2005년 8월 24일에 개원하였다. 안면도자연휴양림 인근에 숲 속의 고요함과 신비로움을 전해주며, 화려하지는 않지만 자연미를 그대로 살려 정겹고 다정하게 다가 설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되었다. 규모는 42만㎡이고, 2,121종의 수목유전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전체면적 중 15ha에 집중 조성된 ..

서울미식 100선

서울시, 11월 8∼14일 서울미식주간…'미식여행으로 초대' 서울시가 '2024 서울미식주간' 개최에 앞서 국내 미식 전문가 45인이 추천하는 레스토랑&바 리스트인 '2024 서울미식 100선'을 21일 발표했다.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서울미식 100선은 서울의 고유한 미식 문화를 전 세계에 알리기 위해 2020년부터 푸드 콘텐츠전문가, 미식 여행가, 식음 저널리스트 등 미식 전문가들이 독창성, 전문성, 화제성 등을 고려해 엄선한 서울의 대표 미식 안내서다.한식(21곳), 아시안(14곳), 양식(23곳), 그릴(11곳), 채식(10곳), 카페&디저트(10곳), 바&펍(11곳) 총 7개 분야로 구성됐다.한식뿐 아니라 장르의 경계를 넘어서는 양식 등을 선보이는 100곳을 만날 수 있다.전체 100곳 중 28..

112. 경남합천 미숭산(2024.9.21)

미숭산 [美崇山] 733.5/755/757m경상남도 합천군 야로면 미숭산로 미숭산(757m)은 합천군 야로면과 고령읍의 경계 지점에 위치한 고령군의 최고봉으로 옛날의 상원산이다. 가야산에서 남동쪽으로 경상남도 합천과 경상북도 고령을 가르며 뻗어 내린 산줄기가 가산, 북두산, 문수봉을 지나 미숭산을 일으켜 세운다. 미숭산은 비운의 역사를 품고 있는 산이다. 원래는 상원산으로 불렸으나 고려의 장군이었던 이미숭이란 사람이 조선을 건국한 이성계에 대항해 군사를 모으고 이 산에 성을 쌓아 고려를 회복하는 싸움을 벌였던 곳이다. 대세는 조선의 이씨 왕조 쪽으로 기운 상태였기 때문에 장군은 결국 고려 회복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순절했다고 전해진다. 산에 장군과 관련된 유적이 많이 남아 있어 대세와 명분 사이의 긴장감..

충주호 종댕이길(2024.4.28)

종댕이길사이트 : http://www.chungju.go.kr/tour/index.do 정선 정씨의 집성촌이자 시조를 모신 사당이 있는 심항산은 [종당산], [종댕이산]이라 불렸다. 충주댐 건설 후 사람들의 발길이 끊겼으나 2013년 총 8.5km의 [종댕이길]이라는 탐방로를 개통했다. 마즈막재 주차장에서 오솔길을 따라 내려가면 나오는 생태 연못이 종댕이길의 시작점이다. 길의 오른편에서는 충주호를 바라볼 수 있고 울창한 숲으로 이루어진 좁은 길이 이어진다. 길을 따라 팔각정, 출렁다리, 육각정과 같은 명소를 만나볼 수 있다.   산행기   코스 : 마즈막재-계명산-하종마을-상종마을-심항산숲해설안내소-원터정-출렁다리-하종마을일자 : 2024.4.28.(일) 충주 계명산과 종댕이길동행 : 좋은사람들 28인승..

여행가는 가을

금빛 단풍 옷 갈아입은 길… 한 걸음 내딛으면 가을이 물드네동아일보  [여행가는 가을] 문화체육관광부 추천 로컬100 & 코리아둘레길크게보기담양 3대 명품 숲 중 하나인 ‘메타세쿼이아 가로수길’(로컬100). 담양군청 제공 가을은 ‘단풍’이다. 언제 끝나는가 싶었던 여름이 물러가고 가을 숲들이 형형색색의 가을옷을 갈아입기에 바쁘다. 기다렸던 가을, 어디를 찾아야 온전히 가을 정취를 만끽할 수 있을까. 관광·지역문화 활성화 정책을 담당하는 문화체육관광부의 추천을 받아 여행하기 좋은 계절인 가을에 꼭 찾아가 봐야 할 ‘로컬100’과 ‘코리아둘레길’을 추려봤다. 전남 담양에는 로컬100 ‘3대 명품 숲’이 있다. 담양을 대표하는 대나무가 약 31만 ㎢ 면적에 빼곡히 조성돼 있는 ‘죽녹원’, 관방천을 따라 약 ..

'태어나 보니 선진국'을 만든 진짜 영웅은 누구인가

[최재붕의 디지털 신대륙]'태어나 보니 선진국'을 만든 진짜 영웅은 누구인가반도체 1위, 자동차 3위, 군사력 5위의 명실상부한 선진국기적 만든 건 민주화 세력이 아닌 자기 일 매진한 보통 사람들AI 대전환 성공하려면 개도국 시절같은 정치권력 다툼 중단을최재붕 성균관대 기계공학부 교수데이트 2024.09.04. 07:09​일러스트=김성규​요즘 대한민국의 국제적 위상이 예사롭지 않다. K팝을 중심으로 한류 열풍이 세계를 휩쓸고 있다는 이야기는 식상할 정도다. 거기에 더해 K드라마, K웹툰, K무비 등이 인기를 누리더니 이제는 K푸드까지 팬덤이 폭발 중이다.​문화적 팬덤뿐만이 아니다. 세계 각국에서 우리나라 전투기, 탱크, 자주포, 미사일을 사겠다는 나라들이 줄을 선다. 체코는 우리에게 원자력발전소 건설을 ..

잡동사니 2024.10.19

강촌 옛철길과 레일바이크(2023.10.20)

강촌 옛철길과 레일바이크   2023.10.20(금) 강촌 옛철길과 레일바이크동행 : 남대문초교 17회 문정희, 예미자, 정영애, 박교원, 조승국, 박교원, 나 7명경비 : 회비 36,000원   동암역07:37-(급행)-용산역08:16/08:20-상봉역08:47/09:24-강촌역10:32/10:38-해뜨는집10:43/10:45-옛 백양리역11:50/12:02-엘리시안강촌12:48/13:15-백양리역(≒104/99.6, 7.58/7.649/7.6)13:23/13:31-강촌역13.36/13:38-명품숯불닭갈비13:42/15:31(중식)-강촌역15:45/15:53-김유정역15:58/16:00-레일파크16:08/17:36(레일바이크)-강촌떡볶이18:29/19:45-강촌역19:54/20:17-상봉역21:15/2..

경기남양주 고래산과 문안산(2021.9.19)

고래산 527/528.5/529m, 문안산 [文案山] 536.1m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조안면, 화도읍 특징남양주 와부읍 월문리와 화도면 차산리 경계를 이루는 고래산은 먹치고개(머치고개)를 사이에 두고 갑산과 직접 연결되어 갑산의 북동쪽에 위치하고 있다. 높이는 갑산보다 조금 낮으며 전체적인 산의 규모는 두 산이 비슷하다. 능선을 넘는 거리를 합산하면 3,2km 남짓 된다. 산록은 평범하나 정상에는 자그마한 봉우리 3,4개가 솟아 독특한 분위기를 풍긴다. 산행은 갑산, 북동쪽의 문안산과 연결하여 산행하는 것이 편리하다. 재재기고개에서 동서로 난 길을 따라 하산하는 데는 3km이상의 워킹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재재기고개에서의 동쪽조망이 특히 수려하다.   고래산은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월문리·조안면 시..

111. 지리산 노고단(2024.9.1)

노고단 [老姑壇] 1,507m전남 구례군 산동면(山洞面)과 토지면(土旨面)의 경계에 있는 지리산 봉우리.  전라남도 구례군 산동면과 토지면에 걸쳐 있는 지리산 봉우리. 높이 : 1507m. 지리산 능선의 서쪽에 위치하는 봉우리로 천왕봉에서 23.6km 떨어져 있다. 지리산의 최고봉인 천왕봉(1,915m), 반야봉(1,732m)과 더불어 3대 주봉으로 불리는 유명한 봉우리다. 삼국시대 지리산은 신성시되어 산신제를 올렸는데 도교에서 국모신인 서술성모(西述聖母) 할미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할미당이 있어 늙은 할미를 뜻하는 한자어로 노고단(老姑壇)이라는 지명이 유래하게 되었다. 노고단의 정상부는 고도 1500m를 넘나드는 곳으로 침식이 심하여 암반노출지와 섞여 있는 암쇄토 위에 초원을 이루는데 나무는 거의 없고 ..

경기남양주 백봉산(2013.12.1 & 2021.8.22)

백봉산 [白峰山/栢峰山] 587.2/589.9/590m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특징, 볼거리백봉은 서울근교에 있는 산으로서 마치고개를 사이에 두고 북쪽에는 천마산, 남쪽에는 백봉이 서로 마주보고 있는 산이다. 높이는 낮으나 소나무와 잡목 등 울창한 산림이 우거져 아름다운 산세를 보여주고 있으며, 동쪽으로 한강을 끼고 있어 전망이 뛰어 나고 교통편이 좋은 산이다. 정상 남쪽 산자락에는 신라 문무왕 때 원효대사가 창건했다는 묘적사가 자리잡고 있다. 이 사찰은 조선 세종대왕때 학열대사가 불사를 새로 지었으며, 그후 남북 군영을 세워 무과시험을 보다가 임진왜란 때 사명대사가 승병을 훈련시켰던 곳으로 소실되었다가 재증축하였다고 한다.   자가차량을 이용할 시에는 묘적사에서 시작하는 것이 좋으며, 대중교통을 이용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