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여행기/100+(플러스) 명산

86. 전북무주 적상산(2022.2.4 외)

박연서원 2023. 1. 23. 09:56

적상산 [赤裳山] 1034/1038m

전북 무주군 적상면

 

특징, 볼거리

적상산은 사면이 절벽으로 둘러싸여 가을 단풍이 붉게 물들면 여인네의 치마와 같다 하여 적상이라는 이름이 붙어졌다. 가을뿐만 아니라 철따라 독특한 개성미를 가득 뿌린다. 적상산에는 장도바위, 장군바위 등 자연 명소와 함께 최영 장군이 건의하여 축조했다는 적상산성(사적 제 146호)이 있다.

현재의 성은 조선 인조6년(1628년) 다시 쌓은 것으로서 둘레가 8.143㎞에 이른다. 적상산성 안에는 고찰 안국사 등 유서깊은 문화유적이 운치를 더해 준다. 적상산은 적상면 중앙에 솟은 향로봉과 기봉 두 봉우리를 주봉으로 한다.

북쪽 향로봉과 남쪽 기봉이 마주하고 있는 정상일대는, 흙으로 덮인 토산이라 원시림을 방불케 할 정도로 나무가 울창하다. 하지만 지면에서 800-900m 가량되는 산허리 까지는 층암절벽이 병풍처럼 겹겹이 둘러싸고 있는 바위산이다.

험한 바위산인 탓에 등산로는 서창리 지소 쪽이나 조금 아래 쪽으로 내려가서 안국사로 오르는 적상교가 일반적이나 안국사로 오르는 길은 돌비탈을 지나야 하고 길도 애매해서 지소 쪽에서 산행을 시작하는 것이 좋다.

산 안쪽에는 분지(해발 800m)에 물길을 가로막아 양수발전소를 건설하는 바람에 산정에 인공호수가 생겼고, 산 위 안국사까지 포장된 도로가 개설되어 등산의 즐거움을 반감시키고 말았으나 적상산의 걸출한 산세는 결코 산행 대상지로서의 면모를 잃지 않고 있으며 산상의 댐은 또 하나의 명소가 되어 있다.

 

산림청 선정 100대 명산

가을에 마치 온 산이 빨간 치마를 입은 여인네의 모습과 같다 하여 이름이 붙여질 정도로 경관이 뛰어나며 덕유산 국립공원구역인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되었다.

고려 공민왕 23년(1374) 최영 장군이 탐라를 토벌한 후 귀경길에 이 곳을 지나다가 산의 형세가 요새로서 적지임을 알고 왕에게 건의하여 축성된 적상산성(사적 제146호)과 안국사 등이 유명하다.

 

명소

♣ 안국사 : 적상산성내에 있는 고찰로 고려 충렬왕 3년(1227년) 월인화상이 창건했다고 한다. 이 절은 임진왜란때에는 승병의 병사로 사용되고 적상사고가 설치되기도 했으며, 상부댐 건설관계로 호국사지 자리로이전 신축되었다. 지금도 중창불사가 한창 진행중이다.

♣ 안렴대 : 적상산은 정상 남쪽 층암절벽 위에 위치한 안렴대는 사방이 천길 낭떠러지로 내려다 보여 이곳을 오르는 사람들의 마음을 아슬아슬하게 한다. 고려때 거란의 침입이 있었을 때 삼도 안렴사가 군사들을 이끌고 이곳으로 들어와 진을 치고 난을 피한 곳이라 하여 안렴대라 했다고 한다. 또한 병자호란 때는 적상산 사고 실록을 안렴대 바위밑에 있는 석실로 옮겨 난을 피했다는 유서 깊은 사적지이다.

♣ 장도바위 : 적상산성 서문아래 하늘을 찌를 듯이 서있는 이 바위는 고려 말 최영장군이 적상산을 오르다가 길이 막혀 장도를 내리쳐 길을 내고 올라갔다는 전설이 있다.

♣ 적상산 산정호수 : 적상산 분지(해발 800m)에 위치한 인공호수로 양수 발전소에 필요한 물을 담아두기 위해 만든 댐으로 적상호라 명명되었다.

무주읍에서 산정호수까지 포장된 도로가 통행되어 드라이브를 즐길수 있고 산정호수를 관광하는 것 외에도 천일폭포, 적상산성, 안국사 등의 명승탐방과 전망대에 올라 원경을 둘러보는 즐거움도 있다. 또한 산 아래에 있는 하부댐을 구경하고 아울러 무주양수 발전소를 견학 할수 있어 새로운 관광 명소로 떠오르고 있다.

 

산행 코스

•서문(장도바위) - 능선갈림길- 향로봉- 안렴대 - 안국사 - 산정호수

•산정호수 - 안국사- 안렴대- 향로봉 - 능선갈림길 - 안렴대 1Km - 안국사 - 산정호수

 

♠제1코스(3시간30분) : 서창마을입구 - 서창매표소 - 샘터 - 장도바위 - 서문 - 주능선 갈림길 - 향로봉- 주능선갈림길 - 적상산(기봉) - 주능선삼거리 - 안렴대 - 안국사

♠제2코스(6시간) : 서창마을입구 - 서창매표소 - 샘터 - 장도바위 - 서문 - 주능선 사거리 - 향로봉 - 주능선사거리 - 적상산(기봉) - 주능선삼거리 - 안렴대 - 안국사 - 삼거리 - 북창매표소 - 내북창 - 외북창 정류장

♠제3코스(5시간) : 서창마을입구 - 서창매표소 - 샘터 - 장도바위 - 서문 - 주능선사거리 - 향로봉 - 주능선사거리 - 적상산(기봉) - 주능선삼거리 - 안렴대 - 학송대 - 안시내 - 적상교

 

산행 길잡이

산행기점은 일반적으로 서창리 지소가 일반적이다. 지소 조금 아래쪽 안국사로 오르는 길은 돌비탈을 지나야 하고 길도 애매하므로 지소에서 시작한다. 무주에서 괴목으로 가는 버스를 타고 북창마을 입구에서 내린다. 덕유산국립공원 안내 입간판이 보이는 길로 들어서면 포장도로이다.

여기서 왼쪽 대로를 따라 오르면 샘터가 있다. 완만한 길을 따라 1시간 정도 오르면 틈새가 갈라진 커다란 장도바위가 보인다. 장도바위를 지나면 산성이다. 산성에서 얼마쯤 가다보면 사방으로 갈림길이 나있는 능선이다. 외쪽으로 가면 향로봉, 오른쪽이 정상인 기봉으로 오르는 길이다.

 

적상산 등산코스는 서창마을코스와 학송대코스, 북창리코스 등이 있는데 기점은 서창마을을 잡고 하산은 학송대나 안국사로 하면 좋을 것 같다. 안국사에서 북창리 버스정류장까지는 걸어서 약 2시간 정도 거리이며 포장된 도로이기 때문에 무척 지루한 길이다. 그래서 이 길은 차량을 이용할 때는 좋으나 대중교통을 이용할시에는 서창마을로 올라 학송대로 하산하면 좋다.

또 적상산 정상 기봉에는 통신시설이 들어서 있어 정상 기능을 못하고 있기 때문에 향로봉을 정상으로 생각하고 산행하면 된다. 그리고 기봉에서 바로 안국사로 하산하지 말고 꼭 안렴대를 거쳐 하산할 것을 권하고 싶다. 안렴대에 서면 사방으로 시원한 조망이 펼져지고 덕유산의 주능선과 멀리 남덕유산까지 눈에 들어 오기 때문이다.

 

대중 교통

무주로 가서 버스를 갈아 탄다.

무주읍내 - 적상(서창입구) 8.5Km 버스편 (15분소요)

무주는 경부선 열차를 이용 영동에서 하차하여 무주행버스를 타거나

서울 남부터미널에서 1일 6회(3시간 20분소요) 운행하는 무주행 버스를 이용한다.

 

현지교통

무주읍내 - 북창 4Km - 산정호수 11.9Km, 승용차편(40분소요)

무주읍내 - 적상(서창입구) 8.5Km 버스편 (15분소요)

무주 - 북창리(괴목행) : 군내버스 8시 50분.(일요일만). 배차간격 10회.

무주 - 서창(적상행) : 군내버스 7시 10분~17시 46분. 배차간격 30분

 

◇ 서울 - 무주

* 서울 남부버스터미널에서 무주행 직행버스를 이용 (1일 5회 운행, 3시간 소요)

(08:30, 09:20, 10:40, 13:40, 14;35)

◇ 무주 - 사천리, 내북창, 괴목리

* 무주 공용터미널에서 안성행 완행버스를 이용하여 서창마을 입구에서 하차한다.

(07:20~19:40까지 1일 14회 운행, 30~60분 간격으로 운행, 15분 소요)

* 무주 공용터미널에서 괴목리행 군내버스를 이용하여 북창리에서 하차한다.

(1일 10회 운행)

◇ 무주 - 서울

* 무주터미널에서 서울남부터미널행은 1일 5회 운행

(09:45, 11:05, 14:30, 15:35, 17:45, 3시간 소요)

 

도로 안내

대전-통영 간 고속도로 무주IC - 19번 국도 - 무주읍 - 당산리 - 727번 지방도방 - 북창리 -적상산 매표소 - 산정호수 주차장 - 안국사 주차장

 

산행기

 

1. 서창매표소-장도바위-적상산-안렴대-치목마을(괴목리)

일자 : 2001.11.13(화)

 

간석동07:00-만수동07:15-천안휴게소08:40/09:05-인삼랜드휴게소09:50/10:05-무주IC10:20-서창입구11:10-서창매표소11:20-샘터11:45-장도바위12:15-적상산서문지12:20-능선갈림길(향로봉0.5,안국사1.0)12:35/12:45-적상산13:05/13:30(중식)-안국사갈림길13:40-안렴대13:45-능선절골(절고개)14:45-치목마을15:15/16:10-무주IC16:28-신탄진휴게소17:00/17:17-안성휴게소18:10/18:37-군자TG19:50-간석동20:20

(산행시간 총4시간, 순3시간30분)

 

2. 치목마을(괴목리)-안렴대-적상산-상부댐(적상호)-북창리매표소-외북창

일자 : 2002.1.8(화)

 

만수동06:10-죽암휴게소07:50/08:10-무주IC08:58-덕유산 삼공리매표소(공원관리사무소)09:35/09:40-괴목리 치목마을10:35/10:40-주능선13:00-안렴대13:20-안국사갈림길13:25-적상산13:30/13:40-상부댐(적상호)13:55/14:00-북창리매표소15:25-외북창매점15:40/16:20(중식)-입장휴게소17:55/18:15-만수소방서20:00

(산행시간 총5시간)

 

3. 치목마을-송대폭포-적상호-안국사-안렴대-적상산-향로봉-서창마을

일자 : 2022.2.4(금) 무주 적상산

동행 : 좋은사람들 28인승 버스 1대(대장 동규, 기사 4193 김봉준)

 

동암역05:48-(급행)-신도림역06:14/06:18-사당역1번출구06:36/06:50-양재역07:02/07:03-금산인삼랜드휴게소08:55/09:15-무주IC09:33-치목마을입구(≒361/335/362)09:45/09:48-치목마을버스정류장,치목마을경로당09:51-이정표(→향로봉5.0,↓치목마을0.6)09:52-이정표(←안국사3.7,↓치목마을0.1)09:54-(덕유09-01)이정목(440)10:09-(덕유09-02)이정목(530)10:19-(덕유09-03)이정목(600)10:30-송대폭포(↑상부댐1.1,↓치목마을1.6)10:35/10:36-(덕유09-04)이정목(703)10:46-(덕유09-05)이정목(835)11:01-이정표(↑안국사1.2,↓치목마을2.5,송대0.9)11:02-이정표(←안국사1.1,↓치목마을2.7,송대1.1)11:09-적상호,적상산사고(赤裳山史庫)

11:10/11:13-안국사일주문(↑향로봉1.7,↓치목마을3.7)11:25/11:26-안국사(安國寺),적상산성(↑안렴대0.5,↓전망대2.3)11:28/11:31-이정표(→안렴대0.3,↓안국사0.2)11:37-3거리(←안렴대0.15,→향로봉1.6,↓안국사0.5)11:42-(좌)-안렴대(按廉臺, ≒1104/1076.7/1110.3, 4.46/4.38/4.4)11:43/11:46-3거리(↑향로봉1.6,→안국사0.5,↓안렴대0.15)11:47-(직진)-3거리(↑향로봉1.5,→안국사0.2,↓안렴대0.3)11:50-(덕유02-06)이정목(950)12:05-향로봉(1024,≒1101/1066.2/1100.2, 6.2/6.111/6.1)12:14/12:21-(덕유02-06)이정목,향로봉3거리(950,≒1038/1010.1/1037.8, 6.87/6.781/6.8, ←안국사1.0,→서창공원지킴터2.8,↓향로봉0.7)12:30/12:31-(우)-적상산성 서문지(西門址),이정표(↑서창공원지킴터2.4,↓안국사1.4,향로봉1.1)12:39-장도바위(將刀岩)12:43-(덕유02-04)이정목(780)12:49-(덕유02-03)이정목(656)12:58-이정표(↑서창공원지킴터1.4,↓안국사2.4,향로봉2.1)13:02-(덕유02-02)이정목(558)13:07-이정표(↑서창공원지킴터0.6,↓안국사3.2,향로봉2.9)13:14-(덕유02-01)이정목(448)13:15-등산로입구(←서창마을0.1,↓안국사3.7,향로봉3.4)13:23-산촌순두부(≒401/373.8/401.8, 10.09/9.874/9.9)13:25/14:40(중식:순두부찌개,막걸리)-서창마을 주차장(≒355/328/355.1, 11.1/10.845/10.4)14:45/15:05-천안삼거리휴게소16:22/16:35-양재역17:36/17:47-사당역14번출구17:51/17:56-신도림역18:14/18:18-(급행)-동암역18:45

(산행거리 11.1/10.84/10.4km, 산행시간 총4시간57분, 순4시간23분/1분/3시간44분,

 평균속도 2.5/2.69/2.8km/h, 최고고도 1108/1081/1108m, 시작고도 361m, 최저고도 326m)

※산촌마을(산촌순두부) 063-324-1585 전북 무주군 적상면 서창로 110 (사천리 169)

 

 

▼송대폭포

△송대폭포

 

△적상산사고 ( 赤裳山史庫 )

 

▼적상호와 적상산사고(赤裳山史庫)

△적상호와 적상산사고(赤裳山史庫)

 

 

▼안국사(安國寺)

△안국사

 

 

▼안렴대(按廉臺)

△안렴대

 

△적상산성 표지석

 

▼향로봉

 

▼서문지(西門址)

△서문지

 

 

▼장도바위(將刀岩)

△장도바위

 

 

▼산촌마을(산촌순두부)

△산촌마을(산촌순두부)에서 점심식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