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도(쑥섬) [艾島]
전라남도 고흥군 봉래면 애도길 41 (사양리)
- 위치 : 전남 고흥군 봉래면 애도길 41일원
- 면적 : 약 2.1ha (난대원시림 0.6ha)
- 주요수종 : 육박나무, 구실잣밤나무, 종가시나무, 동백나무, 후박나무 천선과나무 등
- 관리주체 : 애도마을(쑥섬)
- T : 010-8672-9222 쑥섬지기
- H : blog.naver.com/ssookseom
애도는 1665년 조선 현종때 장흥 관산에서 박종립이 이곳에 입도 설촌하였다. 원래는 돌산군에 속하였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고흥군 봉래면에 속하고 있다. 외지 사람들이 쑥을 캐러 올 정도로 쑥이 지천에 깔려서 예로부터 쑥섬으로 불렸으며, 한자로 애도라고 불렀다. 쑥섬(애도)으로 불리던 시기에는 어업이 발달해 마을이 부유하였는데, 이러한 이유로 마을 주민들은 쑥섬이라는 이름에 애착이 강해 기존 봉호마을(蓬:쑥봉, 湖:호수호)에서 애도마을(艾:쑥애, 島:섬도)로 명칭을 변경(2010. 9. 13)하였다.
현재 '쑥섬(애도)'에는 17가구, 섬 주민 20여명이 살고 있다.
하지만 주민 50%이상이 80대로 인구가 감소하면서 육지 사이를 다니던 배마저 끊기게 될 처지에 놓이자, 쑥섬지기로 쑥섬을 관리하던 김상현·고채훈 부부가 주민들을 설득해 400년만에 처음으로 쑥섬을 일반 관광객들에게 개방했다.
섬 (나로도) 속의 섬, 애도는 탁 트인 다도해 절경에, 방파제로 인근 무인도와 연결되면서 오랜 세월 풍상을 입은 기암괴석이 수평선을 바라보며 서있는 절경을 감상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울창한 난대림 및 사계절 정원 등 관광자원을 갖추고 있는 섬이나 아직 잘 알려지지 않은 섬이다.
현재는 300여 가지 꽃들이 바다와 어우러지는 국내 유일의 해상 꽃정원인 별정원과 200m 수국길, 겨울꽃 축제, 다도해와 수평선을 함께 보며 트레킹할 수 있는 3km의 몬당길, 수 백 년 된 돌담길, 남해안에서만 볼 수 있는 난대수종 원시림이 있는 자연관광지이자 힐링파크의 대표주자로 발돋움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또한 "힐링파크 쑥섬쑥섬"은 전라남도 제1호 민간정원이자, 교육부 "꿈길" 등록업체이다.
행안부&한국관광공사가 선정한 '찾아가고 싶은 섬'에 선정되었으며, 생명의숲 주관 '2017년 아름다운숲'으로 선정된 곳이기도 하다. 그리고 2016년 9월 KBS 1 '인간극장' "그 섬엔 비밀정원이 있다"와 2018년 3월 KBS 1 '한국인의 밥상' "남도의 봄마중 고흥"편, 광주 KBS '미니다큐' "쑥섬, 정원이 되다" 등 다수의 방송에 소개되었다.
작은 섬을 돌며 만날 수 있는 다채로운 숲
고흥군의 나로도항 맞은편에 있는 주민 십여명의 아주 작은 섬 애도마을. 예전부터 쑥이 많이 나와 쑥섬(애도)이라고 불린다. 선착장 주변으로 마을이 있으며 마을 뒤편으로 당숲이 있다. 사람의 발길이 거의 닿지 않은 난대원시림의 당숲을 지나면 다도해의 탁 트인 경관을 조망할 수 있는 정원이 있다. 전라남도 민간정원1호로 지정된 이 비밀의 정원은 애도마을의 숲을 가꾸며 마을만들기에 앞장서고 있는 김상현 부부의 땀으로 만들어진 곳이다. 몇 번의 경관 조망점을 지나 구석구석 소소한 마을주민의 이야기가 담긴 능선을 따라 하산하다보면 거대한 동백나무군락지를 만난다. 방파제 주변에 남아 있는 동백나무 거목들은 이른 봄의 쑥섬을 화려하게 장식한다.
400년간 신성시 해온 당숲, 문이 열리다
마을사람들은 나무가 귀한 섬임에도 불구하고 당숲의 나무를 땔감으로도 사용하지 않고 철저히 보호해왔다. 20년 전까지도 당제를 지냈는데, 제를 지내는 동안 개나 닭이 울면 무효가 된다하여 이 섬엔 개와 닭이 없다. 보통의 아낙들은 함부로 들어갈 수도 없었던 이곳을, 여러 차례 마을 회의 끝에 외부인에게 개방하기로 했다. 마을을 살리고 숲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주민들의 선택이다.
하늘을 가릴 만큼 빽빽한 상록활엽수들의 풍성함과 아름드리 육박나무가 성황당과 어우러져 신비로운 모습을 자아낸다.
여행기
1)2019.4.20(토)
코스 : 선착장-별정원-정상-신선대-성화등대-쌍우물-선착장
동행 : 좋은사람들 28인승 버스 1대 (대장 : 후리지아)
동암역22:47-(급행)-신도림역23:12/23:17-사당역23:34/23:50-오수휴게소(전북임실군오수면)02:32/02:48-봉래산주차장,탐방로입구(≒252/252.5, 봉래산2.3)05:09/05:33(조식)-3거리쉼터(↑봉래산2.2,↖편백숲1.4/1.9,↓주차장0.1)05:35/05:36-이정표(↑봉래산1.6,↓탐방로입구0.3)05:45-봉래산1.5km05:49-이정표(↑봉래산1.4,↓탐방로입구0.5)05:52-이정표(↑봉래산1.2,↓주차장1.1)05:57-이정표(↑봉래산1.1,↓탐방로입구0.8)05:59-절고개능선(≒324/324.9, 0.51/0.554)05:48/05:49-편백숲전망대(≒376/382, 0.952/1.022)06:00/06:08-봉래1봉(←봉래2봉0.5,↓주차장1.1)06:09-봉래산전망대06:10-봉래산1km06:11-이정표(↑봉래산0.9,↓탐방로입구1.0)06:14-봉래2봉(↑봉래산0.6,↓봉래1봉0.5)06:26-이정표(↑봉래산0.5,↓탐방로입구1.4)06:33-이정표(↑봉래산0.2,↓탐방로입구1.7)06:37-봉래산0.1km06:40-봉래산(410,≒408, 2.06/2.172, ↑시름재1.2,↓주차장2.2)06:44/06:55-이정표(↑편백숲길1.4,↓봉래산0.4)07:03-용송(龍松)07:13-시름재(≒346/350.3, 3.16/3.29, ↑편백숲0.5,↓봉래산1.2)07:21/07:22-편백숲입구3거리(↑우주센터2.2,←주차장1.9,↓봉래산1.7)07:30-(좌, 편백숲)-이정표(↑탐방로입구1.5,↓편백숲길0.4)07:50-3거리쉼터(≒264/261.1, 5.5/5.736/6.2/5.7, ↑주차장0.1,↙봉래산2.2,↓편백숲1.4/1.9)08:13/08:55-통신무선국주차장09:00/09:47-다도해회관10:00/10:45(중식:생선조림백반)-나로도연안여객선터미날11:00/11:39-(쑥섬호, 11톤,12명정원)-애도(쑥섬)선착장11:42/11:46-갈매기카페11:49/11:51-난대원시림11:54/12:00-환희의언덕12:03/12:05-별정원12:15/12:21-여자산포바위12:27/12:28-정상(83,≒78/78.4, 0.946/1.061)12:33/12:35-남자산포바위12:35-신선대12:39-성화등대12:43-해변전망대,중빠진굴(≒47/53.4, 1.2/1.356)12:46/13:22-쌍우물13:30/13:31-사랑의돌담길13:36/13:38-애도선착장(≒49/49.9, 1.85/2.075)13:40/14:00-(쑥섬호)-나로도선착장14:04/14:54-오수휴게소(전북임실군오수면)17:00/17:10-천안삼거리휴게소18:57/19:08-양재역20:15/20:16-사당역20:29-명동칼국수20:32/21:04(석식)-사당역21:07/21:15-신도림역21:34/21:43-(급행)-동암역22:09
(애도 산행거리 1.9/2.08/2.4/2.0km, 산행시간 총1시간54분, 순1시간16분/1시간10분, 평균속도 1.4/1.76/2.0km, 최고고도 80/81m, 최저고도 19m, 시작고도 51m)>
※다도해회관 061-834-5111 고흥군 봉래면 나로도항길 103-18
▼애도(쑥섬)
△갈매기카페(무인)
△난대원시림
△환희의 언덕
△별정원
△여자산포바위
△정상(해발83m)
△신선대
▼성화등대와 해변전망대
△성화등대
▼해변전망대
△신선대 & 중빠진 굴
△성화등대
△우끄터리 쌍우물
△아래끄터리 쌍우물
△사랑의 돌담길
▼애도선착장
▼외나로도
2)2020.11.8.(일)
코스 : 선착장-별정원-정상-신선대-성화등대-쌍우물-선착장
동행 : 좋은사람들 28인승 버스 2대 (대장: 장진이)
비용 : 41,000+현지경비7,000+중식8,000=56,000원
동암역05:39-(급행)-신도림역06:04/06:09-사당역06:26/06:42-양재역06:51/06:53-군산휴게소08:51/09:14-나로항여객선터미날 주차장12:11-예명식당12:20/12:45(중식:백반 8,000원)-나로항여객선터미날12:54-(쑥섬호, 12인승)-애도선착장12:56-갈매기카페12:59-환희의 언덕13:05-별정원13:09/13:13-여자산포바위13:15-쑥섬정상(83)13:17/13:25-남자산포바위13:26-등대13:31/13:35-우끄터리쌍우물13:39/13:40-선착장(≒30/29.3/30.7, 1.96/2.012/2.1)13:49/14:10-(쑥섬호, 12인승)-나로항14:12/14:34-봉래산입구,무선국주차장(봉래면 예내리 산212-210, ≒260/260.1/259.8)14:47/14:52-나로우주센터 우주과학관(≒33/35.1/33.3, 3.31/3.343/3.5)15:31/16:00-편백나무숲16:30/16:36-무선국 주차장(≒251/251.8/251.2, 7.35/7.353/7.5)16:57/17:21-오수휴게소(임실군 오수면)19:28/19:41-양재역22:34/22:35-사당역22:46/22:51-신도림역23:10/23:24-동암역23:49
(애도 걸은거리 2.0/2.01/2.1km, 걸은시간 총53분, 순44분/43분, 평균속도 2.7/2.76/2.9km/h, 최고고도 100m, 시작고도 24m, 최저고도 23m) (외나로도 걸은거리 7.4/7.35/7.5km, 걸은시간 총2시간5분, 순1시간49분/57분/43분, 평균속도 4.1/3.76/4.4km/h, 최고고도 260m, 시작고도 260m, 최저고도 30m)
'산행‧여행기 > 섬(BAC 섬&산100+)' 카테고리의 다른 글
98. 인천옹진 연평도(2020.12.7) (0) | 2020.12.22 |
---|---|
97. 인천옹진 백아도(2020.11.10) (0) | 2020.12.03 |
95. 경남통영 수우도 은박산(2020.11.3) (0) | 2020.11.06 |
94. 충남보령 외연도 봉화산(2020.9.25) (0) | 2020.10.11 |
93. 전남강진 가우도 & 전남신안 섬티아고(2020.9.9 & 2022.2.22) (0) | 2020.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