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산도 [閑山島] 망산 [望山] 293.1/293.5/324m
경상남도 통영시 한산면(閑山面)
한산도는 한산면의 본섬으로, 면을 이루는 29개 유 · 무인도 가운데 가장 크다. 통영시 남동쪽에 있으며, 시에서 뱃길로 2km 정도 떨어져 있다. 한산도는 경남 통영에서 바라보았을 때 미륵도 왼쪽에 있는 자그마한 섬이다. 하지만 이 섬은 한산면의 주도이자 한려해상공원의 출발점이다. 즉 행정, 관광 등 여러 분야에서 꽤 중시되는 섬인 것이다. 인구는 17개 마을 615가구 1,079명이다.
특히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임진왜란 당시 조선을 침략한 왜군 함대를 한산도 앞바다에서 궤멸시켜 한산도대첩을 이끈 역사적인 장소다. 또한 임진왜란 당시 충무공 이순신 장군 휘하의 삼도수군통제영이 자리했던 곳이다.
특히 세계 4대해전 중 하나로 손꼽히는 한산대첩은 학익진과 거북선의 위력을 바탕으로 영세한 전력을 가지고 승리를 거둔 해전이다. 한산도해전에서 왜군의 주력을 괴멸한 아군은 남해안의 제해권을 다시 장악할 수 있었다.
지금도 한산도 곳곳에는 한산도해전에서 비롯된 지명들이 남아 있다. 추봉교 입구에 있는 마을이 한산도의 중심지 ‘진두(津頭, 陳頭)’마을이다. 오른쪽으로는 한산도에서 가장 높은 망산(293m)과 그 아래로 면사무소가 있다. 진두는 예로부터 추봉도, 용호도, 죽도를 잇는 큰 나루터였던 나리선 머리의 한자지명으로 생각된다.
임진왜란 때 우리 수군이 진을 쳤던 곳인 진두에서 변천된 지명이라는 설이 있다. 임진왜란 당시 우리 수군이 진을 치고 경비초소를 두어 통제영과의 연락보급과 담당구역의 해상경비 임무를 수행하던 곳(陣頭)이며, 또한 예부터 한산본도와 추봉도 사이의 좁은 해협을 연결하는 나루터(津頭)의 구실을 해왔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
면적은 14.8㎢, 인구는 1,489명(2004)이다. 한산면의 본섬으로, 면을 이루는 29개 유인도·무인도 가운데 가장 크다. 통영시 남동쪽에 있으며, 시에서 뱃길로 2㎞ 정도 떨어져 있다. 동쪽에는 비산도(飛山島)·송도(松島)·좌도(佐島:서좌도)가 있고, 남쪽에는 추봉도(秋峰島)가 있다.
섬 전체가 200m 안팎의 산지로 이루어져 있고, 크고 작은 골짜기를 따라 마을이 분포한다. 최고봉은 섬의 남쪽에 있는 망산(望山:293.1m)이다. 이 산의 동남쪽 기슭에서 발원한 한산천(閑山川)이 두억리(頭億里)를 거쳐 한산만으로 흘러든다. 해안은 대부분 암석으로 이루어져 있어 드나듦이 심하고, 전체적으로 절벽이 발달하였다. 서북쪽 어귀에는 한산만이 있고, 섬과 미륵도 사이에는 한산해협이 펼쳐져 있다. 1월 평균기온은 1℃ 안팎으로, 한겨울에도 영하로 내려 가는 날이 드물다. 연평균 강수량은 1,385㎜ 정도이다.
지명인 '한산'의 '한'은 크다는 뜻의 한자 '한(韓)'에서 유래하였다고 보는 것이 정설이다. 그 밖에 '한(閑)'을 '막다(禦)'는 뜻으로 풀이해 임진왜란 때 이순신(李舜臣) 장군이 왜적을 무찌른 곳이라 하여 붙었다는 설과 통영 앞바다에 한가로이 떠 있는 섬이라 하여 붙었다는 설도 전해진다.
주민 대부분은 농업과 어업을 겸한다. 경지 면적은 섬 전체 면적의 19% 정도이다. 주곡으로 약간의 벼를 재배하고, 특산물인 마늘 외에 참깨·무·배추 등도 재배한다. 수산물은 바지락·키조개 등 조개류가 많이 잡히고, 특히 한산멸치가 유명하다. 교통은 통영 여객선터미널에서 하루에 8회씩 여객선이 드나들고, 차량 운송선인 카페리도 운항한다. 시간은 30분 정도 걸리고, 여객 운임은 4,000원 안팎이다.
한려해상국립공원의 시발점이자, 세계적인 해전 가운데 하나로 꼽히는 한산도대첩이 있었던 곳으로, 연중 관광객이 끊이지 않는다. 문화재로는 충무공이 삼도수군통제영을 한산도로 옮기면서 지은 제승당(制勝堂:사적 113)과 관련 유적으로 이루어진 이충무공유적(사적 113)이 있다. 이 유적 외에 한려수도의 전경을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망산에도 임진왜란 당시 사용했던 봉수터와 유적지가 남아 있다.
통영에서 여객선으로 한산도를 찾아가는 30여 분의 시간은 한려해상국립공원의 아름다움을 마음껏 즐기는 시간이다. 잔잔한 바다 위에 크고 작은 모습으로 자리하는 섬들은 마을 잔치에 함께 모인 사람들처럼 친근하게 보인다. 크지도 낮지도 않은 섬의 풍경은 그야말로 그림 같은 아름다움을 보여준다. 한산도는 절벽 해안으로 구성된 바위섬이다. 육지의 관군이 모두 패배한 것과는 달리 이순신 장군을 중심으로 하는 수군은 거듭되는 승전고를 울리고 있었고 군수물품의 보급에 커다란 차질을 빚은 왜군은 총력전으로 승기를 잡기 위하여 대규모 함대를 구성하여 조선 수군을 공격하였다.
절대 열세의 병력과 함선으로 적을 맞은 이순신과 조선 수군은 한산도 인근 바다로 적을 유인하여 적선 70척 중 66척을 격파하는 대승을 거두었다. 한산대첩의 중심지였던 한산도는 수군의 본영자리였던 제승당을 중심으로 충무공 이순신의 유적지로 단장되어 있다. 제승당의 수루에 앉아 장군의 시조를 읊어보고 부드러운 산책길을 따라 섬에서 가장 높은 망산을 올라보자. 290m의 작은 산이지만 정상에서 바라보는 수많은 섬과 바다는 여객선에서 느꼈던 아름다움과는 또 다른 감동을 준다.
●망산등산코스
A코스 : 제승당 -> 망산정상 -> 야소 [약2시간 40분 소요]
B코스 : 제승당 -> 망산정상 -> 진두 [약2시간 20분 소요]
C코스 : 진두 -> 망산 -> 야소마을 [약1시간 30분 소요]
●선편 (한산도제승당여객선 1833-5880, 한산농협카페리 055-641-5366)
통영여객선터미널(1666-0960, 055-645-3717)에서 매일 오전 7시부터 오후 6시까지 1시간 간격으로 출항. 성수기 증항. 날씨와 여객수에 따라 배편에 변동이 있으니 반드시 사전에 확인하자. 한산도에서 통영항으로 나오는 배는 매일 오전 7시30분부터 오후 6시30분까지 1시간 간격으로 운항. 30분 소요. 왕복요금 성인 1만1000원, 청소년 1만원, 소아 5500원. 차량 선적 요금 별도, 왕복 소형차 2만400원, 중형차 2만8800원, 승합차 3만6000원. 인터넷 예매는 가보고 싶은 섬에서 가능.
요금 : 대인 왕복 11,000원 (경로 8,800원), 승용차 왕복 28,000원
통영항 출발(한산도제승당여객선)07:15, 09:30, 11:30, 13:30, 15:30,
17:05(동계 16:45), 18:30(동계 18:00)
(한산농협) 17:30, 19:05,
산행기
코스 : 제승당-망산-진두
일자 : 2020.8.8.(토)
동행 : 햇빛산악회 28인승 버스1대(27명, 대장 : 그린보이, 총무 : 더사세)
비용 : 기본회비129,000+현지경비30,000+맥주7,000+중식(통영중앙시장)20,000=186,000원
특기 : 망산은 등산로 전체가 잘 닦여져 있을 뿐 아니라 관리가 잘 되고 있는데다 운치가 있어 산행하기에 최적이지만 망산 오르는 길이 가파른 편이기 때문에 땀좀 흘려야 한다.
8/8(토)
동암역05:56-(급행)-신도림역06:21/06:27-사당역06:46/07:15-인삼랜드휴게소019:20/09:3113-통영항11:39/12:00-(유성해운 시파라다이스호., 5150원)-한산도 제승당선착장12:28/12:30-등산로입구(→망산4.7,진두7.2,야소7.512:36-(한려01-01)표지목(119, ↑망산,↓덮을개)12:48-(한려01-02)표지목(128)12:55-(한려01-03)표지목(146)13:05-(한려01-04)표지목(149)13:12-3거리(↑망산2.4,→제승당2.3,↓소고포1.2)13:19-(오르막경사)-(한려01-05)표지목(194)13:22-(내리막경사)-(한려01-06)표지목(181)13:29-(한려01-07)표지목(128),망산교13:37-(오르막경사)-(한려01-08)표지목(155)13:46-(오르막급경사)-(한려01-09)표지목(324),망산(324/293.5,≒317/318.9/319.6, 4.87/4.808/4.8, ↑야소2.8,←진두2.5,↓제승당4.7)14:06/14:17-(한려01-10)표지목(291)14:25-(한려01-11)표지목(264)14:34-이정표(↑진두1.0,↓망산1.5)14:40-(한려01-12)표지목(261),진두전망대14:41-(한려01-13)표지목(103)14:52-한산초중고14:57/14:59-진두항(≒41/40.8/41, 7.3/7.189/7.3)15:02/16:20-(대일해운 세종1호)-용초도 용초항16:42-용초마을표지석16:49/16:50-용초도민박16:57/17:00(들머리)-포로수용소 급수장(저수시설)17:11-용초공동묘지17:22-수동산정상(191.9)17:28/17:32-용초공동묘지17:36-용초언덕삼거리(↗용초마을,↙용머리해변,황금바위,↓수동산)17:47-(좌, 황금바위방향)-양식장앞삼거리(↑호두초소,↗황금바위,↓용초마을,수동산)17:53-(우)-용머리해변17:59/18:06-황금바위18:12/18:42-임도19:08(날머리)-(4륜전동차)-용초도민박 도착19:12-용초도민박19:15/20:00(석식:해물정식)-해변산책21:20/24:00
(한산도 망산 산행거리 7.4/7.19/7.3km, 산행시간 총2시간32분, 순2시간25분/21분/23분,
평균속도 3.0k/3.05/3.1m/h, 최고고도 319/320m, 시작고도 33m, 최저고도 32m)
(용초도 수동산 산행거리 6.1/5.49/6.1km, 산행시간 총2시간8분, 순1시간49분/45분/42분,
평균속도 3.3/3.12/3.6km/h, 최고고도 217/216m, 시작고도 42m, 최저고도 33m)
8/9(일)
숙소출발05:15-용초도민박05:20/05:30-포로수용소 급수장(저수시설)05:42-용초언덕삼거리(↑용머리해변,황금바위,↖수동산,↓용초마을)05:43-용머리해변05:55/06:00-황금바위06:07/06:22-용초도민박 도착06:50-용초도민박06:50/07:05(조식:전복죽)-용초항07:30/07:57-(낚시배)-비진도 내항08:08/08:13-한려해상국립공원 동부사무소(≒28/27.9/28.1, 2.27/2.269/2.2)08:44/09:08-한려해상국립공원 동부사무소(≒25/27.2/25.4, 3.96/3.907/4.0)09:30/11:20-비진도 외항11:30-(한솔3호)-통영항12:42/12:56-통영중앙시장 충청도회초장 욕지고등어회13:04/15:10(중식:회;정식)-인삼랜드휴게소17:09/17:22-신사역19:12/19:17-고속터미날역19:21/19:25-노량진역19:32/19:36-(급행)-동암역20:10
(용초도 황금바위 트레킹거리 3.9/4.1km, 트레킹시간 총1시간35분, 순1시간20분/18분,
평균속도 2.63/3.2km/h, 최고고도 117m, 최저고도 30m)
(비진도 트레킹거리 4.0/3.91/4.0km, 트레킹시간 총1시간17분, 순1시간17분/1분/1시간,
평균속도 3.5/3.8/3.9km/h, 최고고도 101/102m, 시작고도 36m, 최저고도 8m)
※충청도회초장 욕지고등어회 055-644-6862 경남 통영시 강구안길 29-1 (중앙동 132-1)
'산행‧여행기 > 섬(BAC 섬&산100+)'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남신안 섬티아고(2020.7.5)1 (0) | 2020.09.01 |
---|---|
91. 경남통영 용초도 수동산(2020.8.8) (0) | 2020.08.27 |
89. 전남신안 우이도 상산봉(2020.8.1) (0) | 2020.08.20 |
88. 전남여수 금오도 대부산(2020.7.16) (0) | 2020.08.10 |
87. 전남여수 돌산도 봉황산(2020.7.15) (0) | 2020.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