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음악감상실

엘가 / 현을 위한 세레나데 E 단조, 작품 20

박연서원 2018. 7. 30. 07:48

Serenade for Strings in E minor, Op. 20

엘가 / 현을 위한 세레나데 E 단조, 작품 20

Sir Edward Elgar, 1857-1934



 

전 악장 이어듣기

 

영국의 작곡가 에드워드 엘가의 '현을 위한 세레나데 E단조(Serenade for Strings in E minor, Op.20)'는
전통적인 다악장의 곡이 아닌 짧은 3개의 악장으로 이루어진 곡으로 1888년에서 1892년 사이에 구성한 엘가의 초기작이며 1896년 벨기에의 앤트워프(Antwerp)에서 공식적인 연주가 이루어진 곡이다.
자신의 아내 캐롤라인 앨리스 로버츠(Caroline Alice Roberts)의 3번째 결혼 기념일 선물로 작곡한 작품이라고 하지만 오르간 제작자(organ builder)인 아마추어 음악가 에드워드 윈필드(Edward W Whinfield)에게 헌정되었다.

 

차이코프스키, 드보르작의 작품과 더불어 잘 알려진 현악 합주를 위한 세레나데로 1892년 바이올린 제자이자 부인인 캐롤라인 앨리스를 위해 결혼 3주년 기념 선물로 작곡되었다. 유난히도 아내를 사랑했던 엘가는 역시 아내를 위한 여러 곡들이 있는데 가장 유명한 것이 '사랑의 인사'이다. 엘가가 작곡가로서 대성할 수 있었던 것에는 그의 아내의 공이 지극히 컸었기 때문에, 그녀에 대한 사랑은 감사의 뜻도 함께 담긴 각별한 것이었다. 비올라의 쾌활한 리듬이 바이올린의 명랑한 주선율을 주도 하는 1악장, 그리고 서정적이고도 아름다운 2악장에 이어 다시 1악장의 역동적이면서도 환상적인 선율이 다시 등장하는데, 이러한 3악장의 빠르게-느리게-빠르게의 구성이 다양한 변화와 서정미를 더해주는 곡이다.


서정미에 환상성이 풍부하며 다양한 변화의 묘미를 지닌 작품이다. 첫번째 악장은 알레그로 피아체볼레로서 피아체볼레는 '유쾌한'이라는 뜻을 갖고 있다. 1악장의 지시대로 비올라가 쾌활한 리듬을 새기며 바이올린의 명랑한 주선율을 끌어닌다. 2악장은 라르게토로서 부드러운 서정이 물 흐르듯 넘실대는 악장이다. 아름다운 선율에 빠져 흠뻑 젖어 볼 수 있는 악장이다. 마지막 3악장은 알레그레토 이며 1악장의 약동적인 느낌을 다시 재현해준다. 1889년 아내 캐롤라인 앨리스에게 바친 아름다운 세레나데는 참된 부부애란 무엇인지, 사랑의 완성은 얼마나 아름다운 것인지, 그 깊이를 가슴 깊이 새기게 해준다.


I. Allegro piacevole [00:00 - 03:30]
II. Larghetto [03:31 - 10:03]
III. Allegretto [10:04 - 13:06]

Sir Charles Groves, cond.

Royal Philharmonic Orchestra

October 2010

 

I. Allegro piacevole
II. Larghetto
III. Allegretto

Sydney Camerata

October 2010

 

I. Allegro piacevole
II. Larghetto
III. Allegretto

Leitung Michail Segler, cond.

Berliner Mendelssohn Kammerorchester

27. July 2011 Berlin Cathedral

 

I. Allegro piacevole 00:00
II. Larghetto 03:12
III. Allegretto 08:00

Adam Kostecki, cond.

Hanover Chamber Orchestra

Jundiai/Brazil - Polytheama Theater - May 2011

 

I. Allegro piacevole 00:07
II. Larghetto 03:34
III. Allegretto 08:39

Concertgebouw Kamerorkest (Concertgebouw Chamber Orchestra)

 

Joan Pagès Valls, cond.

The Orchestra of the Music High School Schloss Belvedere

2014/12/04 at the congress centrum neue weimarhalle, Weimar

 

1악장 (Allegro piacevole)

목가적인 분위기와 서정적인 선율로 아름답게 펼쳐지며, 비올라의 쾌활한 리듬이 바이올린의 명랑한 주선율을 주도한다.   


Sir Neville Marriner, cond.

Academy of St. Martin in the Fields

 

Sydney Camerata

 

2악장 (Largetto)

목가적인 분위기와 서정적이고 아름다운 악장이다.

 

Sir Neville Marriner, cond.

Academy of St. Martin in the Fields

 

Sydney Camerata

 

3악장 (Allegretto)

1악장의 역동적이면서도 환상적인 선율이 다시 등장하며 빠르게- 느리게- 빠르게의 구성이 다양한 변화와 서정미를 더해주는 악장이다.


Sir Neville Marriner, cond.

Academy of St. Martin in the Fields

 

Sydney Camerata

 

세레나데(Serenade, 이.Sernata)란?

이태리어 세레나타는 "저녁의 음악"을 뜻한다. 독일어 세레나데도 그 의미가 같다. 원래 이 용어들은 저녁에 연주한다는 의미 이상을 뜻하지 않았다. 18세기 독일어권에서는 Nachtmusik("밤의 음악")이라고 불렸다. 당시의 오락적 성격의 기악곡들인 Kassation(도), Divertimento(이), Notturno(이), Tafelmusik(도. "식탁음악") 등도 같은 뜻으로 사용되었다. 19세기에는 세레나데가 연인을 향하여 밤에 부르는 노래라는 의미에 더 치우친다(도. 스텐첸 Standchen).

분류가 어려운 세레나데 음악을 대략적으로 정리하면:

(1)성악 세레나데: 축제를 위한 음악으로서 극적인 장면을 포함하는 칸타타의 일종. 17, 18세기의 이테리 오페라 작곡가들과 독일의 일부 작곡가들이 작곡을 했다. 세레나타는 관현악으로 반주되는 노래인데, 이는 17, 18세기에 궁정에서 축하할 일이 (결혼식, 생일 등) 있을 때에 공연된, 극적 장면이 있는 음악을 가리켰다. 오페라 역시 16세기에는 세레나타의 음악으로 쓰인 일이 많다. 그러나 세레나타는 더 적은 비용이 드는, 한정된 무대를 위한 것이다. 체스티의 『황금사과』(Il pomo d'oro,1667), 모차르트의 『티토의 관용』(La clemenza di Tito,1791)이 이런 종류에 속한다.

(2)기악 세레나데: 야외에서 연주되도록 작곡된 관악음악이다. 이 곡들은 특히 춤곡들을) 묶어 만든 모음곡 형식이었으나, 가끔 소나타 형식이 사용되기도 했다. 전고전주의 음악가들과 하이든, 모차르트는 기악적 세레나데를 작곡한다. 음악적 성격은 여러 개의 무곡을 조합한, 모음곡과 흡사한 것이다. 거기에 행진곡들도 포함되었다. 편성은 실내악과 오케스트라 사이의 규모를 취했다. 모차르트는 세레나데를 주로 디베르티멘토라는 명칭으로 작곡했는데, 이는 예술적 성격과 오락적 성격을 겸비한 것들이었다. 세레나데 중 어떤 것들은 "밤의 음악"(Nachtmusik)이라 불렸고, 어떤 곡들은 심포니로 확대되었다(KV 385, 하프너 심포니). 모차르트의 가장 잘 알려진 세레나데는 Eine kleine Nachtmusik(KV 523)이다. 모차르트 이후에는 베토벤의 칠중주( 작품 20, 1799 /1800)와 슈베르트의 팔중주(D 806,1824) 등이 있다. 베토벤의 세레나데들은 대부분 예술적 성격이 약한 것들이다.

(3) 19세기에는 성악적 스텐첸과 성악곡을 본뜬 기악적 스텐첸이 나타났다. 1800년 이후 독일에서는 세레나데가 Standchen이라는 말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었는데, 이는 주로 노래를 위한 명칭이었다(예: 슈베르트의 가곡). 그러나 이 성악적 성격이 기악곡에도 수용된다. 기악적 스텐첸으로 잘 알려진 것은 멘델스죤의 『무언가』이다. 이러한 기악곡들을 위한 모델은 하이든의 현악 사중주 17번 중의 안단테 칸타빌레였다. 피치카토와 분산화음식 반주는 만돌린이나 기타 반주를 흉내낸 것으로 이해되었다.

 

엘가 Elgar, Sir Edward William 1857~1934


영국의 작곡가. 영국의 근대 음악을 대표하는 작곡가로 꼽히는 에드워드 엘가(Edward Elgar). 우리에게 '사랑의 인사(Salut D'amour)'로 친숙한 에드워드 엘가(Edward Elgar)는 1857년 오르가니스트의 아들로 태어났다. 처음에 법률가에 뜻을 두었으나 음악에 대한 열정을 발견한 후 열심히 음악공부를 하였다. 그후 우스터 글리 클럽의 지휘자 겸 피아니스트였던 그는 후에 아버지의 뒤를 이어 교회의 오르가니스트로 일했다.


1889년 32세 때 캐롤린 앨리스와 결혼한 에드워드 엘가(Edward Elgar)는 아내의 적극적인 권유에 의해 뒤늦게 작곡을 시작했다. 1891년 마르번으로 이사하여 13년 동안 지내면서 창작에 힘써 점차 그의 곡이 대중에서 알려지기 시작했다. 1896년 칸나나 '올라프 왕 (King Olaf)'이 북 스테퍼드 음악제에서 초연, 주목을 받았으며 1899년에 영국에서 발표한 '수수께끼 변주곡(Variations Enigma)'은 그에게 작곡가로서의 명성을 얻게 해주었다. 또한 1900년 버밍검 음악제에서 초연한 오라토리오 '제론티우스의 꿈 (Dream Of Gerontius)'는 당대 최고의 작곡가였던 시트라우스에게 인정받은 명곡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