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unfight At The O.K. Corral
영화 'O.K. 목장의 결투' OST
Frankie Laine
OK Corral,
OK Corral...
There the outlaw band
Made their final stand.
OK Corral...
Oh, my dearest one, must I
Lay down my gun?
Or take the chance
Of losing you forever?
Duty calls -
My back's against the wall.
Have you no kind word to say
Before I ride away?
Away...
Your love,
Your love,
I need,
Your love...
Keep the flame, let it burn
Untill I return
From the gunfight at OK Corral.
Gunfight At The O.K. Corral, 1957
감독 : 존 스터지스
출연 : 버트 랭카스터, 커크 더글라스, 존 아일랜드, 조 반 플릿, 론다 플레밍
작사 : Ned Washington
작곡 : Dimitri Tiomkin
1부
2부
작품해설
O.K목장의 결투는 남성적이고 힘있는 영화를 연출하기로 유명한 존 스터지스 감독의 '결투 3부작'중 첫 번째 작품이다. 1957년, 58년, 59년에 각각 발표한 'O.K목장의 결투' '고스트타운의 결투' '건힐의 결투' 서부극 3부작은 두 명의 출중한 스타들을 공동 주연으로 내세워서 만든 흥미진진한 결투 웨스턴이었다. 그중 O.K목장의 결투는 미국 서부의 전설적인 총잡이인 닥 할러데이와 유명한 보안관인 와이어트 어프라는 실존인물의 숙명적인 우정을 다룬 영화이다. 1880년대에 벌어진 어프가와 클랜턴가의 집안싸움이 된 O.K목장의 결투는 어프가의 승리로 끝이 났고, 재판에서 정당방위로 인정되어 무죄판결이 되었다.
두 집안은 앙숙이 되었고, 와이어트 어프는 이후 명 보안관으로 이름을 떨치고 평화로운 말년을 보냈다. 이 유명한 OK목장의 결투, 즉 어프가의 이야기를 다룬 영화는 여러 차례 만들어졌다. 존 포드 감독의 '황야의 결투(My Darling Clemetine)'를 비롯하여 '툼스톤' '와이어트 어프' '나는 와이어트 어프의 아내였다' 그리고 O.K목장의 결투의 속편이라고 개봉되었던 'Hour of the Gun'이라는 작품들도 있었다. 이 소재 외에도 와이어트 어프나 닥 할러데이를 캐릭터로 등장시킨 영화들도 제법 되었고, 존 포드의 '샤이안'에도 두 인물의 캐릭터가 등장하고 육체파 여배우 제인 러셀의 데뷔작인 '무법자'에서도 닥 할러데이가 등장한다.
이만큼 닥 할러데이와 와이어트 어프라는 이름은 서부시대의 전설같은 존재이며 둘 다 굉장한 속사 명사수로도 유명하다. 물론 이들의 구체적인 삶에 대해서는 체계적인 자료가 없고 여러 루머나 전설처럼 퍼져있는 이야기들이 더 유명하다. 영화속에서 많이 미화된 부분도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분명한 것은 이들은 험악한 서부시대에서 보안관과 총잡이 노릇을 하면서 살아남았다는 자체가 굉장한 명사수였던 것은 분명한 것 같다. OK목장의 결투는 닷지시티에서 벌어지는 초반부와 중반부의 이야기가 있고, 와이어트 어프의 동생이 보안관으로 있는 툼스톤, 바로 OK목장의 결투가 벌어지는 그 지역에서의 긴장감있는 결투를 소재로 한 후반부의 이야기로 크게 나누어진다.
광활한 서부의 황야를 배경으로 시작되는 멋진 오프닝 장면은 '하이눈' '로하이드' 등 서부영화 주제곡을 잘 불렀던 프랭키 레인의 시원스런 노래로 분위기있게 시작한다. 디미트리 티옴킨 음악을 맡은 이 주제곡은 유명한 서부음악 명곡중 하나이다. 전직 치과의사이지만 술과 도박에 쩔어서 폐인처럼 살고 있는 닥 할러데이(커크 더글러스) 그는 자신을 죽이러 온 일당중 한 명(리 밴 클리프)을 놀라운 칼솜씨로 살해한다. 그것때문에 위기에 몰린 닥 할러데이는 우연히 이 마을에 온 닷지시티의 보안관 와이어트 어프의 도움으로 탈출하게 되고, 두 사람은 닷지시티에서 함께 지내게 된다.
자신이 관리하는 마을에서 절대 말썽을 용납하지 않는 보안관 와이어트의 요청으로 닥은 총도 칼도 지니지 않고 얌전하게 지내면서 두 사람의 숙명적인 우정이 싹트고 결국 닥은 와이어트 어프를 몇 번 도와주게 된다. 닷지시티에서 벌어지는 두 사람의 우정의 이야기는 중간 중간 악당들을 함께 대적하면서 흥미를 더해가는데, 후반부에 어프가와 클랜턴가의 갈등이 시작되면서 영화의 무대는 닷지시티에서 툼스톤으로 바뀐다. 그리고 툼스톤에서 두 집안의 피할 수 없는 대결, OK목장의 결투가 벌어지고 숫적으로 불리한 어프가를 돕기 위해 심한 폐병에도 불구하고 닥 할러데이는 총을 들고 함께 나선다.
실제 OK목장의 결투는 몇 초만에 끝난 순간적인 결투였다고 한다. 존 포드의 '황야의 결투'나 케빈 코스트너 주연의 '와이어트 어프'에서의 장면이 훨씬 실제에 가까웠을 것같다. 그렇지만 O.K목장의 결투에서는 이 두 집안의 결투 장면을 10여분 정도로 배치하여 아주 흥미롭고 긴박감있는 결투로 만들었고, 이 영화의 하일라이트 장면이 된다. 결투 장면에서는 많은 픽션이 들어가긴 했지만 와이어트 어프나 닥 할러데이의 캐릭터는 오히려 존 포드의 황야의 결투에서의 미스캐스팅에 비해서 훨씬 알찬 결과를 낳았다.
버트 랭커스터와 커크 더글러스가 연기한 와이어트와 닥의 연기는 오랜 친구인 두 사람의 공연이었던 만큼 척척 콤비가 잘 맞아 들어갔고, 특히 폐인처럼 살고 있는 폐병환자 닥 할러데이를 연기한 커크 더글러스의 호연은 영화를 잘 살려주었으며, 그의 일생 일대의 적역 캐릭터라고 할 수 있다. '황야의 결투'에서 병에 걸려 폐인생활을 하는 닥 할러데이의 모습이 기름진 건장한 체격의 거인 빅터 마츄어가 연기하여 완전 미스 캐스팅이 된 것에 비해서 커크 더글러스의 역할은 역대 최고의 닥 할러데이라고 할 만큼 손색이 없었다.
인디안과 기병대가 등장하는 존 포드의 아메리칸 웨스턴, 서부의 추한 세계를 적나라하게 묘사한 풍자적 요소의 마카로니 웨스턴, 좀 더 깊은 관점에서 서부시대의 적나라한 문제를 깊게 다룬 수정주의 웨스턴 등 서부극의 장르가 다양하지만 존 스터지스 감독 등이 연출한 보안관과 무법자, 악당과 총잡이 등이 등장한 이러한 남성적이고 호쾌한 웨스턴 무비가 주는 재미는 또 다른 묘미가 있다. 서부영화사상 가장 멋진 콤비가 등장한 영화가 O.K목장의 결투라고 할 수 있다.
실제로 있었던 서부 역사의 인물 와이어트 어프 형제의 이야기를 주제로 한 폴 나탄의 소설 '살인자' 중에서 인용된 영화로 와이어트 어프와 닥 홀리데이가 클랜트 일가와 싸우는 모습을 양대 액션 스타였던 버트 랭카스터와 커크 더글러스가 연기 대결을 벌인 수작 서부극이다. 당시 대단한 히트를 기록했고, 편집 부문과 사운드 부문에서 아카데미 상 후보에 올랐으며, 존 스터지 감독은 미국 감독협회 상 후보에 올랐다. 존 스터지 감독은 1950년대와 60년대를 주름잡던 할리우드 액션 영화의 대가였으며, <황야의 7인>, <대탈주> 등의 역작을 남겼다.
하지만 평생동안 단 한번, 이 영화로 아카데미상 후보에 올랐을 뿐이다. 1881년 10월 26일, 캔사스 주의 닷지 시티에 위치한 OK 목장에서 있었던 결투는 서부 역사상 너무나 유명하다. 이 영화 후에도 이를 소재로 한 영화가 여러 편 있었다. 로렌스 캐스단 감독, 케빈 코스트너, 데니스 퀘이드 주연의 94년작 <와이어트 어프>가 있는데, 3시간이 넘는 대작인데다가 아카데미 촬영상 후보에까지 올랐지만, 흥행에는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이 영화의 특징은 아름다운 영상. 그리고 영화 내용이 실제 사실과 가장 부합한다는 것, 그리고 어린 시절부터 조명해 나가면서 인간 와이어트 어프를 다룬 작품이라는 점이다.
또 하나는 조지 펜 코스마토스 감독, 커트 러셀과 발 킬머가 주연한 93년작 <툼스톤>이 있는데, 그리 좋은 평을 받지못했다. 존 스터지 감독은 10년 후인 1967년에 '총잡이의 시간(Hour Of The Gun)'이라는 제목의 속편을 만들었는데, 이는 'OK목장의 결투'의 결투 이후에 와이어트 어프가 동생들의 복수를 하는 과정을 영화화했다. 속편은 와이어트 어프의 심리적인 면을 깊이 파고 들었는데, 흥행은 실패로 돌아갔다. 와이어트 어프 역은 제임스 가너가, 닥 할러데이 역은 제이슨 로바드가 맡았다.
Frankie Laine, 1913~2007
미국 시카고에서 태어난 이탈리아 계 미국인 가수이다. 1930년대에 제스 스티시의 콤보에서 노래를 불러 착실히 인기를 획득하였다. 1946년에 머큐리에서 취입한 《댓츠 마이 디자이어》가 큰 인기를 얻었다. 그 후 레퍼토리를 넓혀 독특하고 힘찬 창법으로 성공을 거두었으며, 《황야의 방랑자》, 《베스트》 등의 음반이 널리 알려져 있다. 프랭키 레인의 주제가는 얼핏 들으면 조금 촌스럽지만 실제로 영화에서는 비장할 정도로 극적으로 다가온다. 프랭키 레인은 이외에도 다른 서부영화와 텔레비전 시리즈의 주제가를 부르기도 했다.
'음악 > 음악감상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가니니 / 바이올린과 기타를 위한 소나타 작품 2 (0) | 2013.03.03 |
---|---|
Gelsomina - 영화 'La Strada (길, 1954)' OST (0) | 2013.03.01 |
영화 '셰인' 주제음악 (0) | 2013.02.26 |
콜로라도강의 달밤 Moonlight On The Colorado - Bonnie Guitar, 은희 외 (0) | 2013.02.25 |
영화 '驛馬車 Stagecoach 1939' ost. (0) | 2013.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