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음악감상실
Symphony No.1 in C minor, Op.68
브람스 / 교향곡 제1번 C 단조
Johannes Brahams
전악장 이어듣기
Charles Munch, cond.
Orchestre de Paris
1악장-Un poco sostenuto-Allegro
2악장 : Andante sostenuto
3악장-Un poco allegtretto e grazioso
4악장-Adagio-Piu andante-Allegro non troppo ma con brio (Karl Böhm)
Karl Böhm, cond.
Berliner Philharmonic
Herbert von Karajan, cond.
1. Un poco sostenuto - Allegro2. Andante sostenuto3. Un poco Allegretto e grazioso
4. Adagio - Più andante - Allegro non troppo, ma con brio - Più allegroStanisław Skrowaczewski, cond.
hr-Sinfonieorchester (Frankfurt Radio Symphony Orchestra)
1. Un poco sostenuto - Allegro - Meno allegro (00:55)2. Andante sostenuto (18:40)3. Un poco allegretto e grazioso (29:44)4. Adagio - Più andante - Allegro non troppo, ma con brio (35:25)Gerhart Hetzel, violin solo (2nd Movement)
Leonard Bernstein, cond.Wiener Philharmoniker
1. Un poco sostenuto -- Allegro (13:16)2. Andante sostenuto (8:53)3. Un poco allegrette e grazioso (4:52)4. Adagio non troppo ma con brio (16:39)Günter Wand, cond.Sinfonieorchester des NDR Hambug
Charles Munch 샤를르 뮌시 (1891~1968, 프랑스)
1967년 11월 프랑스가 국가적인 비전을 담아 창설한 파리 오케스트라의 초대 음악감독 겸 상임지휘자 샤를르 뮌시는 당시 76세의 노거장. 그러나 그는 만 1년을 채우지 못하고 순회 공연중 심장마비로 급서했다. 그런 이유로 그가 파리 오케스트라와 남긴 레코딩은 그리 많지 않지만 그의 전매 특허였던 베를리오즈의 환상교향곡과 브람스 교향곡 1번이 대표곡. 파리 오케스트라가 가진 잠재력을 이끌어내면서 깊은 감동을 선사하는데, 절제된 균형미 또한 일품이다.
Johannes Brahms (요하네스 브람스, 1833~1897, 독일)
브람스의 음악이 웅장한 성이라는 느낌이 들듯이 그의 천성은 매우 신중한 사람이었다.
그는 이미 22세 때 슈만의 <만트렛 서곡>을 듣고 교향곡을 쓸 것을 결심했었다. 하지만 급한 마음에 서투른 교향곡을 발표하느니 보다는 시간을 두고 신중하게 작곡하여 베토벤에 못지않는 교향곡을 만들어야겠다고 마음먹었다. 그리고 12년 동안 선구적인 베토벤의 발자국을 들으며 인간적으로나 예술적으로 자신을 숙성시키는데 아낌없는 노력을 기울였다. 이와 같은 대기만성의 집념이 <교향곡 제1번>과 같은 대 걸작을 탄생시킨 것이다.
북독일 출신인 브람스는 어두움이 드리운 감정을 표출하며 북극적인 깊이의 음악을 들려준다. 그래서 브람스의 음악은 멜로디가 산뜻하게 두드러지지는 않는다. 또한 음악이 들려주는 중후한 느낌은 자칫 브람스 음악을 어려운 것으로 느끼게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런 요인들은 오히려 음악을 들으면 들을수록 새로운 감정이 발현되는 깊은 맛으로 우러난다. 그래서 브람스 음악은 대기만성의 진수를 보여주는 음악이다.
인생의 막막함에서 용기를 잃지 않고 인내와 끈기로 싸워 성취감을 맛보는 바로 그런 음악이다.
20년이라는 긴 세월에 걸쳐 완성한 교향곡 1번
바흐, 베토벤과 더불어 독일 음악의 3대 거장으로 불리는 요하네스 브람스는 친구 헤르만 레비에게 다음과 같은 편지를 보낸 적이 있다. “거인이 내 뒤로 뚜벅뚜벅 쫓아오는 소리를 항상 들어야 한다고 생각해보게. 그 기분을 자네는 전혀 상상할 수 없을 걸세.” 이 편지는 브람스가 베토벤의 9개 교향곡을 얼마나 의식하고 있는지 잘 드러내는 사례이다. 거인 베토벤의 9개 교향곡이 유럽 음악계를 휩쓸고 지나간 후, 그에 필적할 만한 교향곡은 좀처럼 나타나지 않았다. 베토벤 이후 많은 음악가들이 그가 완성한 위대한 교향곡을 모방하였고 그를 뛰어넘으려고 했다. 그러나 또 하나의 걸작의 탄생은 요원한 일이었다.
당시 뛰어난 음악비평가로 명성을 날리고 있던 슈만은 점점 활기를 잃어가는 독일 음악계의 상황을 안타까워하며 새로운 세대의 음악, 새로운 교향곡이 등장해 이 답답한 분위기를 쇄신해줄 것을 바랐다. 그것은 슈만 자신조차에게도 어려운 문제였다. 베토벤의 벽을 어떻게 넘을 것인가? 드디어 여기에 브람스의 교향곡 제 1번이 등장한다.
"우리는 드디어 제10번 교향곡을 얻었다"
브람스의 교향곡 1번이 1879년 11월에 초연되었을 때 그의 나이는 43세였다. 마흔이 넘어 첫 교향곡을 발표한 것만 보더라도 브람스가 이 작품에 얼마나 신중하게 공을 들였는지 짐작해 볼 수 있다. 작곡에 첫 돌입한 시기는 22세였다. 당시 브람스는 슈만의 <만프레드 서곡>을 듣고 감동을 받아 한창 관현악에 대한 열정을 불태우고 있을 때였다. 그러나 최초의 구상 아이디어는 피아노 협주곡 2번으로 모습을 바꾸어 완성되었고, 교향곡 1번의 진도는 좀처럼 나아가질 못했다. 브람스의 구상은 지극히 신중했다. 언제나 베토벤의 9개 교향곡을 의식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1악장을 완성한 때는 1862년, 7년 뒤의 일이었다. 그리고 12년이 지난 1874년 다시 본격적으로 작곡에 착수해 1876년 9월에 드디어 최종적으로 완성본을 얻었다. 교향곡 1번 탄생에 20년의 세월이 걸린 것이다.
▶브람스는 독일음악의 전통을 보수적일 만큼 존중한 작곡가였다.
엄격하고 고지식한 성품의 브람스는 작곡도 작품 발표도 신중했다. 드디어 교향곡 1번이 초연되었을 당시 당대의 명지휘자 한스 폰 뷜로우는 "우리는 드디어 제10번 교향곡을 얻었다"고 감격해했다는 일화가 있다. 불멸의 9개 교향곡의 뒤를 잇는 또 하나의 교향곡이라는 뜻이었다. 당시 리스트와 바그너가 전통에서 탈피한 새로운 낭만주의 음악의 열풍을 한창 일으키고 있을 때에도 브람스는 독일 전통의 고전주의 음악을 굳건히 지키고 있었다.
그런데 한편으로는 지나치게 베토벤을 의식해 브람스 특유의 개성이 드러나지 않는 작품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클라라 슈만은 그런 이유로 이 작품을 좋게 보지 않았다. 심각한 형식, 스케일을 살려내는 것에 몰두해 브람스 특유의 선율미가 느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전통을 계승하고 이후 등장할 새로운 교향곡 출현의 산파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대단히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운명’ 교향곡을 모범적 스타일로 삼아 작곡한 교향곡 1번은 베토벤의 인상이 강하게 느껴진다. 특히 1악장은 ‘운명’ 교향곡의 1악장, 4악장의 주제는 ‘합창’ 교향곡의 '환희의 주제'를 연상케 한다. 이런 유사점을 간파하고 한스 폰 뷜로우는 10번 교향곡이라고 일컬은 것이다. 그러나 장중하고 엄숙한 분위기, 심원한 깊이의 선율과 우수에 젖은 목가적인 분위기, 특히 4악장 마지막 피날레에서 모든 갈등이 해결되고 강물처럼 흐르는 긴장감 해소는 브람스만의 감수성이 빚어낸 표현으로 그가 20년을 바쳐 얻어낸 최고의 순간을 증명한다.
1악장 : 운 포코 소스테누토 - 알레그로
C단조 6/8박자. 이 악장은 초조하고 극적인 활기를 느끼게 하는데 신선한 수법으로 표현하고 있다. 번민과 흥분, 그리고 근대적인 환상과 깊은 감정을 묘사했다고 할 것이다. 서주부에서 제1악장의 내용을 암시하고 있다. 서주부가 조용히 끝나면 갑자기 제1테마의 예고라고 할 만한 것이 나타나서 빠른 주부로 들어간다. 얼마 후 오보에에 의한 제2테마가 우아하게 나타난다. 전개부는 D장조로 시작되며 최후에 코다가 나타난다.
2악장 : 안단테 소스테누토
E장조 3/4박자. 음의 길이를 완전히 확보하면서 볼 수 있는 로맨틱한 감정을 느끼게 한다. 감정에 치우치지 않고 또 너무 어둡지도 않은 북방 독일인이 지닌 진지한 태도를 엿볼 수 있다. 이 악장에서는 평화롭고 맑은 심경이 반영되어 있다. 평화와 위안을 동경하는 기분이 전체에 넘쳐흐르고 있다. 서주부 없이 제1테마가 처음에 노래조로 평화롭게 연주된다. 얼마 후 애조를 띠고 동경하는 듯한 제2테마가 오보에에 의해 연주된다. 마지막에는 낭만적인 분위기 속에서 곡을 마친다.
3악장 : 운 포코 알레그레토 에 그라치오소
Ab장조 2/4박자. 이 악장은 가장 짧지만 대단히 흥미롭게 전개된다. 일반적으로 다른 교향곡의 제3악장은 3박자로 된 경쾌한 무곡풍(스케르초)이지만 이 곡에서는 부드럽고 평화로우며 우울한 기분이 감돈다. 트리오에서 단조로운 멜로디가 나타나고 후에 아름답고 경쾌한 리듬의 제2테마가 나타난다. 전체적으로 브람스의 중후한 기분을 느끼게 한다.
4악장 : 피날레. 아다지오 - 피우 안단테 - 알레그로 논 트로포 마 콘 브리오
C장조 4/4박자. 도입부는 느리며 무겁고 우수에 잠긴 듯 연주되지만 다음에는 지나치지 않을 정도의 템포로 활기차게 연주된다. 처음에는 우수와 번민에 찬 기분을 느끼게 하지만 곧 현악기로 극적인 밝은 빛을 보이며 장엄한 호른에서 목관으로 들어가 목가적인 기분을 자나낸다. 그 후 점차 환희의 합창과도 같이 승리를 향해 돌진하는 박력에 찬 모습으로 나타난다. 여기서의 제1테마는 베토벤 교향곡 9번의 환희를 나타내는 주제와 비슷한데 단순하면서도 힘에 넘친다. 그 후 제2테마가 나타나 발전되어 호화롭게 끝난다.
브람스 교향곡 1번에 대한 평가
브람스의 교향곡 1번이 초연되기 한 달 전인 1876년 10월, 브람스는 클라라 슈만 앞에서 이 교향곡 전체를 피아노로 연주해 보였다. 그러나 브람스 음악의 옹호자이자 비평가였던 클라라가 이번만큼은 그리 만족스러운 반응을 보이지는 않았다. "나는 슬프고 우울했어요. 이 교향곡이 그의 다른 작품들에 비할 바가 못 되기 때문이었죠. (…) 나는 완전한 멜로디를 듣고 싶군요."
사실 그렇다. 브람스 교향곡 1번의 주요 테마들은 귀에 쏙쏙 들어오는 달콤한 멜로디와는 거리가 멀다. 게다가 그 테마들은 대위법적으로 결합되어 매우 현학적인 느낌을 주기 때문에 브람스의 다른 작품들을 좋아하는 사람일지라도 브람스의 교향곡 1번에는 쉽게 접근하지 못한다. 그래서 브람스의 숭배자였던 당대의 음악평론가 한슬리크마저도 이 작품에 대해 이렇게 말한다. “이 새로운 교향곡은 진지하고 복잡하며 일상적인 것과는 거리가 멀기 때문에 금방 이해하기는 어렵다. (…) 브람스는 너무 한쪽으로 치우쳐 있다. 장대하고 심각하며 어렵고 복잡한 쪽에 치우쳐 감각적인 아름다움을 희생시키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브람스의 절친한 친구이자 지휘자였던 헤르만 레비는 오히려 이와 반대 입장을 취한다. 그는 장대하고 난해한 1악장과 4악장을 높이 평가하는 대신, 중간 악장들이 너무 가볍다고 말한다. 그가 클라라 슈만에게 보낸 편지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마지막 악장은 아마도 그의 기악곡 중에서 가장 뛰어난 작품일 것입니다. 1악장은 그 다음이죠. 하지만 두 개의 중간 악장들에 대해서는 회의적입니다. (…) 그것들은 세레나데나 모음곡에 어울리는 음악이지 이렇게 특별한 교향곡에는 맞지 않는 것 같습니다."
이렇듯 브람스의 교향곡 1번에 대한 당시의 평가는 서로 엇갈렸다. 그렇다면 당시로부터 많은 시간이 흐른 지금 우리는 브람스의 교향곡 1번에 대해 무엇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독일의 음악학자 카를 달하우스는 브람스의 교향곡 1번을 가리켜 ‘제2의 교향곡 시대를 열어준 작품’이라 말했다. 이 말은 두 가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우선 브람스가 그의 교향곡 1번을 통해 베토벤 이후로 점차 쇠퇴해갔던 교향곡의 전통을 다시 세웠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것은 브람스가 베토벤에 견줄 만한 교향곡을 작곡했기에 가능했던 일이다. 또한 브람스 교향곡 1번은 이후 드보르자크, 말러, 엘가, 시벨리우스 등에 의해 계속될 새로운 교향곡들의 출현을 예고한 미래 지향적인 작품이라는 뜻도 된다. 브람스의 교향곡 1번이 그의 다른 작품들에 비해 당대의 음악인들에게 더욱 난해하게 느껴졌던 것은 이 작품이 다가올 시대의 음악적 특성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브람스의 교향곡 1번은 겉보기에는 전통적인 형식을 따르면서도 혁신적이고 대담한 화성을 사용하고 있으며, 말러의 교향곡을 연상시키는 실내악적인 제스처도 보이는 등 과거와 미래를 동시에 포함하고 있다.
과거와 미래를 모두 담고 있는 음악. 브람스의 교향곡 1번을 특별한 작품이라 말할 수 있는 것은 바로 그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