걷기(트레킹)/진안고원길 15

진안고원길 4구간 섬진강 물길(2022.7.5)

진안고원길 4구간 섬진강 물길 ​섬진강 본류와 달길천을 따라 걷는 구간이다. 반용재에서 보이는 풍광을 비롯해 시원함 가득한 섬진강이며, 강변과 골짜기 곳곳에 자리한 마을과 사람을 만나게 된다. 12.4km / 성수면사무소 ~ 오암/4시간 / 난이도 중 2022.7.5(화) 진안고원길 4구간(섬진강 물길)+5구간(고개너머 마령길) 동행 : 좋은사람들 28인승 버스 1대 14명(대장 tx-data, 기사 하나리무진 8790 김재만) 동암역05:38-신도림역06:03/06:08-사당역1번출구06:26/06:44-양재역06:55-정안휴게소08:11/08:34-장승삼거리,장승마을버스정류장(5구간종점, ≒343/318.1/344.4)09:43/09:47-서판마을 버스정류장,서판교09:53/09:54-외판치(↑오암1..

진안고원길 3구간 내동산 도는길(2022.11.1)

진안고원길3구간 내동산 도는 길​내동산(백마산)을 에돌아 백운면과 성수면을 잇는 고원길이다. 과거엔 땔나무와 먹거리 창고 역할을 했고, 지금에 와서는 등산할 요량으로 찾게 되는 내동산이다. 17.8km / 백운면사무소 ~ 성수면사무소 / 6시간 30분 / 난이도 상​ 2022.11.1(화) 진안고원길 3구간(내동산 도는 길)동행 : 좋은사람들 28인승 버스 1대(18명, 대장 tx-data, 기사 9455 김선국)​동암역05:40-(급행)-신도림역06:05/06:08-사당역1번출구06:26/06:50-양재역07:01/07:02-정안휴게소08:25/08:42-백운면사무소(≒242/332.5/358.2)10:05/10:08-윤동교10:18-윤기마을회관10:22-동산마을(↑성수면사무소16.0,↓백운면사무소1...

진안고원길 2구간 들녘길(2022.6.7)

진안고원길 2구간 들녘길진안에선 흔치 않은 들녘길이다. 마령들과 백운들을 바라보고, 또 그 속으로 걷는 길은 풍성함과 개운함을 동시에 제공한다. 섬진강변 솔밭거리에서 쉬고 볼 일이다.  10.5km / 마령면사무소 ~ 백운면사무소 / 3시간 30분 / 난이도 하​ 2022.6.7(화) 진안고원길 2구간(들녘길)동행 : 좋은사람들 28인승 버스 1대 14명(대장 tx-data, 기사 하나리무진 8790 김재만)​동암역05:48-신도림역06:13/06:18-사당역1번출구06:35/07:00-양재역07:12/07:13-정안휴게소08:42/09:01-마령면사무소(≒304/280/304.8)10:18/10:21-남악제(≒333.3/301.3/333.9, 1.35/1.351/1.3)10:40/10:43-원평지마을회..

진안고원길 1구간 마이산길(2022.5.17)

진안고원길 1구간 마이산길 ​ 진안읍에서 마이산을 거쳐 마령면에 이르는 고원길이다. 과거 마이산을 오가던 연인의길은 사계절 아름다운 숲길이고, 이야기 가득한 은수사와 탑사, 마을숲 풍성한 은천마을이 여행자를 맞아준다. 12.9km / 진안만남쉼터 ~ 마령면사무소 / 4시간 30분 / 난이도 중 ​ 2022.5.17(화) 진안고원길 1구간(마이산길)+암마이봉 동행 : 좋은사람들 28인승 버스 1대(대장 tx-data, 기사 하나리무진 8790 김재만) ​ 동암역05:48-신도림역06:13/06:19-사당역1번출구06:36/06:47-양재역07:00/07:01-정안휴게소08:19/08:39-진안만남쉼터,625참전호국영웅기념탑(≒321/294.2/322)09:52/09:58-내사양마을 표지석10:23-마이산관..

진안고원길 소개

진안고원길은 2008년에 처음 기획되었다. 당시 진안 지역 마을의 문화와 자연, 사람들을 사진과 글로 남기는 활동을 하던 마을 문화 조사단에 의해 제안되었다. 2009년 진안군 남쪽 백운면·성수면·마령면을 지나는 5개 구간을 기획하고 페인트와 리본을 통해 표식을 하였다. 또 안내 지도를 만들고, 전국 도보길 워크숍을 진행하였으며, 진안 지역 주민을 가장 먼저 걸어보도록 하였다. 2010년 전라북도에서 추진한 ‘예향 천리 마실길’ 사업의 예산 지원으로 기존 5개 구간 중에 4개 구간을 일부 조정하여 길 조성과 이정표·안내판·쉼터 등을 설치하였고 2011년 7월 30일 4개 구간의 개통식을 가졌다. 이후 신규 구간 오픈보다는 기존 구간 정비와 전체 기획 구간 장기 걷기 프로그램 위주로 활동을 진행해 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