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여행기/100+(플러스) 명산

104. 인천강화 고려산(2022.3.31, 5.31 외)

박연서원 2023. 5. 3. 08:05

고려산 [高麗山] 436m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내가면, 하점면, 송해면

혈구산 466m / 인천광역시 강화군 내가면, 불은면, 선원면

퇴모산 338m / 인천광역시 강화군 내가면, 양도면, 불은면

 

특징·볼거리

강화읍내에서 5㎞쯤 떨어져 있는 고려산은 고구려의 장수 연개소문이 태어났다는 전설을 갖고 있다. 산중 고구려 장수왕 때 창건한 적석사 절이 있으며 절 서쪽 정상으로 오르면 낙조봉이 있다. 그 곳에서는 서해 수평선 바닷물을 붉게 물들이며 해지는 광경을 볼 수 있는데 낙조봉에서 바라보는 서해 석양은 강화8경중 하나로 꼽힌다.

낙조봉정상에는 억새밭이 넓게 분포되어 있어 연인들이 추억의 사진을 찍는 곳이기도 하며 정상을 따라 20분 정도 걷다보면 솔밭 산림욕장이 있고 그 안에는 지석묘 군락지가 있다. 낙조봉 정상과 낙조봉에서 고려산 가는 능선 몇 백 미터 지점에 억새밭이 있으며. 능선은 소나무 숲으로 우거져 있다.

옛 명칭은 오련산(五蓮山)이다. 416년(고구려 장수왕 4)에 중국 동진의 천축조사가 이 산에 올라 다섯 색상의 연꽃이 피어 있는 오련지를 발견하였는데, 이 연꽃들을 하늘에 날려 이들이 떨어진 곳에 적련사(적석사)와 백련사·청련사·황련사·흑련사를 각각 세웠다고 한다.

인천시 강화군 내가면, 불은면, 선원면 등 3개 면의 경계에 솟아 있는 혈구산은 강화도의 중앙에 위치해 있으며 고비고개를 사이에 두고 북쪽의 고려산과 마주보고 있는 산인데 이 산은 산세가 완만하고 부드러운 고려산에 비해 30m 정도 더 높으며 각 봉우리로 올라가는 길은 가파른 능선길이라 힘이 들지만 봉우리 정상에 올라서면 시원한 조망이 펼쳐진다.

고비고개에서 정상으로 이어지는 능선길은 4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는데 완만한 능선길로 올라가면 넓은 공터가 있어 잠시 쉬어가기가 좋은 1봉 쉼터에 닿고 여기서 우측으로 휘어지는 능선따라 오르면 삼거리 길이 있는 2봉에 올라서게 된다. 이곳에서 남릉으로 진행하면 뾰적한 봉우리인 3봉에 이르고 다시 좌측으로 올라 퇴모산 갈림길을 지나면 4봉인 혈구산 정상에 닿는다.

정상에 올라서면 사방으로 막힘이 없는 전망이 펼쳐지는데 동쪽으로는 강화시내 일대와 문수산이 바라보이고, 남쪽으로는 마리산 주능선이 눈에 들어온다. 서쪽으로는 내가저수지와 서해 바다에 있는 섬들이 내려다보이고, 북쪽으로는 낙조봉에서 고려산 정상으로 이어지는 능선이 한눈에 바라보인다. 그리고 정상으로 이어지는 능선에는 진달래가 무리를 이루면서 따라 오는데 특히 정상 주변에는 군락을 이루고 있어 진달래꽃이 만발하는 4월 중순이면 온 산이 붉게 물들어 장관을 이룬다.

 

볼거리

 

고인돌 : 인천 강화도 적석사 낙조봉 부근 고려산(해발 436m) 일대에서 고인돌 21기가 무리를 이루고 있다. 고려산 서쪽 능선 부근 3개 고인돌군이 인천시 기념물 제36호로 지정되어 있다. 대표적인 것들로는 오류내 마을의 남방식 고인돌 무덤, 하도면 소방서 앞 고인돌무덤, 강화 고인돌 무덤(사적 제137호), 부근리 점골 고인돌 무덤, 하점면 삼거리 샘말 고인돌 무덤, 하점면 신삼리 고인돌 무덤 등이 있다. 고려산 서쪽 봉우리인 낙조봉(해발 343m) 남쪽 능선인 내가면 오상리에 북방식 고인돌 무덤 1기가 있다.

 

백련사 : 백련사는 하점면 부근리 231번지 고려산 북쪽에 위치한 조계종 사찰이다. 몇 백년 묵은 나무와 숲이 울창하여 고찰의 분위기를 한껏 느낄 수 있는 곳이다.

전설에 의하면 고구려 장수왕 4년(416) 중국 동진의 천축조사가 왕명으로 절터를 찾던 중 고려산 정상에 오르니 신기하게도 오색 연꽃이 핀 연못이 있었다. 연꽃을 꺾어 공중에 날려 연꽃이 떨어지는 곳마다 절을 지었는데, 이 곳에 백련이 떨어져서 백련사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고종 18년(1881)에 벽담 대규가 현왕도를 조성하고, 고종 25년(1888)에 지장보살도·신중도·칠성도·독성도 등을 조성하여 오늘날까지 전해지고 있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극락전과 삼성각·칠성각·범종각·요사가 있다.

 

적석사 : 고구려때 천축국 스님이 고려산에 올라 다섯 색의 연꽃이 피어있는 오련지를 발견하고 다섯송이의 연꽃을 날려 그 연꽃이 떨어진 곳에 절을 세웠다 한다. 그 중 붉은 연꽃이 떨어진 곳에 적련사를 세웠는데 그곳이 이 절의 전신이다. 적석사 뒤편 산정상은 낙조봉이라 불리며 이곳에서의 낙조는 강도팔경의 하나로 꼽힐 만큼 아름답다.

 

산행코스

 

진달래 산행 코스

ㅇ청련사 입구-고려산정상-진달래군락지-고인돌군-낙조봉-미꾸지고개

ㅇ백련사 입구-고려산 정상-진달래군락지-고인돌군 -낙조봉-적석사

ㅇ적석사입구-낙조봉-고인돌군-진달래군락지-고려산 정상

 

적석사 코스 : 적석사입구 도로-적석사-낙조대-낙조봉-억새밭-솔밭 삼림욕장-고려산-적석사입구도로 (5㎞)

 

산행길잡이

진달래 산행 코스 : 진달래 산행은 청룡사나 백련사를 기점으로 오른다.

 

ㅇ청련사  

대중교통으로는 강화버스종합터미널에서 내가면 가는 군내버스를 이용 국화리 저수지 위에서 하차후 10분 정도 걸어야 된다.

승용차는 48번 국도직진 - 강화대교 - 강화시내 통과 - 강화산성 서문 - 좌회전 - 국화리저수지를 끼고 산쪽으로 5분정도 직진 - 마을회관에서 우측으로 이정표 있음 - 우측 산길을 2 - 3분 올라가면 된다

 

ㅇ백련사

강화시내를 지나쳐 - 강화산성 서문 - 송해지서 - 부근삼거리(해룡아파트 좌회전) - 헬기장 - 좌회전 - 53대대 - 산길로 1Km 달리면 백련사이다

대중교통으로는 강화버스 터미널에서 부근리까지 시외버스를 이용 부근삼거리에서 내려서 1시간 정도 걸어야 된다

 

ㅇ적석사 낙조봉 코스

강화읍에서 내가면 방향으로 국화리 저수지를 지나 구비고개를 넘어 적석사 입구에서 산행을 시작한다. 강화 버스터미널에서 적석사 입구 까지 군내버스로 15분 정도 소요되며, 적석사 입구 도로에서 적석사 까지 30분정도 걸린다. 낙조봉 바로 아래 적석사 까지는 가파른 길이 시멘트로 포장되어 있어 승용차가 적석사까지 들어갈 수 있으나 다소 위험하다.

적석사로 오를 때에는 적석사 축대 밑에서 왼쪽으로 올라야 낙조대 - 낙조봉으로 오를 수 있다. 적석사 오른쪽으로 오르면 능선으로 올라 능선에서 왼쪽으로 낙조봉을 갔다가 되돌아와 고려산으로 가야한다. 낙조봉은 표지석이 없다. 억새가 가득한 봉우리가 낙조봉이다. 적석사에서 15분 정도 오르면 낙조봉이다. 낙조대에는 조그마한 해수관음보살이 있다.

 

대중교통

 

◇ 서울 - 강화

* 서울 신촌시외버스 터미널에서 강화행 직행버스 이용한다. (첫차 05:40 ~ 막차 22:00)

(10분간격, 1시간10분소요)

 

◇ 고양시 일산 - 강화

* 일산 마두역 버스정류소에서 강화행 960번 버스를 타고 강화버스터미널 앞에서 하차한다. (일산발 : 06:00~25:00까지, 약 30분 간격으로 운행,

강화발 : 04:40~23:00까지, 약 30분 간격으로 운행)

 

◇ 강화 - 고비고개, 적석사입구(연촌버스정류소)

* 강화시외터미널에서 내가면행 9번 군내버스를 이용하여 고비고개에서 하차한다.

(강화에서 고비고개까지 약 20분소요, 적석사입구는 약 23분소요)

* 강화 → 고비고개 → 내가면(군내버스 9번)

(강화발(평일) : 06:55, 09:00, 10:35, 13:15, 15:45, 17:10, 20:40)

(내가면발(평일) : 07:15, 09:25, 11:00, 13:40, 16:10, 17:40, 21:05)

 

 

산행기

 

1. 적석사-낙조봉-고려산-청련사

일자 : 2004.4.22(목)

 

4월22일(목) 고교동문 6명이 강화도 낙조봉과 고려산 산행을 하였다.

(20회 강준수,박승훈, 24회 박기설+1,조창윤, 28회 김형주 총6명 참석)

 

오전8시30분 박기설의 스타렉스로 이촌역을 출발, 10시10분 강화대교를

건너자마자 인삼센타에 들러 30여분 머문 후 10시50분 적석사에 도착.

 

적석사입구에서 적석사까지 가파른 시멘트길을 차량으로 올라가니 등산은

훨씬 수월해진 셈. 적석사(積石寺)는 고구려 장수왕14년(416년)에 창건되었다

하며 인도에서 온 천축조사가 고려산 정상에서 오련지(五蓮池)에 핀 오색의

연꽃을 공중에 날려 연꽃이 떨어진 자리에 靑蓮寺와 白蓮寺, 폐사된 黃蓮寺,

黑蓮寺와 더불어 積石寺(일명 赤蓮寺)를 창건한 설화가 있다고 한다.

 

적석사 경내에서 10여분 머물고 10분만에 낙조봉(350m) 도착. 간식과

함께 강화 막걸리를 마시고 落照臺(343)에서 주변 경관을 감상하는데

평일임에도 금수강산산악회 등 많은 등산객이 미꾸지고개에서 올라온다.

 

11시30분 낙조봉을 떠나 완만하고 부드러운 흙길을 밟으며 나아가다가

11시40분 고인돌군락을 만나 사진을 찍는데 일반 바위와 구별이 어렵다.

 

우거진 녹음이 싱그러운 능선을 따라 가벼운 발걸음을 옮기면서 11시57분

마을회관 내려가는 갈림길을 지나고 12시5분 중간쉼터에서 잠시 휴식.

 

12시22분 진달래군락지에 이르러 진달래로 가득한 구릉에서 기념촬영.

진달래는 지고 있으나 아직도 화려한 편이다. 다만 진달래군락 주위로

가지를 꺾어서 꽂아놓은 것이 보이는데 아마도 진달래축제때 주최측이

임시방편으로 급조한 것이리라. 전시행정의 표본을 보는 듯하다.

 

12시34분 고려산정상(436)에 있는 미군부대 밑 헬기장에 당도, 후미를

기다리며 잠시 머물다가 정문에서 조금 내려간 지점에서 우측으로 돌아

고려산 표지판 옆에 자리를 잡고 정상주를 곁들여 간식을 들며 휴식.

 

오후1시35분 하산하기 시작하는데 제법 가파르다. 1시47분 갈림길에서

우측길을 택하여 1시50분 청련사에 당도하니 300년이 넘는 느티나무

와 아름답고 손질이 잘된 정원을 갖춘 절이 고즈넉하고 매우 인상적이다.

 

2시6분 청련사를 떠나 2시30분 강화읍 터미날부근 팔도젓갈정식집에

도착, 정식과 비빔밥, 수육 등으로 점심을 먹는데 꽤 맛이 있어 포식.

 

4시15분 화도초등학교 앞에서 약국을 운영하고 있는 24회 박철규를

방문한 후 제2강화대교를 건너 6시15분 사당역에서 해산. 총3시간도

되지않는 산행이었으나 그런대로 괜찮은 코스라 여겨지며 다음 기회에

혈구산과 퇴모산을 연결하는 4산이나 6산 종주산행을 해보고싶다.

 

동암역07:45-(직행)-용산08:20/08:25-이촌역08:29/09:04-(스타렉스)-강화인삼센타10:10/10:35-적석사,낙조대(343)10:50/11:00-낙조봉(350)11:10/11:29-고인돌11:39/11:41-갈림길(↑고려산,홍능,고비고개,→마을회관)11:57-중간쉼터12:05/12:18-진달래군락지12:22/12:25-H장12:34/12:42-고려산(436, 청련사0.6,낙조봉1.3)12:52/13:35(간식)-갈림길(↗청련사,↙백련사)13:47/13:50-(우)-청련사13:50/14:06-(스타렉스)-삼진팔도젓갈정식14:30/15:58-화도초등학교16:15/16:39-초지진-제2강화대교-사당역18:15

(총2시간50분, 순1시간30분)

 

 

2. 미꾸지고개-낙조봉-고려산-나래현(고비고개)

일자 : 2004.12.29(수)

 

동암역08:00-(직행)-신도림역08:25/08:28-사당역(7번출구)08:48/09:10-고려쉼터(內可池앞 휴게소)10:55/11:15-미꾸지고개(산화 버스정류장)11:18/11:24-쉼터11:45/11:54-1봉12:03-2봉12:05/12:06-낙조봉(350)12:16/12:25-갈림길(↑고려산,→적석사)12:29-(직진)-갈림길3거리12:35-(우)-제1고인돌군(강화기념물46호)12:40-제2고인돌군12:51-갈림길(↑고려산,→內可面)12:55/13:00-중간봉,철쭉동산13:06/13:07-H장,미군부대13:14/13:20-고려산(436),쉼터13:30/14:20(중식)-홍릉(고려조 고종릉)14:33/14:40-(정규등산로를 벗어나 능선을 오름)-KTF중계탑15:10-나래현(고비고개)15:15/15:42-대명포구16:13/18:35-송정역19:25/19:30-신길역19:52/20:00-동암역20:35

(총3시간50분, 순3시간)

 

3. 미꾸지고개-낙조봉-고려산-청련사

일자 : 2010.4.18(일)

 

4월18일(일) 산천사 회원 33명이 진달래를 보기위해 고려산 산행을

했는데 진달래가 아직 만개되지않아 아쉬웠다. 그런데 고려산은 거리

가 가까워 거의 매년 봄에 가는데 만개한 진달래 보기 정말 어렵다.

 

참석자 : 4050산천사 33명

 

인천지하철 계산역에서 만나 오전8시36분 45인승 관광버스로 출발,

강화도 미꾸지고개에서 하차하여 10시20분 산을 오르기 시작. 중도

에 숲속에서 잠시 쉬고 11시27분 낙조대에 올라 10분간 쉬는 동안

일부는 정상주로 막걸리를 마시고 일부는 아이스크림을 사먹는다.

 

11시50분 갈림길 공터에 자리를 잡아 점심식사를 하고 오후1시4분

진달래군락지에 이르렀으나 꽃이 초라하다. 1시23분 고려산 헬기장

으로 이동하여 10여분 휴식을 취하고 청련사로 하산하여 2시40분

버스를 탔는데 강화대교에서의 구제역 방제작업으로 교통체증 발생.

 

버스가 거의 움직이지않아 강화대교 못미쳐 모두 하차하여 강화대교

를 도보로 건넌다. 김포에 위치한 ‘농부와어부’라는 횟집에서 반주를

곁들여 저녁식사를 하고 8시52분 뒤늦게 도착한 버스를 타고 떠난다.

   

간석5거리역08:01-계산역(5번출구)08:18/08:36-김포TG08:47-미꾸지고개(고려산5.1,낙조봉2.6,적석사2.2)10:13/10:20-(휴식10:47/10:50)-낙조대(≒245, ↑고려산2.7,→적석사0.4,↓망월리2.6)11:27/11:37-적석사갈림길(↑고려산2.4,→적석사0.2,↓낙조봉0.5,미꾸지고개2.6)11:44-갈림길공터(≒205)11:50/12:34(중식)-내가면갈림길13:01-진달래군락지(≒270)13:04/13:06-고려산(H장,≒320, ↑청련사,←백련사,↓적석사)13:23/13:36-갈림길(↑청련사0.9,←백련사0.2↓고려산0.4)13:50-청련사14:10/14:15-주차장14:34/14:41-(구제역방제로 극심한 교통체증)-하차17:40-(강화대교, 도보)-수산물회센터18:35-농부와어부(김포)18:40/20:52(석식)

(총4시간15분, 순3시간10분)

※농부와어부 031-981-0008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포내리 6-9

 

△미꾸지고

 

△낙조

 

△고려산

 

△강화대교(구제역 방제중)

 

4. 강화역사박물관-백련사입구-고려산-고인돌군-낙조봉-적석사-삼별초회관

일자 : 2012.4.8.(일)

참석자 : 서울고총동문산악회 404명(버스 11대)중 입산회 14명

           김부경,김윤겸,김종국,박승훈,박준상,이명인,이선길부부,이수한,이시형,

           이제용,장재훈,전경호,조철식

 

동암역06:43-(급행)-신도림역07:08/07:11-교대역07:35/07:44-압구정역(6번출구)07:52/08:08-강화역사박물관(하점면 부근리 고인돌)09:16/09:45-묘소10:41/10:48-능선봉(≒255)10:55-4거리(↑고려산,→백련사0.3,←청련사0.9)11:00-3거리(↑고려산정상0.4,→백련사0.2,↓청련사0.9)11:15/11:16-숲속공터(≒365)11:18/11:57(중식)-3거리(↑고려산정상0.3,←고비고개1.3,↓청련사1.5)11:58-공터3거리(↑백련사1,2,←고려산정상0.2,↓청련사1.6)12:02(차도)-고려산(436,≒400, 헬기장)12:09-진달래군락지 조망대(≒365)12:16/12:20-(고-4)(↑적석사,↓고려산정상0.5)12:22-3거리(↑적석사,←내가면,↓고려산)12:27-강화고천리 고인돌군 안내문12:31-(고-6)쉼터(≒265, ↑적석사,↓고려산1.6)12:39/12:45-강화고천리 고인돌군 안내문12:48-3거리공터(↑낙조봉0.5,미꾸지고개2.6,망월리3.1,←적석사0.2,↓고려산정상2,4)13:03-낙조봉(≒330, ↑망월리2.6,←적석사0.4,↓고려산정상2.7)13:07/13:10-낙조대보타전(≒255)13:18/13:19-적석사(≒230)13:22/13:26-삼별초회관,삼별초오토캠핑장14:00/16:23-강화대교16:41-압구정역17:47/17:53-(택시)-강철판(논현동 영동시장)18:00/19:35-논현역19:40/19:45-온수역20:25/20:27-동암역20:48

(총10km, 4시간15분, 순3시간40분)

 

△강화역사박물관

 

 

△고려산 정상

 

△적석사

 

삼별초회관,삼별초오토캠핑장

 
△강철판 뒷풀이

 

5. 적석사-낙조봉-고려산-(왕복)-적석사

일자 : 2022.3.31(목) 

동행 : 나홀로

교통편 : 승용차

돌산마루1호주차장08:18-(승용차)-적석사주차장(237/210.5/238.3)09:48/09:55-낙조봉(≒359/335.6/359.9, 0.619/0.606/0.6)10:30/10:32-고인돌군(≒258/236.8/257.5, 1.47/1.451/1.4)10:46/10:49-고인돌군(≒309/288.3/310.1, 2.19/2.165/2.1)11:01/11:03-고려산(376.5,≒395/373/395.4, 2.95/2.925/2.9)11:21/11:32-숲속공터(≒332/309.9/331.5, 3.52/3.484/3.5)11:43/12:20(중식)-적석사주차장(≒242/221.1/242.6, 5.73/5.663/5.7)12:55/13:04-(승용차)-돌산마루1호주차장14:27

(산행거리 5.8/5.77/5.7km, 산행시간 총3시간, 순2시간24분/2분/15분,

 평균속도 2.4/2.77/2.5km/h, 최고고도 395/373m, 시작고도/최저고도 237/210m)

 

△적석사

 

△적석사

 

△적석사

△낙조봉

 

△고려산 정상비

 

△낙조대(주차장)

 

6. 백련사-고려산-하점저수지-삼거리 고인돌군-고려산-백련사

일자 : 2022.5.31(화)

동행 : 나홀로

교통편 : 승용차

 

돌산마루1호주차장09:30-(승용차)-백련사주차장(258/238.9/259.8)11:19/11:30-오련지(五蓮池)/오정(五井)11:49-고려산(376.5,≒403/381.5/403.7, 1.58/1.568/1.6)12:04/12:12-데크쉼터12:13/12:50(중식)-하점저수지 수변산책로시점(≒126/124.7, 3.77/3.7)13:29/13:31-(하점저수지 수변산책로)-하점저수지 2층정자옆 등산로입구(≒124/124.5, 5.01/5.0)13:47/13:48-삼거리 고인돌군13:54/13:55-주능선 합치점(≒389/389.2, 7.29/7.2)14:57/14:58-고려산(≒407/407.7, 7.63/7.6)15:03/15:05-부대앞 헬기장(≒441/440.7, 8.09/8.0)15:13/15:15-(고비고개/청련사)갈림길15:21-(고비고개방향으로 가다가 되돌아옴)-(고비고개/청련사)갈림길(≒430/430.8, 8.79/8.7)15:29-(백련사/청련사)제1갈림길15:32-(우, 청련사방향)-(백련사/청련사)제2갈림길15:45-(좌, 백련사방향)-백련사주차장(263/264, 10.94/10.9)16:08/16:18-(승용차)-돌산마루1호주차장18:04

(산행거리 11.0/10.86/10.9km, 산행시간 총4시간38분, 순3시간54분/50분/54분,

 평균속도 2.8/2.82km/h, 최고고도 447/425m, 시작고도 258m, 최저고도 97m)

 
 

△불두화

 

△백련사

 

△붉은병꽃나무

 

△백련사옆 등산로입구

 

오련지(五蓮池)/오정(五井)

 

△찔레꽃

 

△전망대

 

 

△고려산 정상비

 

△붓꽃

 

△낭아초

 

△왕씀배

 

△하점저수지

 

△찔레꽃

 

△참싸리

 

△백당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