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여행기/100+(플러스) 명산

1. 전북순창/전남담양 강천산 왕자봉(2020.11.5 외)

박연서원 2021. 1. 6. 07:23

剛泉山 왕자봉 583.7m, 산성산 연대봉 603m, 광덕산 565/583.7m

전북 순창 팔덕면, 전남 담양

 

특징/볼거리

전북 순창과 전남 담양군의 도계를 이루는 강천산은 비록 산은 낮아도 깊은 계곡과 맑은 계곡 물, 그리고 기암절벽이 병풍을 치듯 늘어선 모습으로 "호남의 소금강"이라는 찬사를 받고 있다. 단풍나무가 유난히 많은 강천산은 매년 11월 초순께 절정을 이룬다. 특히 강천산만의 자랑인 아기단풍이 곱게 물들 때 더욱 장관이다. 등산로가 가파르거나 험하지 않다.

등산로 초입부터 병풍바위를 비롯, 용바위 비룡폭포 금강문 등 명소들이 즐비하고 금성산성도 옛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 오밀 조밀한 산세에 감탄하게 된다. 이러한 관광자원에 힘입어 1981년 1월 우리나라 최초의 군립공원으로 지정된 곳이기도 하다.

강천사와 삼인대 사이를 지나 홍화정 옆길로 들어서면 50m높이에 걸린 구름다리(현수교)가 아찔하게 보인다. 강천산은 최근에 벚꽃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대개 4월초 피기 시작해 10일께 만개한다. 자연생「산벚꽃」으로 꽃이 잘고 빛깔이 희고 맑다. 벚나무는 강천산 입구 강천호 주변을 에워싸고 있으며 등산로 어디에서든 볼 수 있다. 강천계곡 6㎞구간을 지나 정상에 이르면 전망대가 있다. 이 곳에서 산 아래 흰빛 벚꽃물결을 감상할 수 있다. 강천산에는 신라 진성여왕 때 도선국사가 창건한 고찰 강천사가 있다. 강천사는 신라시대 도선국사가 창건한 고찰. 한때는 1,000여명의 승려가 있던 큰 절이었다고 한다. 절 뒤로 치솟은 암벽과 강천산 암봉이 어울려 한 폭의 그림처럼 멋지다.

 

산행길잡이

강천산을 찾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계곡을 따라 강천사 위 현수교 부근까지 가서 쉬었다가 돌아나오는 것이 상례. 그러나 본격적인 산행을 하려면 강천사쪽보다 산성산(573m)에 초점을 맞추어 등산한다.

매표소를 지나 차도를 따라 올라가면 마지막 주차장이 나오고 그 위로 병풍바위가 선을 보인다. 광덕정을 지나 계곡을 따라가면 마지막 매점. 승음교를 건너면서 곧 일주문 뒤로 강천산이 어림된다. 얼마 안가 돌담이 둘러쳐진 비구니들의 도량 강천사에 닿는다. 큰길을 따라가면 암벽이 둘러쳐진 골짜기로 들어선다. 하늘 위를 보면 높이 50m를 자랑하는 명물 현수교가 보인다. 그 아래 이어진 담과 소, 계곡 또한 일품이다.

공터를 이룬 3거리가 나오면 산성산 암봉을 보면서 숲길로 들어선다. 등산로는 계곡을 끼고 비교적 뚜렷하게 나있다. 조릿대가 빽빽하고 단풍나무와 참나무류 등 활엽수림이 하늘을 뒤덮은 숲길을 따라가면 연대암터. 깊은 산중에 있는 강천저수지가 기묘한 모습으로 보인다.

암벽 능선길을 따라 오르면 갑자기 사방으로 전망이 열리는 정상이다. 서쪽으로 짙푸른 담양호와 추월산이 보이고 동쪽으로 광덕산이, 남쪽으로는 528봉이 산성으로 이어지고 저 아래 계곡이 아름답게 펼쳐진다. 하산은 금성산성을 따라 종주하다 담양호 아래 대성교로 하면 된다. 총산행 3시간30분 소요.

 

등산코스

제1코스 해발 425m(신선봉) : 병풍바위-강천사-현수교(구름다리)-신성봉(전망대) (5km/2시간 소요) 

제2코스 해발 603m(산성산) : 병풍바위-강천사-구장군폭포-비룡폭포-암자터-북바위(운대봉)-연대봉(정상)-송낙바위-강천제2호수 (9km/4시간 소요) 

제3코스 해발 565m(광덕산) : 병풍바위-강천사(삼인대)-신선봉(전망대)-선녀봉(정상)-산성 (동문)-북바위(운대봉)-연대봉-송낙바위-강천제2호수 (11km, 5시간) 

제4코스 해발583.7m(강천산) : 병풍바위-깃대봉-갈우방죽-왕자봉(정상)-형제봉-강천 제2호수 (8km, 4시간) 

제4-1코스 해발583.7m(강천산) : 병풍바위-깃대봉-왕자봉-형제봉-송낙바위-동문-광덕산-옥호봉-관리사무소 (4km, 3시간)

제5코스 해발 415m (옥호봉) : 병풍바위-금강문(투구봉, 범바위)-금강계곡-옥호봉-주차장 종주코스 (12km, 7시간) 

 

대중교통

순창이나 광주에서 버스를 갈아탄다. ※ 문의 : 순창시외버스터미널 (063-653-2186)

1) 순창↔강천산

순창-강천사행 버스(20분 간격 15분 소요)

* 군내버스 08:10~18:50 (13회 운행)

* 직행버스 09:50~17:30 (9회 운행)

2) 순창↔서울

* 고속버스 08:10~16:45 (왕복 6회 운행)

ᄋ광주-순창(10분 간격, 40분 소요)

ᄋ광주-강천사행이나 담양호행 버스 이용

 

도로안내 

1) 순창읍내 4거리->우회전하여 담양방면 24번 국도로 2.8km->백산리에서 우회전 793번 지방도로로 6.5km 북상->강천저수지를 끼고 좌회전하여 강천산 진입로(승용차로 전주에서 1시간 10분 정도, 광주에서는 30분 정도 소요)

2) 전주IC->전주시내->17번 국도->임실->30번국도->덕치->27번 국도->순창

3) 백양사IC->북하면->담양->순창

 

산행기

 

1. 강천사-홍화정-현수교-신선봉-광덕산-시루봉-동문터-강천사

일자 : 2004.7.6(화)

 

7월6일(화) 관우산악회와 호남의 金剛이라는 강천산(전북순창)에

갔었는데 시간이 부족하여 정작 강천산(왕자봉, 583.7)과 산성산

(연대봉, 603)엔 오르지 못하고 광덕산과 신선봉, 시루봉만 올랐다.

 

새벽에 비가 내리고 몸도 좋지않아 망설였으나 처음으로 예약한

산악회인데다 남부에는 비가 오지 않는다 하여 일단 집을 나선다.

 

6시30분 신림역1번출구 LG25앞에 나가니 경남관광버스 3대가 대기,

그 중 2호차를 타고 6시47분 출발. 낙성대와 사당역에서 인원을 더

태우고 서울을 벗어나 버스내에서 朝食으로 떡과 요구르트를 준다.

 

9시45분 정안휴게소(공주)에 들러 20분간 머물고 정읍휴게소에 한번

더 들른 후 정읍IC를 빠져나가 29번국도와 792,793번 지방도를 달려

10시55분 강천사 주차장(순창군팔덕면청계리)에서 하차 즉시 산행.

 

11시 매표소를 지나면서 우측으로 병풍폭포가 보이는데 꼭대기에서

떨어지는 물줄기가 힘차고 보는 이의 가슴을 시원하게 만든다.

 

병풍폭포를 조금 지나 금강교에서 우측으로 강천산을 올라야 하는데

전화를 받느라 부지불식간에 입구를 지나친다. 11시17분 강천사 통과.

 

11시20분 홍화정을 지나 일행에서 혼자 떨어져 우측 급경사구간을

올라 11시25분 능선4거리에 당도. 부근을 둘러보다가 우측 강천산

코스대신 좌측코스로 향하여 11시40분 구름다리(현수교)를 건넌다.

 

현수교를 건느자마자 암릉을 오르는데 날이 더워 땀을 많이 흘린다.

11시45분 전망암을 거쳐 12시 신선봉(425) 도착. 정자 2층에 오르니

현수교와 강천사가 아래로 보이고 주위의 모든 봉우리가 조망된다.

 

신선봉을 떠나 12시6분 안부4거리를 지나고 12시20분 능선갈림길에

올라 우측으로 내려간다. 12시26분 안부를 지나 다시 오르막길 시작.

 

더위에 지쳐 속도가 느려지고 중간에 한번 쉰 후 12시50분 광덕산에

올라 점심식사를 한다. 정상에는 해발583.7m라고 표기된 반면 지도엔

565m, 혹은 578m로 나와 있어 혼동스럽지만 565m로 통일하기로 한다.

 

오후1시28분 광덕산을 떠나 철계단을 거쳐 1시42분 헬기장에 도착.

우측은 선녀계곡으로 하산하는 길이다. 연대산성 방향으로 직진. 

 

소봉을 우회하고 철계단을 지나 2시15분 전망암에서 5분간 휴식.

2시30분 시루모양의 바위로 된 시루봉에 오르니 전망은 좋으나

정상 표지가 전혀 없고 높이도 지도상에 573m 혹은 515m로 표기.

 

2시34분 시루봉 출발. 가파른 경사를 내려가 2시41분 산성을

만나는데 小門을 중심으로 좌, 우로 길이 나있어 어느 쪽으로

가야할지 헷갈린다. 어림짐작으로 산성문을 통과, 우측으로 향한다.

 

울창한 숲속의 완만한 능선을 나아가던 중 2시48분 동문터(500)를

만나 안도를 한다. 3시5분 갈림길3거리에서 강천사방향으로 하산.

 

중간쉼터에서 10분간 쉬며 간식을 들고 3시30분 연대3거리 통과.

3시36분 샘터에 이르러 수통에 물을 가득 담고 세수까지 한다.

 

대로로 나와 3시56분 선녀계곡과 만나는 합수곡에 이르니 이제야

등산객이 보인다. 4시 강천제2호3거리, 4시10분 비룡교(현수교밑),

4시14분 홍화정, 4시30분 금강교, 병풍폭포를 차례로 지나 4시37분

주차장에 도착하여 총5시간40분(순5시간)의 산행을 무사히 완료.

 

예정된 출발시간보다 10분 늦은 4시40분 주차장을 출발하여

8시25분 서울 사당역에 도착, 친구와 만나 뒤풀이 술을 마신다.

 

금년 가을 강천산을 다시 찾아 이번 산행에 오르지 못한 코스중

깃대봉, 왕자봉, 형제봉, 산성산 순으로 반드시 오르고자 한다.

 

동암역05:46-(직행)-신도림역06:11/06:18-신림역(1번출구 LG25앞)06:29/06:47-낙성대06:55-사당역07:00-정안SA(공주)08:17/08:39-남논산TG09:09-정읍SA09:45/09:55-정읍IC10:00-(792번지방도)-차량매표소10:51-주차장10:55-매표소,도선교,병풍폭포11:00-금강교[제4등산로입구, ↑강천사1.3,→(강천산)왕자봉2.8,병풍바위4.7,↙공원관리소,병풍폭포0.2]11:01-강천사11:17-홍화정(↑강천호1.3,산성2.8,→현수교0.4,전망대1.0,↓강천사0.1)11:20-(우,급경사)-능선4거리(←현수교30m,신선봉0.6,↑강천제2호,산성0.6,→강천사0.6)11:25/11:30-현수교(구름다리)11:33/11:40-중간전망암11:44/11:45-신선봉(425, 전망대, 광덕산1.2,산성3.5)11:59/12:03-안부4거리(↑광덕산1.0,↖강천사,장안리1.5,↙강천사1.1,↓전망대0.2,현수교0.8)12:06/12:09-능선갈림길(→광덕산0.9)12:20/12:21-(↘우)-안부12:26-(↗)-쉼터12:36/12:45-광덕산(583.7/565)12:50/13:28(중식)-(철계단)-H장(↑연대산성2.3,→선녀계곡1.5,←창덕마을1.6,↓광덕산0.4)13:42/13:45-소봉(우회)13:52/13:55-(철계단)-전망암14:15/14:20-시루봉(573/515)14:30/14:34-산성14:41-小門14:44/14:46-(통과↘)-동문터[500, 북문1.6,강천사,→남문(금성면)1.0,시루봉0.3]14:48/15:00-갈림길3거리(↖북바위,운대봉0.3,↗강천사3.2)15:05-쉼터15:15/15:25(간식)-연대3거리[↑강천사2.5,←산성(북바위)0.25,↓산성(동문)0.6]15:29/15:31-샘터15:36/15:42-합수곡(→선녀계곡)15:56-강천제2호3거리(←강천제2호)16:00-비룡교(현수교밑)16:10-홍화정16:14-금강교[제4등산로입구, ←(강천산)왕자봉2.8,병풍바위4.7,↗공원관리소,병풍폭포0.2,↓강천사1.3]16:30-병풍폭포,매표소16:31/16:32-주차장16:37/16:40-이인SA18:15/18:37-풍세TG19:02/19:04-죽전SA19:46/19:58-서울TG20:02-청계TG20:12-사당역20:25

(산행 총5시간40분, 순5시간)

 

2. 담양오토캠핑장-북문-형제봉-강천산(왕자봉)-현수교-구장군폭포-상가

일자 : 2020.11.5.(목)

동행 : 산천사 8명 (대장 빠삐용, 야호, 수, 수아, 쟁이, 예원, 박하, 나)

 

동암역06:13-(급행)-신도림역06:39/06:47-교대역1번출구07:13/07:50-서울TG08:12-탄천휴게소(공주시탄천면)09:31/09:44-삼례IC10:12-메타세콰이어길11:11/11:18-담양오토캠핑장(≒147/146.8/148.2)11:25/11:38-담양리조트갈림길(↑금성산성0.8,←담양리조트,↓주차장1.5)12:13-보국문12:23/12:27-충용문12:41/12:45-이정표(↑보국사터1.0,약수터50m,↓보국문0.1)12:45-남문(↖서문,북문1.8,보국사터0.8,↗동문1.5,약수터0.1)12:48/12:50-(좌)-이정표(↑보국사터0.4,↓충용문0.4)12:57-보국사터(↗북문1.6,↖서문1.6,↓남문0.8)13:02-(우)-북문[금성산성, ≒555/555.1/556.2, 3.59/3.486/3.8, ↖형제봉2.73,←서문1.8,→송낙바위0.4,동문1.6,분통리(가마골)4.5,↓보국사터0.8]13:27/14:26(중식)-형제봉3거리(≒533/530.3/533.3, 6.42/6.286/6.7, ←왕자봉0.99,→구장군폭포1.85,↓송낙바위3.28,북문3.68)15:28/15:35-형제봉(↖왕자봉0.79,↓구장군폭포,북문)15:43/15:45-왕자봉3거리(≒615/616/615.6, 7.18/7.03/7.3, →왕자봉0.2,현수교1.0,←깃대봉삼거리1.39,↓형제봉3거리0.78)15:51/15:52-강천산 왕자봉(584,≒628/622.5/627.6, 7.4/7.231/7.7, ↗강천사1.1,현수교0.8,↓형제봉,깃대봉)15:56/16:10-현수교사거리(↑구장군폭포0.6,↖전망대0.7,현수교0.1,←관리사무소2.08,↓왕자봉1.0)16:48-현수교(구름다리)16:50/16:55-산수정(山水亭),구장군폭포17:15/17:22-군립공원출입구18:07-산들애(≒205/205.4/205.3, 12.39/12.103/13.6)18:10/19:48(석식:산채비빔밥)-이인(상)휴게소(공주시이인면)21:25/21:39-교대역1번출구23:30/23:37-(9100번버스)-모래내시장역2번출구12:40

(산행거리 12.6/12.36/13.6km, 산행시간 총6시간32분, 순5시간11분/4시간58분/59분,

평균속도 2.4/2.48/2.7km/h, 최고고도 628/627m, 시작고도 148m, 최저고도 146m)

 

메타세콰이어길
보국문
금성산성
충용문
충용문
충용문
북문
북문
담양호
형제봉3거리
강천산 정상 왕자봉
강천산 현수교(구름다리)
구장군폭포
강천사
강천사
산들애식당 석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