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우도 [駕牛島]
전남 강진군 도암면 가우리
강진만 한가운데에 서 있는 인도교로 연결된 섬
강진만의 8개 섬 가운데 유일한 유인도로 강진읍 보은산이 소의 머리에 해당되고 섬의 생김새가 소(牛)의 머리에 해당된다하여 "가우도"라 부르게 되었다. 강진 대구면을 잊는 출렁다리(438m)와 도암면을 잊는 출렁다리(716m)에 연결되어 있으며, 해안선을 따라 조성된 생태탐방로로 "함께해(海)길"(2.5Km)은 산과 바다를 감상하며 걷는 천혜의 트레킹 코스로 많은 관광객들이 찾는 곳이다.
강진만 속으로 지나는 사물들을 검문하는 초병처럼 자리잡은 4개의 섬이 있다. 내륙 쪽의 순서대로 하면 죽도, 가우도, 비라도, 가막섬이 그 섬들이다. 그러나 가우도를 제외하고 나머지 세 개의 섬들은 사람이 살지 않는 무인도이다. 강진군 내의 유일한 섬인 가우도는 면적 0.228km2, 해안선 길이 2.4km이다. 가우도는 한때 100여 명이 넘게 살았으나 지금은 10여 가구에 30여 명이 살고 있다. 거기에다 거의 50~70대 부부들이 고기잡이를 생업으로 살아간다.
1973년도 15가구 115명, 초등학생 23명이었던 이 섬은 별다른 변화없이 13가구가 유지되고 있으니 특이한 섬이다. 수백년 동안의 역사를 지니고 있는 가우도였지만 지금까지 ‘가우리’라는 이름을 쓰지 못하고 건너편에 있는 ‘강진군 도암면 망호마을’에 예속되어 자기 주소를 갖지 못하였다. 남의 집에 셋방살이 하는 기분으로 살았던 마을 사람들은 서자 취급을 받으며 많은 서러움을 겪어야만 했다.
반상회나 어촌계 회의에 한번 참석을 하려면 배를 타고 육지로 나가야 하는 불편함도 있었다. 무슨 사업이 군에서 떨어지면 우선순위에서 밀리고 말았다. 이에 가우도 주민들은 독자적인 마을 구실을 하기 위하여 뜻을 모으고 망호리와 의논하여 마을 분리의사를 밝혔다. 군청에 마을승격을 여러 차례 지속적으로 건의했고, 조례제정를 통하여 지난 2005년 11월 독립마을로 승격되어 주민들의 오랜 소원이었던 ‘가우리’라는 주소를 갖게 됐다. 독립된 행정 마을이 된 셈이다. 동시에 도암면 망호리와 가우도와 대구면 저두리로 이어지는 총 1천200m의 출렁다리가 건설됨에 따라 강진만의 여의도라고 불리는 강진의 최대 관광명소로 거듭나고 있다.
저두마을 앞에서 왼쪽으로 꺾어 들어가면 선착장이 나타난다. 가우도횟집 앞에서 왼쪽으로 돌아서면 다리 하나가 눈에 들어온다. 바로 앞에는 섬이 하나 있고 다리로 연결되었는데 이 다리는 사람만이 다닐 수 있는 출렁다리다. 강진군 도암면 망호리~가우도~대구면 저두리를 연결하는 가우도 출렁다리는 보도교량이다. 길이 1.12km 폭 2.2m, 진입도로 0.7km 및 경관 조명시설, 만남의 광장 12,900m2 등으로 건설되었다. ‘가우도 출렁다리’는 국내 최대 규모의 해상 인도교로 대구면 저두리~가우도~도암면 망호리(길이 1.12km, 폭 2.2m) 구간 중 저두리~가우도와 연결되었다.
강진은 위에서 내려다보면 마치 소(牛)가 누운 형상을 하고 있다고 한다. 그런 연유 때문인지는 모르나 마을 이름에 소와 연관된 곳이 많다고 한다. 그 중 하나가 ‘가우도(駕牛島)’다. 소의 멍에 같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가우도로 들어가는 길은 여러 갈래다. 저두리의 중저마을 선착장에서 배를 타고 들어가는 방법과 도암 망호마을의 월곶지 포구에서 배를 타고 들어가기도 했다고 한다. 지금은 주로 중저마을 길을 이용하고 있다. 이곳에 출렁다리가 생겨 이제는 걸어서 갈 수 있게 된 것이다.
[한국의 산티아고순례길] 신안 섬티아고 12사도순례길
기점·소악도 사이트 : http://www.기점소악도.com/
소개영상 :
https://youtu.be/Vg4wHMiKpWc
https://youtu.be/rYW0_8XmOxE 1번 베드로의 집
https://youtu.be/TWRHPMJ69ws 8번 마테오의 집
https://www.youtube.com/embed/zAWetImk2PQ
전라남도 신안군에 눈에 띄지 않을 만큼 작고 외딴 5개의 섬이 있다.
썰물 때는 어미격인 병풍도와 대기점도, 소기점도, 소악도, 신추도 등 5개 섬이 노두길을 따라 하나로 이어진다.
섬 곳곳이 알록달록한 열두 개의 예배당으로 채워지고, 노둣길을 따라 순레길이 조성된 것이다.
국내 최초의 섬 순례길이자 한국의 산티아고...이름하여 '섬티아고'이다.
전라남도가 이곳 기점·소악도를 2017년 ‘가고 싶은 섬’으로 선정하고 ‘순례자의 섬’으로 가꾸기 시작한지 2년. 주민들과 합심해 스페인의 산티아고와 같은 아름다운 ‘기적의 순례길’이 만들어졌다. 12㎞에 달하는 순례길을 따라 섬 곳곳에 세워진 작은 예배당은 조그마한 건축미술 작품으로서 저마다의 특색으로 빛난다.
“갯벌에 박힌 보석처럼 작은 섬”
제주도처럼 큰 섬이 아닌, 홍도나 장도처럼 특별한 생태환경으로 매체에 나온적도 없는 작은 섬들로 이루어진 기점악도.
“노둣길로 이어진 섬들”
노둣길은 소악도 섬 두 개와 대기점도, 소기점도 등 섬 네 개를 한 섬처럼 이어주고 있다.
썰물 때는 어미격인 병풍도와 대기점도, 소기점도, 소악도, 신추도 등 5개 섬이 노두길을 따라 하나로 이어진다.
밀물 때 물이 들면 섬과 섬을 잇는 노두길이 바다로 잠수하여 다시 5개의 섬으로 변하는 신비한 곳이다.
“한겨울에 걸어도, 무진장 걸어도 힘들지 않은 길”
한겨울에 걸어도 춥지 않고, 높낮이가 없어서 무진장 걸어도 참 걷기 좋은 섬 순례길이면서 순례길 사이사이의 작은 예배당은 불자에게는 자신만의 작은 암자, 가톨릭 신자에겐 자신만의 작은 공소, 이슬람교도에겐 자신만의 작은 기도소, 종교가 없는 이들에겐 잠시 쉬면서 생각에 잠기는 자신만의 작은 성소가 되었으면 좋겠다.
여행기
1. 저두주차장-가우도-저두주차장
일자 : 2020.9.9.(수)
동행 : 좋은사람들 28인승 2대 (대장 : 1호차 후리지아, 2호차 옥타브) 2호차 9번
동암역21:49-(급행)-신도림역22:12/22:22-사당역22:41/22:57-양재역23:06/23:11-고인돌휴게소01:45/02:00-저두출렁다리주차장(≒31/30.7/31.2)03:25/03:32-(가우도산책)-저두출렁다리주차장(≒33/33.2/33.7, 2.05/2.031/2.1, 3,444보)04:12/04:25-압해도 송공항05:46-봉자네1번지06:00/06:25(조식:백반 7,000원)-선착장06:30/06:50-(해진해운 천사아일랜드호, 4,800원)-대기점도선착장,(1)베드로의집(≒26/27.7/28.1)08:03/08:06-(2)안드레아의집08:15-병풍도 맨드라미축제장08:38/08:50-(2)안드레아의집(≒18/18.4/17.6, 5.61/5.58/5.6)09:16/09:18-(우)-(3)야고보의집입구3거리09:21-(좌)-(4)요한의집,(5)필립의집 갈림길3거리09:30-(직진)-(5)필립의집09:34/09:35-(6)바르톨로메오의집09:41/09:43-(7)토마스의집10:01/10:02-게스트하우스10:07/11:07(맥주 시음)-(8)마태오의집11:11/11:12-(9)작은야고보의집11:32/11:34-(10)유다타대오의집11:39/11:40-(11)시몬의집11:50/11:52-(12)가롯유다의집11:58/12:03-(11)시몬의집12:09-(10)유다 타대오의집 쉼터(≒42/39.8/42.8, 13.3/13.221/13.5)12:20/13:08-소악도민박분식(≒51/49.2/51.6, 13.7/13.636/14.1)13:20/13:53(중식:라면,맥주)-소악도선착장(≒52/52.3/51.9, 13.96/13.877/14.3)14:02/14:28-(천사아일랜드호, 4,400원)-송공항15:14/15:28-고인돌휴게소16:42/16:48-정안휴게소18:19/18:42(석식:돌솥비빔밥, 8,000원)-양재역20:16/20:31-(9100번버스)-모래내시장역21:30
(가우도 걸은거리 2.1/2.03/2.1km, 걸은시간 총40분, 순37분/34분/37분,
평균속도 3.2/3.49/3.4km, 최고고도 43/44m, 시작고도 31m, 최저고도 29m)
(섬티아고 걸은거리 14/13.89/14.4km, 걸은시간 총5시간56분, 순3시간36분/38분/46분,
평균속도 3.8/3.82/3.8km/h, 최고고도 57/55m, 시작고도 26m, 최저고도 8m)
※봉자네1번지 061-271-9540 전남 신안군 압해읍 압해로 1842
게스트하우스&카페 061-246-1245, 010-2612-6990(이순남 마을사무장)
신안군 증도면 병풍리 1127
소악도민박(분식) 010-3499-6292 (장명순) 신안군 증도면 병풍리
▼가우도
▼압해도 송공항-대기점도 선착장(천사아일랜드호)
▼전남신안 섬티아고 12사도순례길 (병풍도 대기점도 소기점도 소악도 진섬 딴섬)
▼병풍도 맨드라미축제장
2. 망호주차장-영랑나루쉼터-두꺼비바위-청자타워-가우도출렁다리-가우마을-망호주차장
일자 : 2022.2.22.(화)
동행 : 좋은사람들 28인승 버스 1대(대장 pty8489, 기사 제일고속 7311 양남수)
동암역05:49-(급행)-신도림역06:15/06:19-사당역1번출구06:36/06:50-양재역07:02-군산휴게소09:12/09:38-백련사주차장(≒109/82.8/109.3, ↑백련사0.3)11:35/11:40-이정표(←다산초당0.9,해월루0.4,↓백련사0.1)11:45-3거리(←깃대봉0.1,→옥련사1.9,↓백련사0.55)12:03-만덕산 깃대봉(청렴봉, 408.6,≒437/413.3/444.5, 1.46/1.397/1.4)12:20/12:29(인증)-3거리(↑바람재0.26,←다산초당1.13,↓깃대봉0.54)12:47-(좌)-4거리(↑해월루0.1,→다산초당0.6,다산박물관1.6,←백련사0.4,↓깃대봉1.3)13:05-이정표(↑다산초당0.5,다산박물관1.5,↓백련사0.5,해월루0.2)13:07-쉼터(≒182/158/181.6, 2.89/2.802/2.8, ↑다산초당0.3,다산박물관1.3,↓백련사0.7,해월루0.4)13:11/13:36(중식)-천일각(天一閣),다산초당(茶山草堂),다산동암(茶山東菴),보정산방(寶丁山房),송풍루(松風樓, 송풍암松風菴)(→다산박물관1.0,↓백련사1.0,해월루0.7)13:39/13:41-귤송당13:46-다산박물관13:51/13:53-만덕경로당13:57-다산정약용선생유적비(≒31/3.1/31.4, 4.3/4.175/4.1)13:58/14:35-(버스)-망호출렁다리 주차장,망호선착장(≒26/1.8/26.8)14:49/14:50-망호출렁다리(다산다리)14:51/14:59-가우도치안센터15:01-갈림길(↑모노레일0.57,청자다리0.62,←출렁다리0.75,↓다산다리0.23)15:03-영랑나루쉼터15:07/15:08-가우도두꺼비바위,로타리쉼터15:10-가우도표지판(인증장소),저두출렁다리15:14/15:17-청자타위15:24/15:35-가우도출렁다리15:44/15:48-이정표(↑다산다리0.8,가우마을0.6,↓청자다리0.9,모노레일0.95,출렁다리0.3)15:52-다산정약용쉼터15:55-가우마을16:02/16:03-가우도친구집(펜션&식당)16:04/16:30(막걸리+회덮밥)-망호출렁다리 주차장,망호선착장(≒29/4.2/30.1, 4.77/4.753/4.7)16:40/16:52-졸음쉼터18:45/18:51-군산휴게소19:04/19:15-양재역21:07/21:08-사당역14번출구21:20/21:31-신도림역21:50/22:01-(급행)-동암역22
(만덕산 산행거리 4.4/4.17/4.1km, 산행시간 총2시간18분, 순2시간4분/1시간41분/50분,
평균속도 2.1/2.48/2.2km/h, 최고고도 443/417/439m, 시작고도 110m, 최저고도 1m)
(가우도 보행거리 4.8/4.75/4.7km, 보행시간 총1시간50분, 순1시간29분/24분/23분,
평균속도 3.2/3.36/3.4km/h, 최고고도 100/76/102m, 시작고도 27m, 최저고도 1m)
※가우도친구집 061-432-8455/010-6507-8455/010-7220-8458
전남 강진군 도암면 가우도길 2-7 (신기리 21-7)
![](https://blog.kakaocdn.net/dn/bmZdsr/btrYmv8fdE7/fDpT916b5xg07ojewfwP01/img.jpg)
'산행‧여행기 > 섬(BAC 섬&산100+)' 카테고리의 다른 글
95. 경남통영 수우도 은박산(2020.11.3) (0) | 2020.11.06 |
---|---|
94. 충남보령 외연도 봉화산(2020.9.25) (0) | 2020.10.11 |
92. 인천옹진 장봉도 국사봉(2020.8.23 외) (0) | 2020.09.09 |
전남신안 섬티아고(2020.7.5)2 (0) | 2020.09.06 |
전남신안 섬티아고(2020.7.5)1 (0) | 2020.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