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탄소년단(BTS)
싸이가 2012년에 MC 해머와 함께 아메리칸 뮤직 어워드 무대에 섰을 때, 이런 광경을 당분간 다시 보기는 어려울 거라고들 했었다. 하지만 불과 얼마 지나지 않아 한국인이 다시 아메리칸 뮤직 어워드 무대에 섰다. 이번엔 공동 공연이 아닌 단독 공연이다.
방탄소년단이 아메리칸 뮤직 어워드에서 미국 데뷔 공연을 치른 것이다. 원래 주최 측에선 공동 공연을 제안했지만 방탄소년단 측에서 단독 공연을 요구해 성사시켰다고 한다.
그 결과 놀라운 광경이 벌어졌다. 무대만 보면 영락없는 주말 ‘뮤직뱅크’ 화면인데 관중석에서 서양 사람들이 리액션을 하는 비현실적인 그림이 현실화된 것이다.
놀라운 점은 방탄소년단이 단지 출연한 것에 그치지 않았다. 방탄소년단 공연이 그날의 하이라이트였다는 보도가 미국 매체에서 나올 정도로 뜨거운 반응을 얻어냈다. 해당 공연 이후 구글 트렌드 검색어 1위에 오르고 트위터 언급량이 기록적인 수준으로 폭발해, ‘세계 최다 트윗 그룹’이라는 타이틀로 기네스북에까지 오르게 됐다.
방탄소년단의 이번 미국 활동에선 또 다른 놀라운 광경이 연출됐다. 미국 사람들이 한국 쇼프로그램에서 나타나는 집단적인 아이돌 응원 방식을 똑같이 따라한 것이다. 과거엔 상상할 수도 없었던 장면이다.
미국에서 기존 한류의 한계를 넘어선 점도 놀랍다. 기존 한류가 아시아 커뮤니티의 여성들 중심이었다면 방탄소년단은 일반적인 10대~20대로까지 영향력을 넓혔다. 또, 여성을 넘어서서 서구의 젊은 남성들에게까지 호응을 얻었다.
그렇다고 ‘강남스타일’을 넘어섰다고 하기는 어렵다. ‘강남스타일’은 서구권에서 남녀노소 모두에게 보편적 호응을 얻어냈다. 반면에 방탄소년단은 아이돌이고, 아이돌 시장은 원래부터 제한적이다. 그러므로 방탄소년단이 싸이를 넘어섰다고 하는 건 무리다.
하지만 ‘강남스타일’과는 다른 열기를 만들어내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10~20대 시장의 뜨거운 호응, 즉 ‘강남스타일’ 때와는 팬덤의 질적인 수준이 다른 것이다. 또, ‘강남스타일’이 우연한 사건이었다면 방탄소년단은 케이팝 제작시스템의 산업적 결실이란 점이 다르다.
‘강남스타일’이 떴다고 해서 다른 한류 그룹에 영향을 미친 건 아니었지만, 방탄소년단 신드롬은 다른 한류 그룹에까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한국 아이돌을 대하는 시각이 달라지고, 그로 인해 우리 시스템이 만들어낸 다른 팀들의 성공 가능성까지 커지는 것이다. 방탄소년단 미국 인기의 산업적 의미다.
또 다른 의미는 한국인과 한국어의 위상 제고다. 싸이는 우스꽝스런 캐릭터로 떴다. 당시만 해도 서양 사람들이 한국 남성을 멋있다고 느끼는 날이 올 거라고는 상상하기 어려웠다. 코믹한 B급 캐릭터가 동양인이 서양에 어필할 수 있는 최선이라고 봤다.
하지만 방탄소년단은 ‘멋있는’ 스타일로 떴다. 서구 남성들까지 방탄소년단을 멋있다고 인정할 정도다. 전혀 생각하지 못했던 일이 벌어졌다.
방탄소년단은 한국인 멤버들로 구성돼 한국어로 노래하는 팀이다. 우리가 세계에 문화적으로 진출하는 데에 한국어는 넘기 힘든 장벽이라고 인식됐었다. 그래서 송승환이 ‘난타’를 만들 때 언어를 제거해버린 것이다. 그런데 방탄소년단은 한국어로 노래해 미국 라디오 방송망을 뚫었다. 이것도 근시일내에 가능할 거라고 여기지 못했던 일이다. 방탄소년단의 콘텐츠, 실력, 매력 등이 상상을 뛰어넘는 기적을 가능케 했다고 할 수 있다.
물론 그렇다고 세상이 완전히 뒤바뀐 건 아니다. 방탄소년단이 하나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전기를 마련해줬을 뿐이다. 이 정도만이라도 과거엔 상상하기 어려웠다는 점에서 방탄소년단의 성과가 놀랍다. 한국 아이돌 산업이 엄청난 일을 해낸 것이다. 이렇게 아이돌 산업만 발전하는 것이 좋은 일만은 아니지만, 어쨌든 방탄소년단의 성과는 경탄할 만하다. 부디 방탄소년단의 활동이 케이팝에 ‘방탄’ 보호막으로 작용해 한류 전체의 성장으로 이어지기를.
2017 BTS Live Trilogy EPISODE III THE WINGS TOUR
'피 땀 눈물 (Blood Sweat & Tears)' Official MV
'봄날 (Spring Day)' Official MV
Director: YongSeok Choi (Lumpens)
Assistant Directors: Edie YooJeong Ko (Lumpens)
Director of Photography: HyunWoo Nam(GDW)
Gaffer : GyeungSeok Kim(Sunny)
Art Director: MoonYoung Lee (Myllab)
Special Effects : YunKyun Shin(DnD line)
그룹 방탄소년단이 미국 TV 데뷔 무대를 마쳤다.
'2017 AMAs'를 통해 미국 TV 데뷔를 알린 그들은 향후 어떤 무대로 어떤 감동을 전하게 될까?
20일(한국 시각)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마이크로소프트 공연장(Microsoft Theater)에서
'2017 아메리칸 뮤직어워드(Amarican Music Awards 2017, 이하 AMA)'가 개최됐다.
방탄소년단 '2017 AMAs' 무대 / 사진
방탄소년단은 'AMAs'에서 신곡 'DNA' 무대를 선보였다.
체인스모커스의 "'인터내셔널 스타'라는 단어로도 부족하다"는 호평 속 무대에 오른
그들은 열정적인 퍼포먼스, 팬들의 강렬한 응원 속에서 인상적인 무대를 꾸몄다.
이들의 무대가 더욱 값진 건, 온전히 한국어 가사로 이뤄진 노래를 'AMA' 무대에서
선보였다는 점이다. 시상식에 운집한 팬들은 한국어 가사에 맞춰 응원 구호를 외쳤고,
방탄소년단 역시 "미국 시상식에서 한국어로 된 음악을 선보인다는 것 자체로
굉장히 영광스럽게 생각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방탄소년단 '2017 AMAs' 무대 / 사진
방탄소년단을 향한 세계의 관심도 상당했다. 파워풀한 퍼포먼스를 선보인 방탄소년단은
공연 이후 미국 구글 트렌드 검색 순위 1위를 차지했다.
구글 트렌드는 이용자들이 특정 키워드로 검색한 횟수를 지수화해 대중의 관심도를 보여주며,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산출한다.
또한 미국 아이튠즈에서 방탄소년단 'DNA'는 자그마치 556계단 역주행한 170위에 랭크되며
전세계 음악 속에서도 높은 순위 상승을 일궈냈다.
방탄소년단 '2017 AMAs' 무대 / 사진
아이돌 그룹을 '그사세'(그들이 사는 세상)로 치부하기엔 한국 아이돌 그룹의 수준은
일반적인 아이돌 그룹에 비해 상당히 높다.
한국 아이돌 그룹의 군무, 고퀄리티 음악, 프로듀싱 능력 등은 아티스트와 아이돌 사이의 그것이며,
해외에서도 마이너한 취향에서 벗어나 서서히 메이저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그 중 방탄소년단은 한류가 미국 가요계 수면에 떠오르게 만드는 선봉장 역할을 톡톡히 수행하고 있다. 그것도 한국어 가사로 된 노래로 이를 이뤄내고 있으니 놀라울 따름이다.
방탄소년단 '2017 AMAs' 무대 / 사진
'AMA' 무대를 성공적으로 마친 이들은 향후 ABC 방송의 간판 프로그램인 심야 토크쇼 '지미 키멜 라이브'와 NBC의 토크쇼 '엘렌 드레너러스 쇼', CBS의 인기 프로그램인 '더 레잇레잇쇼'에 잇따라 출연했다. 미국 TV 데뷔 후 방탄소년단에게 펼쳐진 꽃길, 이제 시작이다.
K팝 그룹 '방탄소년단'이 한국 그룹으로 처음으로 '아메리칸 뮤직 어워드' 무대에 올랐다. 현지 언론들에게 '수퍼그룹'이라는 호평을 받으면서 K팝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줬다.
DNA
빌보드 7위 '방탄'..싸이 뛰어넘고 새 역사 쓰나? / SBS
“2013년 데뷔”
“2015년 빌보드닷컴 케이팝 3위, 일본 오리콘 주간 싱글차트 1위, 미국 아이튠즈 메인 뮤직비디오 차트 1위”
“2016년 한국 최초 UK차트 진입”
“빌보드 200(메인 앨범차트)에서 최고 26위 달성, 핫100차트 65위 진입, 55주 연속 차트 인”
“2017년 빌보드 뮤직 어워드 톱 소셜 아티스트 부문 수상”
“미국 3대 방송사(CBS, NBC, ABC) 간판 토크쇼 세 곳 모두 출연“
1. ‘가수’보다는 ‘아티스트’
그들이 다른 아이돌 가수들과 가장 뚜렷하게 구별되는 점은 아티스트로써의 노력이다.
멤버들은 빅히트의 메인 프로듀서와 함께 매 앨범의 타이틀곡과 수록곡을 직접 프로듀싱한다.
작곡을 메인으로 작사에도 꾸준히 참여하였으며 부단한 노력 끝에 정규 2집인 ‘WINGS’에서는 7명이 모두 직접 자작곡을 만들어 앨범에 싣기도 했다.
특히 랩몬스터(Mon Studio), 슈가(Genius Lab), 제이홉(Hope World), 정국(Golden Closet)은 실제로 회사 내에 개인 작업실을 소유하고 있으며 프로듀싱에 대한 열정을 드러내곤 한다.
특히 방탄소년단이 지향하는 음악은 타인이 아닌 본인의 음악적 이야기를 풀어나가면서 듣는 사람들로 하여금 진정성을 느끼게 한다.
힘든 안무를 소화하고 노래를 연습하는 데 그치지 않고 노력하는 모습에 그들의 꿈이 무어냐고 물으면 항상 돌아오는 대답은 아티스트로써 성장하는 것, 팬들에게 받은 사랑을 좋은 음악으로서 직접 보답하고자 한다는 것이었다.
2. 독자적인 컨텐츠
방탄소년단은 음악방송이나 예능 프로그램에서만 볼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회사와 가수가 주체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그들 고유의 다양한 컨텐츠들이 있다.
빅히트에서 운영하는 ‘방탄밤’이라는 유튜브 동영상 채널을 통해 뮤직비디오 촬영이나 앨범 에피소드 촬영의 비하인드 동영상, 혹은 쉬는시간이나 대기시간의 방탄소년단을 담은 동영상만 300개가 훌쩍 넘는다.
네이버에서 운영하는 브이앱 프로그램을 통해서는 해외투어 동안에 틈틈히 라이브 방송을 통해 팬들과 소통하는 시간을 가지기도 했으며 브이앱 중 가장 많은 팔로워를 보유하고 있기도 하다.
라이브 방송이 아니더라도 ‘달려라 방탄!’, ‘방탄가요’라는 자체적인 컨텐츠로 콩트를 펼치거나 짤막한 예능을 하기도 하며 약 한달 간의 해외 여행을 프로그램으로 제작하여 팬들과 여행하는 모든 순간을 공유한다.
이렇게 회사가 진행하는 컨텐츠들이 있는가 하면 가수가 직접 동영상 일기형식으로 하루를 되돌아보고 당신 생각을 진솔하게 펼치는 ‘로그(log)’가 있는데 이 ‘로그’는 오롯이 자신의 생각을 영상으로 기록하는 것이기 때문에 온전히 자발적인 형식이라는 점이며 이것이 데뷔부터 지금의 자리에 오기까지 꾸준히 해 오고 있다는 점이 인상깊다.
또 하나의 방탄소년단 특유의 컨텐츠로는 'BTS FESTA’가 있다.
단순히 팬들에게 기념일을 축하받기보다는 팬들과 BTS의 축제기간으로 보내자는 취지이다.
데뷔일인 6월13일을 기준으로 6월1일부터 13-14일까지 매일 사진이나 동영상 혹은 자작곡이 올라오거나 팀 내에서 유닛을 결성해 새로운 음악을 선보이기도 하며 천여명의 팬들을 모아 홈파티 처럼 미니 콘서트를 열기도 해 팬들이 가장 좋아하는 컨텐츠이기도 하다.
3. 끊임없는 소통과 극진한 ARMY(방탄소년단 팬클럽 이름)사랑
음악방송이나 시상식에서 방탄소년단이 수상자의 명단으로 불릴때 그들의 수상소감 첫 단어는 항상 “아미!”이다.
멤버들이 말하기를 그룹을 만들어주고 키워준 대표님이나 회사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이 자리까지 있게 해준 가장 큰 이유는 팬들이라고 한다.
방시혁 프로듀서 역시 인터뷰에서 “데뷔 때부터 팬들의 소중함을 일깨워주는 것에 가장 노력했다.”라고 말한 바 있다.
팬들의 소중함과 고마움을 알기에 매번 수상을 할 때마다 아미의 이름을 가장 먼저 부르며, 트로피를 받을 때마다 SNS에 트로피와 함께 사진을 찍어 올린다.
“우리 아미 상받았네.” “아미 고마워요.”와 같이 수상의 영광을 팬들에게 돌리는 말은 잊지 않는다.
간혹 건강이 좋지 않아 활동에 불참하는 경우는 어디가 어떻게 얼마나 아픈지, 어떻게 조치를 취했는지 SNS를 통해 팬들에게 알리면서 인간적인 면모를 보여줌과 동시에 마치 연예인이 아닌 동네 오빠, 형, 동생처럼 친근하게 다가서려 노력하는 모습에 팬들은 더욱 애정을 느낀다.
비활동기에는 특히 SNS를 활용하여 여행사진이나 반려동물의 사진을 통해 근황을 전달하여 팬들로써 하여금 멀어지고 있다는 생각이 들지 않게끔 한다.
방탄소년단의 트위터 팔로워가 천만이 넘었다.
이는 한국에서의 첫 기록이며 이러한 팔로워 수는 평소에 그들이 얼마나 팬들과의 소통에 신경썼는지를 보여주는 일례이다.
보통 기사에서 접할 때는 방탄소년단의 성공 요인으로 꼭 SNS활동을 꼽는데, 연예인으로써 의무적인 팬들과의 소통이 아니라 시키지 않아도 자발적으로 나서서 팬들과 소통하고 싶어하는 팬에 대한 사랑과 그렇게 만들어진 유대감과 소속감, 그렇게 잦은 SNS활동에도 꼬투리 잡힐만한 것 없는 인성이나 성실함 등의 포괄적인 것들이 진정한 성공 요인이다.
'음악 > 음악감상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멘델스존 / 무언가 전곡 (0) | 2018.01.22 |
---|---|
멘델스존 / 6개의 무언가中 '론도 카프리치오소' (0) | 2018.01.11 |
말러 / 교향곡 제2번 "復活" (0) | 2017.12.06 |
김효근 / 눈 - 하나린 외 (0) | 2017.11.30 |
말러 / 교향곡 5번 (0) | 2017.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