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음악감상실

북스테후데 / 토카타 D단조 155, F장조 156 & 157, G장조 164 & 165

박연서원 2017. 5. 17. 10:10

Dietrich Buxtehude (1637~1707)


Toccata in D minor, BuxWV 155

북스테후데 / 토카타 D 단조


Toccata in D minor, BuxWV 155

Rainer Oster, organ

Arp-Schnitger-Organ St. Jacobi, Hamburg (Germany)


Daryl Robinson, organ

St. Philip Presbyterian Church, Houston, TX


Nicholas Bideler, organ

Dublin International Organ Competition

Toccata in D minor, BuxWV 155


Toccata in F major, BuxWV 156, 157

북스테후데 / 토카타 F 장조


Toccata in F major, BuxWV 156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Julia Brown, organ


Martin Luecker, organ

Rieger-Orgel St. Katharinen, Frankfurt am Main

Toccata in F major, BuxWV 156


Toccata in F major, BuxWV 157

Julia Brown, organ


Rainer Oster, organ

Arp-Schnitger-Organ St. Jacobi, Hamburg (Germany)

Toccata in F major, BuxWV 157


Toccata in G major, BuxWV 164, 165

북스테후데 / 토카타 G 장조


Toccata in G major, BuxWV 164

Massimo Gabba, organ

Toccata in G major, BuxWV 164


Toccata in G major, BuxWV 165

Ton Koopman, organ

Toccata in G major, BuxWV 165


Dietrich Buxtehude (1637~1707)

Dietrich Buxtehude (1637~1707)


북부 독일 최대의 오르가니스트이며 작곡가. 그 작품은 독일 바로크 음악에 있어서 귀중한 것이다. 부친은 덴마크의 오르간 주자이며 작곡가였는데, 아들 북스테후데의 음악적 재능을 인정하여 어려서부터 곁에 두고 항상 음악의 기초를 가르쳤다고 한다.

1668년 31세 때 뤼벡 성 마리아 교회당의 오르간 주자로 취임하여, 평생을 여기서 오르간 주자로 헌신했다. 이 성당에서는 전부터 "저녁 음악"이라는 모임이 있었는데 그가 부임하면서 대규모로 확대하여 그 의의를 높여 갔다.

북독일의 뤼벡을 근거지로 활약했던 북스테후데는 남독일의 파헬벨과 더불어 바로크 시대의 독일 오르간음악을 대표하던 양대 기둥이었다.

칸타타, 미사 브레비스, 마니피카트와 같은 교회용 성악 작품을 위시하여 많은 오르간곡을 남겼는데, 오르간곡에 포함된 토카타, 프렐류드, 푸가, 샤콘, 코랄 편곡 등은 극적이며 환상적인 작품 속에 독일적인 내면적 정서가 깊이 침잠해 있으며 특히 그가 청년 바흐에 끼친 음악적 영향은 대단한 것이었다.

 

Johannes Voorhout (1647–1723)作, Music Scene, 1674.

단체 초상화에서 북스테후데는 비올라 다 감바를 연주하고 있다

 

'음악 > 음악감상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홀스트 / 행성  (0) 2017.06.08
Eleni Karaindrou / The Weeping Meadow 외  (0) 2017.05.23
Ariel Ramirez / Misa Criolla  (0) 2017.05.11
Love of a Silent Moon - Cecilia  (0) 2017.05.09
Nos Lendemains 외 - Isabelle Boulay  (0) 2017.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