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ite Española, Op.47 'Austurias (Leyenda)'
알베니스 / 스페인 조곡 1번 중 "전설"
Isaac Albéniz (1860 ~ 1909)
1. Granada (Serenata)
2. Cataluna (Corranda)
3. Sevilla (Sevillanas)
4. Cadiz (Cancion)
5. Austurias (Leyenda)
6. Aragón (Fantasia)
7. Castilla (Seguidillas)
8. Cuba (Capricho, Cordoba)
No.5 아스투리아스(Asturias-Leyenda)
Ana Vidovic, guitar
Nicolas De Angelis, guitar
피아노 연주
아스투리아스(Asturias)는 스페인의 북부 비스케 만에 있는 지방으로서, 스페인이 회교의 침입을 받았을 때 기독교의 근거지로 남아 있던 곳이다. 이곡이 원래 피아노곡이라는 것을 아는 사람은 드물지만, 알베니스는 이 곡을 그의 다른 피아노 조곡 '스페인의 노래'에 전주곡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곡을 기타곡으로 편곡한 사람은 작곡가 타레가이며, 기타곡으로 더 잘 어울리는 곡이다. 곡은 전체 3부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첫 부분은 강하게 훑어내리는 대바레라는 기법에 의한 화음이 재미있으며 중간부는 옥타브 간격의 민요적인 가락이 노래되는데, 이것은 플라멩코의 에스프리에 의한 것이다. 쉽게 낭만적인 작품으로 약간 템포루바토 풍이며, 감정적인 곡이라고 할 수 있다.
Asturias-Leyenda, 전설 (스페인 조곡 제1집 중에서)
알베니스(Isaac Albeniz : 1860. 5.29 ~ 1909. 5.18)는 많은 피아노곡을 남겼다. 피아노곡 이외에도 오페라나 오라토리오를 위한 작품도 있으나 피아노 작품에 비해 크게 호평을 받지는 못했다.
이 곡은 모두 8곡으로 되어 있는‘스페인 조곡(Suite Espanola)’중에서 제5곡에 해당하며, 익히 알려져 있듯이, 이 곡을 제목만 바꾸어서 또 다른 그의 피아노 작품인 '스페인의 노래(Cantos de Espana)'의 첫번째 곡인 전주곡(Preludio)으로 사용하고 있다.
VIDEO
Andres Segovia, guitar
VIDEO
John Williams, guitar
VIDEO
Alicia de Larrocha, piano
참고로, ‘스페인 조곡(Suite Espanola)’은
1.그라나다(Granada) 2.카탈로니아(Cataluna) 3.세빌라(Sevilla) 4.카디스(Cadiz) 5.아스투리아스(Asturias) 6.아라곤(Aragon) 7.카스틸리아(Castilla) 8.쿠바(Cuba)로 되어 있으며, 제8곡 ‘쿠바(Cuba)’를 제외하고는 모두 스페인의 지명(地名)에 해당된다. 제8곡으로 라틴아메리카의 쿠바(Cuba)가 등장하게 된 것은 그가 13세의 어린 나이에 무단가출하여 카디스(Cadiz)에서 단신으로 배를 타고 코스타리카로 건너가 아메리카대륙을 연주여행하고 다녔던 시절에 방문했던 곳이기 때문일 것이다. 알베니스의 작품이 거의가 그렇듯이 곡 전체에 스페인의 선율과 향기가 배여있으며, 또한 피아노라기보다는 오히려 기타(Guitar)의 표현기법으로 보여질 수 있는 특징들이 넘친다.
Isaac Albéniz (알베니스), 1860. 5.29 ~ 1909. 5.18
스페인의 피아노 주자, 작곡가.
매우 조숙했던 그는 3세에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하여 이듬해 공개석상에서 연주했다. 스페인 국내에서는 몇 차례의 연주여행으로 즉흥에도 뛰어난 명연주자로 인정되었다. 무단으로 집을 뛰쳐나가 1년간(1872~73) 남아메리카와 미국을 여행했다. 1874년에 이곳을 다시 방문했는데, 그곳의 생활이 무척 어려워 황열병을 앓게 되었다. 장학금을 받아 브뤼셀에 가서 브라생 Brassin의 제자가 되었으며, 1880년에 리스트를 만난 뒤 남아메리카, 쿠바, 스페인에서 콘서트를 열었다. 스페인에서는 사르수엘라를 작곡했고(1882), 그 뒤 결혼하여 바르셀로나, 이어서 마드리드에 자리잡았다(1885).
슈만, 멘델스존, 리스트의 영향을 받은 그의 초기 작품은 그 뒤의 스페인 모음곡에 담겨 있는 여러 작품으로 인해 잊혀져 버렸다. 이 스페인 모음곡에 의해서 그는 민중적인 리듬이나 주제에서 착상을 얻은 스페인 악파를 창시하게 된다. 런던으로 가서(1890~93) 오페라의 작곡이라는 새로운 분야에 손을 대어 어느 정도의 성공을 거두게 되었고, 1894년 파리에 정착한 그는 뒤카스, 드뷔시, 포레 및 프랑크를 받드는 사람들과 사귀며 스콜라 칸토룸의 피아노 교사가 되었다. 작곡가로서의 그의 실력이 발휘되는 것은 초원(草原)(1897), 스페인의 노래 이후이다. 고국 스페인에서의 평판이 신통치 못한 것에 실망하여 그 이후에는 정신적 망명자로 생각하게 되었다(그의 걸작인 이베리아 4집에는 그 실망의 빛이 짙게 나타나 있다). 그는 남프랑스의 요양지에서 브라이트병 때문에 49세의 나이로 생애를 마쳤다.
초기 작품의 특징이었던 살롱의 아카데미즘과 사르수엘라의 스페인 특유의 어법을 벗어난 뒤에는 금세기 초의 스페인 음악의 부흥에 큰 역할을 했으며, 너그러운 기질과 끝없는 음악적 착상으로 건반악기의 영역에까지 그 본바탕을 발휘했고, 그 작곡기법은 뛰어난 연주 기술과 엄격한 전통적 형식의 준수라는 두 가지 측면을 통합함으로써 매우 훌륭한 것이 되었다. 그러나 랩소디풍의 작품을 가진 그의 작품들 가운데 그 기본기가 가장 잘 나타나는 것은 음색과 울림에서이다. 보통은 단순한 멜로디에 풍요롭고 복잡한 화성이 배치되는데, 이 화성은 흔히 플라멩코에서 보는 옛 양식에서 착상을 얻은 것이며 경쾌한 아치아카투라를 체계적으로 도입함으로써 꽉 짜여져 있다. 한편, 음향에 대한 배려로 피아노 연주의 기술혁신(변칙적인 운지, 손의 배치, 건반의 어택)을 생각해 내었고, 메시앙에서 슈톡하우젠에 이르는 많은 현대 작곡가들이 그것을 원용하게 되었다. 국민음악은 민중적 요소 위에 구축해야 한다는 페드렐의 이론(우리의 음악을 위해서 Por nuestra música(1891))은 알베니스에게서 가장 빛나는 사례를 찾아낼 수 있다. 또 카탈루냐인 알베니스가 무어적인 안달루시아에 눈길을 돌렸다는 것은 꽤 흥미깊은 일이지만, 이렇게 하여 안달루시아인 마누엘 데 팔랴에게서 드러난 고향의 음악적 자질을 시사하게 된 것이다.
알베니스와 그의 딸
주요 작품 [피아노곡] ▶스페인 모음곡 제1번 Suite espagnola(1886) ▶여행의 추억 Recuerdos de Viaje(1887) ▶스페인 Espagna(1890) ▶스페인 노래 Cantos de Espagna(1897) ▶초원 La Vega(1897) ▶이베리아 Iberia(4집 1905~08) ▶위의 작품을 포함하여 300곡 이상(콘서트용 연습곡, 특징적 피아노곡집, 5개의 소나타, 마주르카, 왈츠 등) [관현악곡] ▶카탈루냐의 정경 Escenas sifonicas catalanals(1889 미간) ▶환상적 협주곡 Concerto fantastique[피아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1887) ▶스페인 랩소디 Rapsodia espanola[피아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1889) ▶카탈루냐 Catalonia(1899) [무대음악] ▶마법의 오팔 The Magic Opal[오페라 코미크](1893) ▶플로리다의 산 안토니오 San Antonio de la Florida[사르수엘라](1894) ▶엔리코 클리포드 Enrico Clifford[오페라](1895) ▶메를랭 Merlin[오페라](불명) ▶페피타 히메네스 Pepita Jimenez[코메디 리리크](1896) [가곡] ▶넬리에게 To Nellie(1896) ▶피에르 로티의 산문 2절 Deux Morceaux de prose de Pierre Loti(1899) ▶4개의 가곡(1909) ▶위의 작품을 포함하여 30여 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