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
Le nozze di Figaro KV 492 (Act1) Non piu andrai
오페라 '피가로의 결혼' 1막 '더 이상(다시는) 날지못하리'
Teddy Tahu Rhodes, bass-baritone
Tasmanian Symphony Orchestra
Ola Rudner, cond.
[피가로의 결혼]은 모차르트(1756-1791)가 서른 살에 접어든 1786년 작곡한 작품으로 "피에르 오귀스탱 카롱 드 보마르세" 작의 원작을 바탕으로 "로렌초 다폰테" 가 오페라로 만들고 모차르트가 작곡했다.
모두 4막으로 되어있는데 바람둥이 백작이 겪는 에피소드를 내용으로 결국은 부인과 사랑을 이룬다는 해피엔딩 스토리이다.
오페라는 희극과 비극의 두 종류가 있다. 희극 오페라를 '오페라 부파 (opera buffa)'라고 하며 모짜르트의 작품으로는 '돈죠바니', '코지 판투테', 그리고 '피가로의 결혼'이 여기에 속한다. 비극 오페라는 '오페라 세리아(opera seria)'라고 하는데 영어로는 serious opera, 우리말로는 정가극(正歌劇)이다. 슬픈 내용이며 전통적이고도 정통적인 오리지날 오페라이다.
알마비바 백작의 심부름꾼 케루비노를 향한 피가로의 코믹한 이별의 시를 흥겹고 경쾌하게 행진곡풍 리듬으로 표현한 '더 이상 날지 못하리'.
Mozart, Le nozze di Figaro
'Non più andrai, farfallone amoroso'
* Non più andrai farfallone amoroso,
notte e giorno d'intorno girando,
delle belle turbando il riposo
Narcisetto, Adoncino d'amor.
delle belle turbando il riposo
Narcisetto, Adoncino d'amor.*
Non più avrai questi bei pennacchini
Quel capello leggero e galante,
Quella chioma quell'aria brillante,
quel vermiglio donnesco color,
quel vermiglio donnesco color.
Non più avrai quei pennacchini,
Quel capello, quella chioma quell'aria brillante,
(repeat *)
Fra guerrieri poffar Bacco!
Gran mustacchi, stretto sacco,
schioppo in spalla, siabla al fianco,
collo dritto, muso franco,
un gran casco, un gran turbante,
molto onor, poco contante!
poco contante!
poco contante!
Ed invece del fandango
una marcia per il fango
per montagne, per valloni
You won’t go anymore, loving butterfly,
Night and day turning around;
disturbing the rest of the lovely
You little Narcissus, Adonis of love.
You won’t have these beautiful wings anymore,
that light and gallant hat,
that crown, that brilliant air,
that feminine, rose colour,
Between warriors, in the name of Bacchus!
Grand moustache, small fortune.
Musket on his shoulder, saber at his side,
Straight neck, a frank face,
a grand helmet, or a grand turban,
so much honour, so little cash!
And instead of the fandango,
A march through the mud.
Over the mountains, through the valleys,
With snow and with sunshine,
To the music of trombones,
Of bombards, of cannons,
The thundering bombs in all
The ears are whistling.
Cherub fly to victory:
To military glory.
모차르트, [휘가로의 결혼]
'더 이상 날지 못하리, 나비야’
* 더 이상 날지 못하리. 사랑에 들뜬 나비야
밤낮 없이 이리 저리 날지 못하리라,
여자에게 치근덕거리지는 못하겠지,
친애하는 나르시스 씨, 아도니스 도련님.
여자에게 치근덕거리지는 못하겠지,
친애하는 나르시스 씨, 아도니스 도련님.*
더 이상 달고 있지는 못 하리 깃털 장식,
이렇듯 가볍고 멋진 모자,
이렇듯 긴 머리, 번쩍이는 옷맵시,
이렇듯 계집애 같은 진홍빛 얼굴.
이렇듯 계집애 같은 진홍빛 얼굴.
더 이상 달고 있지는 못 하리 깃털 장식,
모자도, 긴 머리도, 번쩍이는 옷도
(*부분 반복)
주신(酒神) 박카스를 따라 용사들의 대열 속에,
커다란 콧수염, 딱딱한 배낭.
어깨에 소총, 허리에는 칼,
빳빳이 세운 목에 근엄한 얼굴
커다란 철모나 큼직한 터번,
명예는 잔뜩 있으나, 돈이 적어!
돈이 적어!
돈이 적어!
환당고 춤을 추는 대신에
진흙 속을 헤치고 행군곡,
산을 넘고 골짜기를 지나
Overture '피가로의 결혼' 서곡
제1막 (17세기 중엽) 스페인 세비야 교외 알마비바 백작의 저택
저녁에 결혼할 두 남녀 하인 피가로와 수잔나는 백작이 신방으로 내준 방에서 자로 재어 가면서 작은 2중창을 다섯자 열자 하며 피가로는 기분 좋아 부른다. 그러나 수잔나는 방을 가까이 두려는 백작의 속셈을 알고 기분이 좋지 않다. 수잔나가 피가로에게 백작의 흑심을 암시하며 두 번째 두에티노를 부른다.
Non so più cosa son cosa faccio Nikiteanu
나도 나를 알 수가 없어
Cherubino: Liliana Nikiteanu, Le nozze di Figaro, Zürich
저택의 모든 여성을 좋아하는 사춘기 소년 케루비노는 여자만 보면 자제가 되지 않는 사춘기 소년의 들뜬 심정을 담은 아리아 <Non so più cosa son 나도 나를 알 수가 없어>를 부른다.
'Non piu andrai, Farfallone Amoroso'
다시는 날지 못하리
Bryn Terfel as Figaro in New York, 1998. Conductor: James Levine.
백작은 온 성 안을 휘젓고 다니는 작은 돈 조반니인 케루비노를 군대에 입대하라고 명령한다. 입대라는 말에 절망하는 케루비노를 고소하게 생각하는 피가로는 군대 행진곡풍의 아리아 "나비야 다시는 날지못하리 Non piu andre"를 신나게 부르며 그를 놀린다.
제2막 늦은 아침, 백작부인의 방
'Porgi amor' Nozze Glyndebourne 1994
Porgi amor, qualchech ristoro 사랑의 신이여, 제게 위로를 주소서
Renee Fleming
자리에서 일어난 백작부인 로지나는 백작의 사랑이 식었음을 슬퍼하면서 자신의 우울한 심정의 아리아 "사랑의 신이여, 제게 위로를 주소서 Porgi Amor, qualche ristoro"를 부른다.
'Voi Che Sapete'
Voi che sapete che cosa e amor 사랑의 괴로움을 그대는 아나요
Caroline Luik
In the television song contest for classical singers - Una Voce Particolare - Caroline Luik is performing Voi, che sapete from Mozart's Le Nozze de Figaro.
케루비노가 들어오면서 그가 흠모하는 백작부인 앞에서 직접 작곡했다는 연정을 담은 아리에타 "사랑의 괴로움을 그대는 아나요 Voi che sapete che cosa e amor"를 부른다.
황제의 압력으로 고쳐 쓴 내용
불란서의 작가 보마르쉐가 쓴 [세빌리아의 이발사(Le Barbier de Sévill, 세비야의 이발사)], [휘가로의 결혼(Le Nozze Di Figaro, 피가로의 결혼)], [죄 많은 어머니]로 된 3부작의 제2화를, 모짜르트(Mozart, 모차르트)의 대본작가로 이름 높은 다 폰테가 전4막의 오페라를 썼다. 그러나 원작 속의 귀족에 대한 풍자가 심한 부분은 황제의 압력으로 삭제되어 표면상으로는 백작부인의 애정이 주제가 되어 있다. 이 오페라의 특색은 2막과 4막의 끝을 장식하는 그랜드 휘날레(finale, 피날레)이며 솔로나 중창(重唱)으로 서서히 고양(高揚)된 음악이 마지막에는 하나의 분류(奔流)가 되어 귀결로 몰아가는 모양은 마치 교향곡의 마지막 악장을 듣는 것 같아 기분이 상쾌해진다.
백작이 하녀 수잔나의 첫날밤을 차지하려다 휘가로의 재치로 실패한 이야기
로씨니(G. Rossini, 로시니)의 [세빌리아의 이발사]보다 뒷 이야기인데 모짜르트가 먼저 쓴 오페라이다. 알마비바 백작이 휘가로의 도움으로 로지나와 무사히 결혼했고 그 후 휘가로는 백작의 궁전에 시종으로 들어 왔다. 그 휘가로가 백작부인의 시녀로 있는 수잔나와 내일 결혼하기로 되어 있다. 이야기는 여기서 시작된다.
당시 습관으로 궁전 주인에게는 하인의 결혼 때, 소위 “초야권(初夜權)"이라는 나쁜 습관이 있었으나 극심한 사랑을 불태운 끝에 간신히 반 강제로 아내를 삼은 부인(로지나)이 사랑스럽고 기뻤으며 또 그 때 큰 힘이 되어준 휘가로를 생각하여, 백작은 관대하게도 그 권리를 포기한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 권태기가 오고 보니 좀 억울해졌다. 그래서 주변의 눈치를 살피며 수잔나에게 수작을 걸며 치근덕거린다. 그 사실을 목격하고 불안해진 휘가로가 타고난 기지(機智를)를 발휘하여 그런 백작에게 골탕을 먹이겠다는 계획을 짠다. 동이 트는 새벽 정원에서 수잔나로 가장한 백작부인이 기다리고 있다. 그런 줄 알 리 없는 백작이 살금살금 다가간다. 정체를 알고는 놀라 어쩔 줄 모르는 백작. 마지막에는 자기의 바람기를 절대 고치겠다는 백작에게 부인이 용서하여 일동은 모두 즐거워하는 속에 막이 내린다.
휘가로의 연인 수잔나에게 접근하는 알마비바 백작.
백작의 바람기로 수잔나와 휘가로의 결혼은 위기에 몰린다.
입대의 위기에 몰린 케르비노(가운데), 수잔나(좌)와 휘가로(우).
이들은 힘을 합쳐 재치와 임기응변으로 위기를 뚫고 행복한 결말에 도달한다.
모짜르트의 재치가 번뜩이는 아리아
백작부인의 소년(실제 역은 여성이 맡음) 시종 케르비노는 수잔나에게 부탁을 하러 왔다가 백작이 나타나자 당황해서 숨는다. 백작이 케르비노를 발견하게되고 수잔나를 꼬여보려는 중이라고 의심하게 된다. 분노한 그는 장교로 전쟁터에 가라는 명령을 내린다. 이 곡은 이 때 케르비노를 비아냥거리며 제1막 휘날레에서 부르는 휘가로의 아리아이며 모짜르트 최대의 인기곡이다. ‘나비’(Farfallone)에는 ‘바람둥이’라는 뜻도 있다. 이 오페라는 음악적으로는 아리아(또는 다른 가곡)와 레치타티보가 교차로 나타나는, 전형적인 18세기 이탈리아 희가극의 형식을 따르고 있다. 그러나 뛰어난 오케스트라는 연주하는 사람들까지도 도취시켰을 정도이며 유명한 제2막 끝날 무렵의 여러 노래는 인물에게도 극적인 상황에 알맞은 멜로디를 제공하는, 모짜르트의 천재적인 솜씨를 느끼게 해준다.
'음악 > 음악감상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토벤 / 현악4중주 5번 (String Quartet No.5 in A major Op.18-5) (0) | 2012.09.11 |
---|---|
베토벤 / 피아노 삼중주 7번 '대공' (0) | 2012.09.10 |
빌라 로보스 / 브라질풍의 바흐 제5번 (0) | 2012.09.04 |
Cantare, cantaras (I will sing, You will sing) - Hermanos (South American Aid) (0) | 2012.09.03 |
Tom Dooley, Where Have All The Flowers Gone - Kingston Trio (0) | 2012.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