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anz von Liszt
Hungarian Fantasia
( Fantasia on Hungarian Folk Themes for piano and orchestra )
리스트 / 항가리 환상곡
Solomon Cutner, piano
Herbert Menges, cond.
Philharmonia Orchestra of London
Sviatoslav Richter, piano
Kirill Kondrashin, cond.
London Symphony Orchestra
Hungarian Rhapsody
리스트 / 헝가리 광시곡
1839년에서 1885년에 걸쳐 헝가리에 전승되어온 집시의 무곡 차르다시를 소재로 하여 작곡된 것으로 모두 19곡으로 이루어졌다. 그 중에서도 특히 제2번 C#단조 ·제6번 D♭장조 ·제9번 E♭장조(페스트시의 사육제)·제12번 C#단조 ·제14번 F단조 ·제15번 A단조 등이 유명하며 제15번에는 헝가리의 민족적 행진곡 《라코치행진곡》을 도입하였다. 그리고 리스트와 제자 포플러가 공동 관현악용으로 편곡한 것(전 6곡)도 많이 연주되고 있다.
리스트는 소년 시절을 헝가리의 시골에서 보냈는데 그 때 대중들의 노래와 집시들이 켜는 바이올인 소리를 듣고 헝가리의 민속 음악을 배웠다. 그 영향으로 피아노를 위한 헝가리 랩소디를 작곡하였다. 원래 랩소디는 고대 그리스의 서사시를 지칭하는 것이었는데 후세에 와서 정열적이고 자유 분방한 시를 일컫게 되었다. 리스트는 이것을 음악에 적용하여 자유롭게 열광적인 곡을 써서 랩소디라고 하였다. 이 는 헝가리의 마자르 사람들의 춤곡인 차르다슈(Czardas)에서 나온 것으로 헝가리 민족적인 유산이라 할 수 있다.
헝가리의 춤곡에는 느린 템포의 라싼(Lassan)조와 대단히 빠른 템포의 프리스카(Friska)조가 있는데 느린 템포의 라산조는 헝가리 사람들의 평화, 슬픔, 우울함을 나타낸 것이고 빠른 템포의 프리스카는 헝가리의 국민성이라 할만한 격렬하고 야성적인 면과 열정적인 기쁨을 나타낸 것이다. 리스트는 이 두가지 곡을 자유자재로 구사하여 헝가리 사람 고유의 기질과 생활을 아주 예리하게 표현하였다. 리스트는 조국인 헝가리 음악을 예술화하는데 힘썼으나 바르토크같이 철저히 연구하지는 못했다.
연주자 미켈레 캄파넬라(Michele Campanella)는 우아하고, 섬세하면서도 대단한 역동감을 느끼게하는 비르투오조 스타일의 피아니스트. 백건우의 경우처럼 이 피아니스트도 작곡가에 따른 집중적인 연구와 연주활동을 계속하고 있는데 베토벤의 협주곡 전곡, 리스트와 브람스의 협주곡들을 시리즈로 연주했다.
Hungarian Rhapsody
(예비음원)
전곡 이어듣기
Michele Campanella
VIDEO
1번-19번 전곡
Roberto Szidon, piano
Hungarian Rhapsody No.1 in E minor
Georges Cziffra, piano
이 곡은 리스트가 34세부터 35세 사이에 작곡한 것으로 첫 부분은 힘차고 레치타티보풍으로 되어있다. 전체적으로 주요 멜로디는 아르페지오로 나오면서, 즉흥적인 면을 지나 연주자의 기술을 보이기 위한 긴 카덴차로 옮겨진다. 중간부를 지나서 다시 힘차고 빠른 템포로 변하여 야성적이고 유쾌한 헝가리 국민성을 나타내며 끝낸다. 애수가 깃든 헝가리 민속 무곡의 템포와 유쾌한 기분이 나는 빠른 템포를 교묘히 사용하였으며 피아노의 성능을 최대한도로 나타냈다는 점이 특징이다.
Hungarian Rhapsody No.2 in C# minor
Roberto Szidon, piano
Leopold Stokowski, cond.
Philadelphia Orchestra
VIDEO
Volker Hartung, cond.
Cologne New Philharmonic Orchestra
이 곡은 널리 알려진 작품으로 누구나 즐겨 감상한다. 장대하고 화려한 곡이다. 서주부는 느린 카프리스풍으로 슬픈 분위기를 조성한다. 얼마 후 다시 밝은 조로 바뀌어 아름답고 화려하게 전개된다. 후반에서는 집시의 선율이 빠르고 야성적인 면을 풍부하게 보이며 연주된다. 다시 이국적인 색다른 춤곡조로 시작하여 힘차고 장대하며 변화무쌍하게 전개된다. 마지막에는 찬란한 클라이맥스를 지나 다시 조용한 선율이 극적인 효과를 나타내며 연주된다.
Hungarian Rhapsody No.3 in Bb major
Georges Cziffra, piano
Hungarian Rhapsody No.4 in Eb major
Georges Cziffra, piano
1853년에 <에스테르하지>백작에게 헌정된 곡으로서, 다소 무거운 느낌이지만 그러나 짙은 정감이 깃든 주제가 발전해 나가는 집시적 성격이 짙은 곡이다. 스타카토 주법과 옥타브를 뛰어넘는 음정의 도약, 최강주의 코다 등이 퍽 깊은 인상을 남기는 곡이다.
Hungarian Rhapsody No.5 in E minor
Roberto Szidon, piano
'영웅의 엘레지'라고 불려지는 곡으로 리스트의 광시곡 중에서는 가장 어둡고 비극적인 분위기를 갖는 곡이다. 무겁고 조용한 노래로 시작되는 이 곡은 2개의 주제로 구성 되어있다.
Hungarian Rhapsody No.6 in Db major
Roberto Szidon, piano
제2번 다음으로 인기있는 곡이다. 처음과 마지막의 빠른 멜로디 부분은 유명하다. 서주부에 이어 빠른 부분이 연주되다가 느리고 장중한 라산풍으로 옮겨진다. 카덴차를 지나 조가 바뀌면서 빠르게 고조되다가 힘찬 클라이맥스를 이루며 끝이 난다.
Hungarian Rhapsody No.7
Roberto Szidon, piano
Hungarian Rhapsody No.8
Roberto Szidon, piano
Hungarian Rhapsody No.9 in E♭ major
Roberto Szidon, piano
페스트시의 카니발(Carnival in Pest)이라는 표제가 있는 곡이다. 헝가리의 수도 부다페스트는 본래 "부다"와 "페스트"라는 2개의 도시가 1872년부터 합병하여 생긴 명칭으로 역사적으로 부다가 먼저 이름이 났다. 이 표제는 페스트 거리의 사육제의 정경을 묘사했기에 붙인 이름이다. 제1부는 힘차게 연주하는 라산조에 해당하는 모데라토로서 장중하고 느슨한 부분이다. 카텐차를 지나면 제2부에서는 알레그레토로 변해 색다른 리듬으로 연주된다. 제3부 피날레에서 곡은 일변하여 강렬한 프리스카조로 옮겨진다. E장조의 빠른 선율로서 프레스토로 돌아온 후 다시 알레그레토, 마지막 프레스토-코다로 변화되면서 끝이난다.
Hungarian Rhapsody No.10
Roberto Szidon, piano
Hungarian Rhapsody No.11 in A minor
Roberto Szidon, piano
1839-40년대의 작품이다. 렌토 아 카프리치오의 템포에 의한 트레몰로와 아르페지오로 된 서주로 시작한다. 퍽이나 기교적인 부분이 끝나면 A장조 4분의 2박자 안단테 소스테누토인데 라산조로 짧으며 뒤이어 비바체 아사이로 변해 활기에 찬 기량을 보인다. 마지막 프레스티시모의 거친 프리스카 후반의 코다로 들어가서 당당하게 끝이 난다.
Hungarian Rhapsody No.12 in C# minor
Roberto Szidon, piano
제2번, 제6번과 함꼐 널리 알려진 명작으로 음악적으로 가장 충실하다. 처음에 서주에서 메스토(Mesto)라고 슬프게 하라는 지시가 있다. 라산조의 리듬을 사용한 동기가 다소 어두운 정열을 가지고 표현된다. 알레그로 칭가레제 집시풍의 빠르고 경쾌한 선율이 연주되며 다시 제 템포로 돌아가 장중한 중간부를 만든다. D♭알레그레토 조코조로 바뀌어져 프리스크의 제2부에 이른다. 여기서도 2개의 악상이 사용되는데 처음에는 높은 음으로 2개의 악상이 사용되는데 처음에는 높은 음으로 테마가 나타난다. 뒤이어 제2의 악상을 제시라며 그후 스트레타 비바체의 제3부에 이른다. 여기서는 기교적인 처리로써 그의 화려한 변용을 볼 수 있다. 마지막에 프리스카 제1부와 제2부의 테마가 짧게 회상되며 클라이맥스에 이르러 끝난다.
Hungarian Rhapsody No.13
Roberto Szidon, piano
Hungarian Rhapsody No.14 in F minor
Roberto Szidon, piano
이 곡은 1840년대의 작품인데 헝가리 민요에 의한 환상곡(Fantasie uber ungarische Volksmelodien)으로 알려진 작품의 원곡이다. 또한 오케스트라용으로 편곡된 헝가리 광시곡의 제1번으로 알려져있다. 먼저 장송행진곡풍의 지시대로 낮음음의 꿐틀거림같은 도입에 따라 무거운 으뜸선율이 연주된다. 다시금 F장조의 알레그로 에로이코로 옮겨져 당당히 연주된다. 전체의 구성에서 보면 위의 장송행진곡풍과 같은 테마를 취급한 것이 말하자면 라싼조라고 할 수 있다. 곡은 D장조로 변해 포코 알레그레토. 이는 새로운 악상의 간주부이다. 알레그레토 아 라 칭가레제는 프리스카에 해당된다. 그리고 집시풍의 빠른 템포가 A단조로 나타나며 뒤이어 알레그로 비바체로 변해 새로운 짧은 악상을 두고 다시 빠른 템포로 들어간다. 카덴차를 지나 F장조로 옮겨지고 마지막 선율인 비바체 아사이의 프리스카로 들어간다. 여기서 조성은 변하지 않고 민족적인 무도의 분위기를 표현했는데 소박하면서도 정열적이다. 마지막 코다까지 이 테마를 중심으로 전개, 변화하면서 화려하게 끝이 난다.
Hungarian Rhapsody No.15 in A minor
Roberto Szidon, piano
"라코치 행진곡(Rakoczy Marsch)"라는 유명한 표제가 붙은 곡이다. 이 곡은 국민적 선율을 취한 것으로 베를리오즈는 이 곡을 좋아하여 이 것을 연주하기위해 그가 작곡한 의 제1장 배경을 헝가리 평원으로 옮기고 싶어했다고 한다. 아무튼 널리 알려진 곡임에는 확실하다. 곡의 형식은 간단한데 아르페지오의 긴 서주에 뒤이어 행진곡에 옮겨진다. 템포 디 마르치아 아니마토에는 아무래도 애국적인 정열이 담겨있다. 이 행진곡과 중간부에 해당하는 트리오는 침착하고 우아하다. 도중에 행진곡풍의 악구도 보인다. 행진곡의 주부로 돌아가 화려하개 전개되면서 코다에서 열렬하게 끝이난다.
Hungarian Rhapsody No.16 in A minor
Roberto Szidon, piano
리스트의 말년인 1882년부터 1886년 사이에 발표된 광시곡 제16번부터 제19번까지는 집시들의 음악에 의존하지 않았을뿐 아니라, 그 이전에 존재했던 민속음악의 주제들도 전혀 차용하는 일이 없이 오직 헝가리 음악에 대한 리스트 그 자신의 생각과 느낌들을 담아낸 오리지널이라는 데에 큰 가치가 있는 작품들이다. 제1번부터 제15번까지 15곡의 광시곡에서 기존의 집시 무곡들과 헝가리 민요의 소재들에 상당부분 의존하면서 터득한 헝가리 정신의 에센스가 담긴 작품들인 것이다. 이를테면 가장 정제된 헝가리의 혼이 담긴 작품이라고 보아지는 것이다. 제16번은 처음부터 당당하고 힘이 넘쳐있는 남성적인 기백으로 시작된다. 그러나 곧 담백한 모노로그가 오는 듯 하다가 열정적인 에스프리를 화려하게 펼쳐나간다.
Hungarian Rhapsody No.17
Roberto Szidon, piano
Hungarian Rhapsody No.18
Roberto Szidon, piano
Hungarian Rhapsody No.19
Roberto Szidon, piano
리스트의 말년인 1882년부터 1886년 사이에 발표된 광시곡 제16번부터 제19번까지는 집시들의 음악에 의존하지 않았을뿐 아니라, 그 이전에 존재했던 민속음악의 주제들도 전혀 차용하는 일이 없이 오직 헝가리 음악에 대한 리스트 그 자신의 생각과 느낌들을 담아낸 오리지널이라는 데에 큰 가치가 있는 작품들이다. 제1번부터 제15번까지 15곡의 광시곡에서 기존의 집시 무곡들과 헝가리 민요의 소재들에 상당 부분 의존하면서 터득한 헝가리 정신의 에센스가 담긴 작품들인 것이다. 이를테면 가장 정제된 헝가리의 혼이 담긴 작품이라고 보여지는 것이다. 제16번은 처음부터 당당하고 힘이 넘쳐있는 남성적인 기백으로 시작된다. 그러나 곧 담백한 모노로그가 오는 듯 하다가 열정적인 에스프리를 화려하게 펼쳐나간다.
리스트의 주요작품
교향곡 「파우스트」
교향시 제1번 「산악 교향곡」-산 위에서 듣다
교향시 제2번 「타소」-비탄과 승리
교향시 제3번 「전주곡
교향시 제6번 「마제파」
피아노와 관현악을 위한 「죽음의 무도」 (디에스 이레에를 주제로 하는 파라프레이즈)
피아노 협주곡 제1번 E♭장조
피아노 협주곡 제2번 A장조
「헝가리 랩소디」
피아노와 관현악을 위한 「헝가리 환상곡」
피아노 소나타 b단조 Op.45
연주회용 연습곡 f단조
파가니니에 의한 초절기교 연습곡
레겐데 「물 위를 걷는 성 프란시스」
「메피스토 왈츠」
피아노 소곡 「순례의 해」
피아노곡 「사랑의 꿈」 A♭장조 Op.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