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여행기/국내산행·여행 정보

제주의 오름 60선

박연서원 2008. 10. 6. 17:28

제주의 오름 60선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제주도를 대표하는 오름 60선 ◈
(제주도에서 선정한 대표적인 오름 60개를 알려 드립니다. -클릭하면 넘어갑니다- )

구분

오 름 명

지역

방문

 

1 개오름 성읍    
2 거문오름(서검은이, 서검은오름) 선흘

 

 
3 거미오름 (동검은이, 동검은오름) 종달    
4 검은오름(금오름, 검오름, 곰오름,) 연동    
5 고근산(고공산) 호근    
6 고내봉 (고내오름, 고니오름, 망오름) 고내    
7 군산 (군메, 군뫼, 굴뫼오름) 창천    
8 금오름(검악, 검은오름) 금악    
9 노꼬메큰오름 소길    
10 노리손이 (노루생이, 노리오름) 연동    
11 높은오름 송당    
12 느지리오름(망오름) 상명    
13 다랑쉬 세화    
14 당산봉 [당산봉 알봉] 용수    
15 당오름 송당    
16 당오름  동광    
17 도너리오름 (돌오름, 돝내린오름, 골체오름) 동광    
18 도두봉(도들오름, 도원봉)  도두    
19 동수악 한남    
20 두산봉 (말리오름) 시흥    
21 따라비 가시    
22 모구리오름 난산    
23 모슬봉 (모슬개오름, 摹瑟峰) 상모    
24 물영아리 수망    
25 물오름 (괴팽이) 수망    
26 물장오리(물장올) 봉개    
27 물찻 (검은오름) 교래    
28 민오름 오라    
29 바농오름 (바늘오름) 교래    
30 바리메 (큰바리메, 발이오름) 어음    
31 백약이오름 성읍    
32 비양봉(가재, 큰암메창, 족은암메창) 협재    
33 사라봉(사라오름) 건입    
34 산방산(굴산) 사계    
35 삼매봉 서홍    
36 새별오름 봉성    
37 성불오름(성불암) 송당    
38 성산일출봉 (청산) 성산    
39 세미오름(삼의양오름) 아라    
40 송악산 (절울이, 松岳山, 貯別伊岳) 상모    
41 쇠머리오름 (섬머리) 우도    
42 수월봉(노꼬물오름) 고산    
43 아부오름 (앞오름, 압오름, 아보름) 송당    
44 알밤(알바매기, 알밤오름) 선흘    
45 어승생(어승생악, 어스승, 어승생오름) 해안    
46 영주산 성읍    
47 영천악 (영천오름) 영천    
48 오백나한 (오백장군, 영실오름, 천불봉) 하원   국립공원내 
49 용눈이오름 종달    
50 원당봉(원당오름, 웬당오름) 삼양    
51 월라봉(도래오름) 감산    
52 이달봉 (이달오름) 봉성    
53 저지오름(닥몰오름, 새오름) 저지    
54 절물오름(큰대나) 봉개    
55 정물오름 금악    
56 좌보미 성읍    
57 지미봉(땅끝) 종달    
58 칡오름 상효    
59 파군봉 (바굼지오름) 하귀    
60 하논 (하논 마-르) 호근    


 

어승생오름 [御乘生嶽(어승생악)] 

다른이름    어승생이, 어스승이, 어승생오름, 御乘生岳

 

소재지        제주시 해안동 산220-12번지  

 

오름의 주요현황    표고 : 1,169m 비고 : 350m 둘레 : 5,842m 면적 : 2,543,257㎡ 저경 : 1,968m  

 

오름의 특징 

제주도 기생화산 중에서 군산 다음으로 큰 산체를 갖고 있다.
정상에는 둘레 약250m 가량의 원형 화구호(火口湖)가 있으며(늘 물이 고여있지는 않음), 남서쪽에 외도천 상류, 동쪽에 도근천 상류를 끼고 있다.
오름 정상에는 일제시대 일본군이 설치했던 화포시설 잔해가 남아 있으며, 남사면 중턱에는 샘이 있다.
자연림의 울창한 숲을 이루며, 꽝꽝나무, 청미래덩굴, 주목 등이 있고, 어리목광장 잔디밭 앞의 습원(濕源)을 낀 개울지대는 수태(水苔)의 자생지로서, 제주도 특산인 솔비나무 등의 독립된 임상(林相)을 볼 수 있고, 고유의 수생식물이 자라고 있다.  

 

"오름나그네", 김종철, 1995, 높은오름

 

오름 이름의 유래

이형상의 『탐라순력도(耽羅巡歷圖)』(1702)에 '어승생(御乘生)·어승악(御乘岳)'으로, 이원진의 『탐라지(耽羅志)』(1652)에 '어승생오름은 제주 남쪽 25리의 거리에 있다. 그 산 꼭대기에 못이 있는데, 둘레가 100보나 된다. 예로부터 전하기를, '이 오름 아래에서 임금이 타는 말이 났다.'고 하므로 그렇게 불린다.' 라는 기록이 나온다. 정조(正祖) 21년(1797) 산밑에서 용마(龍馬)가 태어나 조정에 바치자 어승마(御乘馬)로서 노정(盧正)이라는 이름을 내리고 가자(加資)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어승생'을 어스솜'의 몽골식 지명(石宇明, 1946)으로 보기도 하고, '올시심'의 '올'(神聖·光明·通御의 뜻)에서 나온 것(李殷相)으로 보기도 하고, 한자의 뜻 그대로 '어승마(御乘馬)가 났다' 는 뜻(박용후, 1992:42)으로 보기도 한다. 이 오름은 어승생·어승생이·어스승·어스름오름·어스싱오름·어시싱오름·얼시심오름·어승생악·어승악·어승봉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어승생오름' 북쪽 기슭에 한밝저수지가 있는데, 명마(名馬)의 산지로 이름났던 '어승생'에서 발원하는 물이 계곡을 타서 이곳에 모아진다. '어승생저수지'로 불리기도 한다.


"제주도 오름과 마을 이름", 오창명, 1998년, 제주대학교출판부

 

민간에서는 '어스승이, 어스싱이'라고 한다. 御乘生은 한자의 뜻 그대로 임금이 타는 말(御乘馬)이 났기 때문에 붙인 것이라면 음독자로 '어승생'의 표기라 할 수 있는데, 민간의 '어스승이, 어스싱이' 등을 고려하면 음가자의 결합 표기라 할 수 있다.
석주명(1947)은 '어스솜'의 몽골식 지명으로, 이은상(1936)은 '올시심'(神聖의 뜻)의 뜻으로 보았다. 필자도 음가자 표기로 보지만, 그 뜻은 확실하지 않으므로 과제로 남겨 둔다.

 

오름 가는 길

한라산국립공원관리사무소(어리목광장) 옆으로 오름정상까지 등반로가 개설되어 있으며(어승생악 등반로 표시가 되어 있음), 왕복 약 1시간 정도가 소요되어 누구나 쉽게 오를 수 있고, 오름 정상에서는 제주시내를 한눈에 관망할 수 있다.

 


거문오름 용암동굴계


분화구 - 용암계곡서 출렁이는 ‘원시의 초록’

지구는 단 하나. 전 우주에서 생명체가 사는 유일한 행성이다. 물론 ‘우리가 아는 한’…. 그래서 소중한 지구. 그 지구는 두 가지로 구성된다. 문명과 자연이다. 문명이란 인류의 발자취, 즉 인공의 산물이다. 장구한 세월 인류가 남긴 유무형의 자산이다. 마땅히 보존할 가치가 있다. 인류의 미래를 위해. 반면에 자연은 어떤가. 자연이란 인공을 제외한 모든 것, 생명의 근원이다. 그리고 지구 그 자체다. ‘어머니 지구(Mother Earth)’는 그것을 두고 한 말이다. 그런 지구지만 지구 자체는 훼손으로 망가져가고 있다. 물론 주역은 인간, ‘인공, 즉 훼손’이다. 그래서 나선 이가 유네스코(UNESCO), 그 도구가 ‘세계유산(World Heritage)’이다. ‘관심’은 보호를 위한 첫발. 그렇다. 유네스코가 지구자연과 문화유적을 ‘세계유산’에 등재시킨 이유. 그것은 다름 아닌 인류의 ‘관심’을 촉발하기 위해서다. 그런 세계유산이 지구상에 800여 개 있다. 그 중 여덟 개는 한국 것이다.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도 그 하나. 그리고 한국의 여덟 개의 세계유산 가운데 최초이자 유일한 ‘자연유산(Natural Heritage)’이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제주 화산섬과 달리 용암동굴에 대한 관심은 미미하다. ‘화산섬 제주’가 세계유산이란 사실은 알아도 용암동굴이 포함됐다는 사실은 모르는 이가 더 많다. 그래서 제주도를 찾았다. 국제트레킹행사가 한창인 거문오름에 오르기 위해서다. 거문오름은 지난해 등재된 자연유산에 포함된 세 개(한라산 천연보호구역, 거문오름 용암동굴계, 성산일출봉 응회환) 가운데 하나. 등재이유는 이렇다. 화산활동과 관련해 나타나는 2차생성물로 인해 형성된 독특한 지질학적 환경이다. 좀더 많은 이가 거문오름을 올라 지구자연이 제주 섬에 선사한 특별한 선물에 관심을 갖고 보호해주기를 기대한다.》

「나무가 겁 없이 자란다/겁 없이 자라서 하늘로 가겠다 한다/하지만 하늘에 가서 무얼한다/갑자기 허탈해진다/일요일도 없는/하늘에 가서 무얼한다/나무는/그 지점에서 방황하기 시작한다

―‘성산포 시인’ 이생진의 ‘하늘로 가려던 나무’」

거문오름의 원시림을 걷던 내내. 시인의 눈에 비친 ‘겁 없이 자란 나무’가 생각났다. 정말 그랬다. 108m 깊이로 움푹 파인 거대한 말발굽 모양의 분화구를 빽빽이 메운 원시림의 나무는 하나같이 방황하듯 두서없이 마구잡이로 자라고 있었다. 그렇다. 자연이란 이런 분방함, 그 자체다.

그런데 분화구 밖은 전연 딴판이다. 매초롬히 줄 맞춰 쭉쭉 빵빵 잘 자란 침엽수림으로 예쁘게 단장됐다. 물론 인공조림의 산물이다. 자연과 인공. 거문오름 트레킹은 이 극단의 대비를 절묘하게 보여주는 체험의 현장이다.

출발지는 선흘2리 마을. 걷기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인공조림의 삼나무숲으로 들어가 오름 등성을 디딘다. 이어 10분 후. 8분 능선쯤의 전망 좋은 곳에 닿았다. 온통 초록의 제주섬 산야, 아니 바다까지 더불어 한눈에 바라다보인다.

○ U자형 분화구 안팎 환상의 트레킹코스

멀리 듬성듬성 포진한 오름이 한라산과 어울려 펼쳐 보이는 굴곡이 아름다운 중산간 지대(해발 100∼300m의 구릉지). 그 위로 자리 잡은 마을과 리조트가 그림처럼 아름답다. 제주섬이 아니면 볼 수 없는 이 평화로운 풍경. 해무() 어린 바다와 구름 인 한라산이 그 멋을 더한다.

5분쯤 더 오르니 거문오름 정상(해발 456m)이다. 아까보다 더 넓고 멋진 풍광이 거의 360도 파노라마로 펼쳐진다. 멀리 보이는 초록의 평원. 국내 제1호 국립목장이었던 송당목장이다. 말발굽처럼 생겼다는 거문오름의 분화구 외륜도 여기 서니 드러나 보인다. 바닥까지 깊이는 108m. 그런데 백록담과 달리 그 안은 온통 초록의 원시림 천지다.

이제 트레킹 루트는 분화구 내부로 이어진다. 그 초록의 숲 속. 숲 그늘이 어찌나 짙은지 딴 세상처럼 느껴진다. 또 숲 속은 잡초처럼 제멋대로 자란 온갖 나무로 어지러울 지경이다. 그런 숲 속에 한 줄 외길이 있다. 그 길가로 흰 줄이 쳐 있는데 가이드라인이다.

거문오름. 368개 크고 작은 오름으로 이뤄진 제주 섬에서도 아주 특별한 오름이다. 오름을 형성시킨 분화가 일어날 당시 흘러나온 용암에 의해 만들어진 거대한 동굴계() 때문이다. 28만 년 전. 제주섬이 지금 모습을 이루기도 전, 그러니까 한라산 대분화 이전이다. 해발 350m의 평탄한 용암대지(조천읍 선흘2리)에서 화산활동은 시작됐다. 그리고 폭발이 있은 후 분석구를 통해 용암은 꾸역꾸역 흘러나왔고 결국은 분화구 벽을 허물고는 북동쪽 해안을 향해 흘러내리기 시작했다.

구석기 유물이 발견된 빌레못 동굴, 거대한 규모의 만장굴과 김녕굴, 주변의 헤아릴 수 없이 많은 크고 작은 가지굴. 모두 이 용암이 흘러내리며 형성시킨 용암협곡에서 태어난 용암동굴이다. 이걸 뭉뚱그려 ‘거문오름 용암동굴 시스템()’이라고 부르는데 유네스코가 지난해 제주 화산섬과 더불어 인류 자연유산으로 등재시켜 보호 중인 바로 그것이다.

○ 7km나 이어진 ‘돌밭 위의 숲’ 선흘곶자왈

오름은 그 자체가 화산이다. 규모만 작을 뿐이다. 화산 폭발 때는 점성 높은 용암이 분출과 동시에 작은 암괴로 쪼개져 쌓인다. 그리고 오랜 세월 뒤 돌밭 위로는 숲이 형성된다. 이런 곳을 제주섬에서는 ‘곶자왈’이라고 부른다. 제주도에는 대표적인 곶자왈이 네 개 있는데 거문오름에서 태어난 선흘곶자왈도 그 중 하나다. 선흘곶자왈은 오름 정상에서 확연히 드러났다. 7km나 길게 이어진 용암협곡 원시림의 초록 띠가 그것이다.

최근 거문오름에는 트레킹 코스가 개발됐다. 모두 2개로 A코스는 분화구 안(5.5km), B코스는 분화구 밖 선흘곶자왈의 숲길로 경덕원까지(4.9km) 이어진다. 분화구 안(A코스)도 알고 보니 곶자왈이다. 걷는 도중 곶자왈 숲 속에서 꽤 많은 동굴을 발견했다. 그 중 하나에 들어갔다. 내부는 온통 검은 돌(화산 석) 무더기. 28만 년이나 지났건만 엊그제 무너진 듯 비치는 그 모습이 무척 인상적이다.

곶자왈 원시림 트레킹은 이처럼 특별한 체험이다. 식나무, 붓순나무처럼 뭍에서는 별로 본 적 없는 나무로 이뤄진 원시림, 인간의 간섭 없이 자연의 섭리대로 이뤄진 지구 원형의 숲 덕분이다. 그런 곶자왈 숲을 지배하는 것이 사철 푸른 상록수라는 사실도 특이하다. 이유는 이곳에만 형성된 미세기후다. “돌바닥 밑으로 깊이는 물론 길이도 알 수 없는 지하 동굴이 발달해 있지요. 미세기후의 원천이 바로 거깁니다. 겨울에는 따뜻한 바람이, 한여름에는 시원한 바람이 나오니까요.” 안내를 맡았던 오문필 (제주도산악연맹 부설 한라산등산학교장) 씨의 설명이다.

그런 미세기후는 트레커에게도 보배다. 숲 속 곳곳에 냉기서린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인데 그 찬 기운의 출처는 숲에 가려 보이지 않는 동굴이다. 육지 얼음골에 못지않게 시원하다. A코스에는 이 밖에도 볼거리가 많다. 화전민 터와 숯가마 터, 분화 시 모습을 간직한 화산탄 등등. 일제의 지하갱도도 그 하나다.

일제가 거문오름에 진지를 구축한 것은 1945년 4월. 패전을 코앞에 둔 전쟁 막바지로 일제는 제주도를 최후 방어선으로 삼고 만주 관동군까지 7만5000여 병력을 집결시켰다. 연합군의 제주 상륙작전에 대비한 것이었는데 거문오름은 당시 섬 동부를 담당한 108여단 사령부(주둔 병력 6000명) 주둔지였다. 분화구 안은 물론 밖에도 당시 판 갱도와 진지가 곳곳에 남아 있다.

조성하 여행전문 기자 summer@donga.com

│여행정보│

◇찾아가기 ▽거문오름=제주시 조천읍 선흘2리. 제주시내로부터 동쪽으로 26.5km 중산간지대. 선흘2리(http://jejuvill.net/jejutown/domain-root/3407)는 목가적인 전원 풍경이 아름다운 마을로 190여 가구(467명)가 산채류와 더덕, 도라지 등 특용작물을 재배한다.

◇거문오름 국제트레킹=제주특별자치도와 한라일보가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거문오름을 알리기 위해 기획한 행사. 31일까지. 마을에 마련한 안내소에서 트레킹지도를 나눠주고 트레킹코스를 직접 안내하며 설명도 해준다(무료). 오후 3시까지. 문의 064-750-2514

▼고등어회 + 각재기국 고소한 맛 일품▼


최근 제주시에서 진짜 토박이 음식을 맛보았다. 올해 일흔다섯의 노장 강영채 씨가 20년째 운영 중인 ‘돌하르방식당’(제주시 일도2동 320-14)에서다. ‘각재기국’(5000원)이라는 것인데 전갱이를 넣고 즉석에서 펄펄 끓여내는 뚝배기 된장국이다. 함께 넣어 끓인 날배추와 어울린 시원한 맛이 일품이다.

주방 안은 가스불로 40도가 훨씬 넘었다. 그 안에서 강 씨는 땀을 뻘뻘 흘리며 국을 끓여낸다. 틈틈이 고등어를 굽고 회(각각 1만 원)도 뜨고 또 홀에 나와 손님과 대화도 하면서.

상차림을 보자. 토박이 맛이 풀풀 난다. 푸성귀로는 막 딴 콩잎과 배춧잎, 접시에는 고춧가루양념에 버무린 한치회가 나온다. 작은 뚝배기에 담긴 것은 ‘촐래’. “젓갈(자리 혹은 멸치)에 무를 썰어 넣고 찌개처럼 끓인 거요. 이름이 이상하다고? 몽고말이라 그래요.”

영업시간은 오전 10시∼오후 3시. 평일 오전 11시인데도 식탁 9개가 동난다. 제주섬에서 줄서서 순서 기다리는 거의 유일한 식당으로 일요일 공휴일은 쉰다. 일도2동 사무소에서 200m 거리. 064-752-7580

▼트레킹 B코스 출구에 녹차밭 쉼터▼


선흘곶자왈의 용암동굴지대에 아주 특별한 쉼터가 생겼다. 광대한 녹차 밭 한가운데 자리 잡은 숲 속의 쉼터 ‘경덕원’이다.

차밭은 차나무가 아직 어려(3년생) 멋진 풍광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차밭 한가운데 용암동굴 지형에 비밀스럽게 들어선 비원() ‘그린루체’(루체는 이탈리아어로 ‘빛’을 말함)는 보는 것만으로도 편안해질 만큼 안락하다.

경덕원은 녹차밭을 주제로 한 건강테마 정원. 차나무는 무농약 친환경농법으로 키운다. 비료대신 천연발효 유기물을 파이프라인으로 모든 나무에 공급한다. 분말녹차를 이용한 다양한 음식을 내는데 아이스크림, 우리밀국수, 빵 등이 있다. 거문오름 트레킹코스 B의 출구에 있어 트레킹을 마치고 휴식하기에 그만이다.

◇알아두기 ▽주소=제주시 조천읍 선흘리 600 ▽홈페이지=www.greenluce.com ▽전화=064-782-0005


'산행‧여행기 > 국내산행·여행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천 덕적군도  (0) 2010.05.24
계절별 테마산행지  (0) 2009.12.07
아시아의 명승지  (0) 2009.11.28
한국 남도 명승 28곳  (0) 2009.11.28
한옥 민박 완소 리스트  (0) 2009.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