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여행기/기타국내산행

경기광명 구름산-가학산-서독산-광명동굴(2023.8.13 외)

박연서원 2025. 4. 18. 07:21

구름산(雲山, 237/240m) 도덕산(183.1m) 가학산(駕鶴山/229m)

서독산(書讀山/220.2/222.5m)<일명 서덕산(書德山), 청덕산(靑德山)>

경기도 광명시 하안동, 일직동

 

개요

경기도 광명시에 위치한 해발 237m의 나즈막한 구름산(운산, 雲山)은 광명시 소하동에 위치한 산으로 안양에서 제2경인고속도로를 따라 인천쪽으로 가다 광명터널 직전 우측으로 산위의 정자를 볼수있는 산입니다.

산의 높이는 낮지만 몇군데의 전망대와 정상까지 이어지는 3개의 봉우리를 오르내리다보면 제법 재미가 느껴지는 산입니다. 곳곳에 설치되어있는 쉼터가 산중의 휴식을 도와주고 있으며, 특히 2봉과 정상에서의 전망이 뛰어납니다.

산행은 광명시보건소가 기점이 되며, 보건소 옆으로 보이는 등산로입구부터 산행을 시작하여 1봉을 오르고, 바위지대인 2봉 올라 잠시 숨을 돌린후 내리막길을 내려가 가리대광장을 지나 다시 오르막을 치고 오르면 산불감시탑이 세워져있는 3봉입니다. 이후로는 평평한 산길을 10분정도 걸으면 운산정이 세워져있는 구름산 정상에 도착하게 됩니다.

하산로는 남동쪽으로 철조망을 따라 이어지는 등산로로 10여분을 내려서면 소하근린공원이 나오면서 소하동으로 내려가게 됩니다. 이렇게 산행하는데 1시간 30분이면 충분하며, 만일 구름산만 타고 내려서기가 아쉽거나 좀더 긴 코스를 원한다면 무궁화아파트 우측 지능선으로 이어지는 등산로를 따라 산불감시탑이 있는 216(일명 가학산)을 올랐다가 도고내고개를 거쳐 서독산 정상을 경유 황룡사입구로 내려서면 되며, 3시간정도면 충분합니다. 산행을 마친후에는 3번시내버스나 택시를 이용해 산행기점인 광명시보건소로 쉽게 돌아갈수 있습니다.

 

참고사항

정상이나 각 봉우리의 위치와 높이에 대해서는 국립지리원의 지형도와 산 현지의 안내도, 광명시청 자료 등에 상당한 차이가 있어 도고내고개의 안내도를 기준으로 높이와 정상의 위치를 표기하였음을 밝힙니다. 가학산으로 불리우는 216봉은 지형도상에 220.2봉으로 표기되어있으며, 서독산의 높이도 광명시청 자료에 180미터로 표기되어 있고, 구름산도 240미터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특히 서독산의 위치는 본래 도고내고개에서 직선으로 아래로 1.5km정도 더 내려간 곳에 정상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나, 현지에 설치된 안내도에는 도고내고개 우측 봉우리가 정상인 것으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이점 착오 없으시길 부탁드립니다.

 

<도덕산>

도덕산은 광명시의 광명동,철산동,하안동 일대에 걸쳐있는 산으로 남쪽 표고 198m의 독립봉으로 삼국시대의 것으로 추측되는 토석혼축(土石混築)의 산성터가 남아있다. 옛날 사신들이 이 산봉우리에 모여 도()와 덕()에 대한 의견을 자주 교환했다고 하여 <도덕산>이라 불렀다고 한다. 현재 시민체육공원으로 개발하여 도시인의 휴식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구름산>

경기도 광명시에 위치한 해발 237m의 나즈막한 구름산(운산, 雲山)은 광명시 소하동과 노온사동의 경계에 위치한 산으로 일명 아방산이라고도 하며, 안양에서 제2경인고속도로를 따라 인천쪽으로 가다 광명터널 직전 우측으로 산위의 정자를 볼 수 있는 산이다. 원래 아방리에 소재한 산이라해서 아방봉이라 불렀는데 조선 후기에 구름속까지 산이 솟아 있다고 해서 구름산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산세는 남쪽으로 능고개를 지나 가학산, 서독산으로 뻗어 있고 북쪽으로는 도덕산까지 이어져 있다.

 

<가학산>

가학동.일직동.노온사동.소하동에 걸쳐 있으며, 광명시에서 둘째로 높은 해발 220m의 산이다. 구름산과 서독산 사이에 솟아있는 이 산은 국립 지리원 발행 지형도에는 표기되어 있지 않으나 구름산과는 능고개를, 서독산과는 도고내고개를 사이에 두고 솟아있는 독립된 산이다. 산세는 동쪽으로 오리동 계곡이 발달되어 있는 반면, 서쪽으로는 크게 두 산줄기가 뻗어 있다

 

<서독산. 서덕산(書德山), 청덕산(靑德山)>

가학동과 안양시 박달동 경계에 솟아있는 산으로 산높이가 180m이다. 옛날 많은 선비들이 이 산에 올라 과거급제를 위해 실력을 갈고 닦은 산이라고해 서독산이란 이름이 붙었다. 이 산은 <서덕산 書德山> <청덕산<靑德山>이라고도 기록돼있다. 광명시의 맨 남쪽에 위치한 이 산의 북쪽에는 209고지-219고지와 도고내고개를 지나 가학산이 능선으로 이어져있고, 동쪽으로는 안양시와 각종 공장들이 있으며, 시흥시의 농촌문화연구원, 안양 교육원이 자리하고 있다.

 

명소

가학동 지석묘 :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58호로 지정된 가학동 지석묘는 광명시 가학동 산104에 위치하고 있다. 거석숭배 신앙의 흔적을 나타내고 있는 청동기시대의 묘제 또는 제천단으로서 벌말마을의 산 정상부에 위치하고 있다. 지석묘는 총 6기로 서쪽끝에 탁자식 지석묘가 있고 동쪽으로 5기의 지석묘가 거의 동서방향으로 놓여져 있다.

 

산행코스

1 코스 (1시간 30분소요) : 광명시보건소 - 1- 2(바위지대) - 가리대광장 - 3(산불감시탑) - 구름산정상(운산정) - 철조망옆길 - 소하근린공원 - 소하동

2 코스 (구름산-서독산 연결산행, 3시간 소요) : 광명시보건소 - 1- 2(바위지대) - 가리대광장 - 3(산불감시탑) - 구름산정상(운산정) - 철조망옆길 - 대신빌라앞 - 철조망사이 출입문 - 무궁화아파트 우측길 - 약수터 - 주능선삼거리 - 216(산불감시탑, 일명 가학산) - 도고내고개 - 사거리안부 - 서독산 - 도로변(황룡사입구 건너편 정류소)

 

교통편

서울 광명시보건소앞

지하철 7호선 철산역에서 하차하여 3, 23번 시내버스 이용하거나 택시이용

서울 황룡사입구

영등포시장이나 남대문시장등 서울시내에서 107-2, 124번 시내버스 이용

황룡사입구 광명시보건소앞

3번시내버스 이용

자가운전

서부간선도로를 타고 남쪽으로 가다가 시흥대교 표지판보고 우측으로 빠져나간후 삼거리에서 우회전 1.1km 직진후 가리대삼거리에서 우회전 1km 직진후 광명시보건소앞에서 좌회전하여 산 밑 주차장에 주차

 

산행기

 

1. 광명보건소-구름산-가학산-서독산-황용사입구

일자 : 2004.5.16(일)

 

516() 비가 많이 내릴 것이라는 예보 때문에 백두대간 산행이

갑자기 취소되어 오전에 광명시소재 구름산과 서독산 산행을 하였다.

 

오전9157호선 철산역에서 내려 2번출구로 나오니 안양천 방향

도로는 임시 폐쇄. 3거리에서 대로를 건너 17번버스를 타고 930

광명보건소앞에서 하차, 935분 구름산산림욕장입구 표지판 옆으로

산을 오르기 시작하는데 나무가 빽빽하고 제법 산이 깊어 보인다.

 

쉼터와 이정표가 많이 설치되어 있고 944분 금당이광장을 지나니

나무계단으로 되어있는 오르막이다. 951분 제1봉에 이르니 날곤충

이 까맣게 죽어있고 아직도 살아서 돌아다니는 것이 많아 바로 통과.

 

내리막을 거쳐 10시 철탑이 있는 가리대광장 당도, 넓은 광장에 의자가

설치되어 있고 간이매점에서는 막걸리와 음식으로 등산객을 유혹한다.

 

가리대광장을 지나 급경사바위가 나타나고 긴 오르막 계단이 이어져

땀을 많이 흘린다. 1011분 산불감시초소가 있는 제2봉과 1018

명상의 숲을 통과, 1020雲山亭이 있는 구름산정상(237m)에 도착.

 

雲山은 소하동과 노온사동 경계에 솟아있는 높이 237m로서 광명시에서

제일 높은 주산이며 원래 아방리에 소재한 산이라고 해서 阿方峰으로

불렀는데 조선후기에 구름속까지 솟아있다고 하여 구름산으로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이 산의 서쪽 기슭에 위치한 영회원은 조선조 16

인조대왕의 장자인 소현(昭顯)세자(1612-1645)의 빈 씨의 묘소이며

민회빈(愍懷嬪) 강씨는 고려조 강감찬(姜邯贊)장군의 19대 손녀이다.

 

구름산정상에도 예외없이 날곤충이 많아 10분만에 소하공원 방향으로

하산, 부대 담장을 끼고 내려가다가 1045분 삼정타운에 내려서고

철조망 중간의 문을 지나 무궁화아파트 우측으로 다시 산을 오른다.

 

인적이 없는 한적한 산길을 따라 오르다가 갈림길에서 우측으로

향하니 다시 부대담장을 만나고 서독산 좌측이라는 이정표가 서 있다.

 

1114분 산불감시초소가 있는 봉우리에 올라 둘러보는데 서독산정상

표지판이 보인다. 그러나 이 곳은 가학산(216)이 맞지 않을까 생각한다.

 

하산로를 찾다가 1120분 정상을 출발, 울창한 숲을 지나 1130

차량이나 사람이 다니지 않는 비포장 차도에 내려서는데 도고내고개로

짐작된다. 등산안내도가 있는데 산에서의 이정표와는 사뭇 다르다.

 

1138분 한적한 맞은 편 등산로를 택하여 오르다가 4거리안부에서

좌측으로 방향을 꺾은 다음 주능선을 따라 1151분 정상에 이르는데

이 봉우리가 등산안내도상의 서독산(222m)인 것 같은데 확실치 않다.

 

이 곳에도 날곤충이 들끓어 바로 통과하고 잘 다듬어진 내리막 계단을

거쳐 거의 하산을 완료한 중간쉼터에서 맥주를 마시고 참외도 먹는다.

 

하산지점에는 오리 이원익선생의 기념관이 있으나 관람은 하지 못하고

1223분 황용사입구 버스정류장에서 12번버스를 타고 철산역으로 향한다.

 

비가 오리라는 예보와 달리 날씨가 쾌청하였고 박영춘의 산행정보에는

산행시간이 3시간이라지만 순산행시간이 2시간10분의 짧은 산행이었다.

 

동암역08:40-온수역09:00/09:07-철산역(2번출구→대로건너편)09:15/09:24-(17번버스, 7정거장)-광명보건소앞09:30/09:35-금당이광장(↑가리대광장0.936,→금당마을0.35)09:43/09:44-(↗계단)-1봉09:51-8번철탑,가리대광장(↑명상의숲0.74,←가리대마을0.35,↓금당마을1.292)10:00/10:02-(↗급경사바위,계단)-2봉(산불감시초소)10:11-명상의숲10:17/10:18-구름산(237),雲山亭(←소하공원1.049,→영회원0.6,↑장절리2.4,↓가리대광장1.404)10:20/10:30-삼정타운10:45-철조망중간 출입문,부대정문-무궁화아파트10:50/10:52-(우)-부대담장3거리(←서독산,↑장절리0.95)11:10-서독산정상(산불감시초소, 일명 가학산216)11:14/11:20-도고내고개,서독산갈림길11:30/11:38-4거리안부11:42/11:43-220봉11:45/11:46-서독산(222)11:51-계단쉼터12:01/12:19-오리 이원익 기념관,황용사입구12:23-(12번버스)-철산역12:47/12:58-온수역13:05/13:10-동암역13:30

(2시간45, 2시간10)

 

2. 광명보건소-가리대광장-구름산-가학산-서독산-덕안(500번버스종점)

일자 :  2011.12.4.(일)

참석자 : 서인경4050 회원 10명 (파란,마유미,캔디,바람,주연,크린에,배우노래,송죽,해나,나)

 

동암역09:29-온수역09:49/09:57-철산역(3번출구)10:04/10:26-철산역버스정류장10:29/10:31-(27번)-광명보건소버스정류장10:46-(도보)-광명보건소,등산로입구10:57/10:59-쉼터11:09/11:12-갈림길,금당이광장(↑구름산,←금당마을0.35)11:15-돌산전망대(→구름산,←관악산,↓보건소)11:24/11:31-(2-2)가리대광장쉼터(→금당마을1.292,←명상의숲 쉼터0.74,↓가리대광장0.39)11:41/11:43-(2-3)나무계단길11:49-산불감시정자11:54/12:47(간식)-(1-2)명상의숲 쉼터(↑운산정,↓산불초소)12:53-갈림길(↑구름산,←금강정사,↓가리대광장)12:55-갈림길(↑소하공원1.049,→영회원0.6,↓가리대광장1.404)12:57-구름산,운산정(237, ↑장절리,가학광산,서독산,←소하동,↓하안동)12:58/13:06-갈림길(↑가학광산,→영회원,↓구름산)13:18-쉼터(↑장절리,←안양,가학광산길,↓구름산)13:29/13:37-갈림길(↑서독산,→가학광산길,↓구름산)13:47-갈림길(↗가학산,서독산,↖소하동,↓구름산)13:50-(1-2)가학산,산불초소13:55/14:00-갈림길(↑서독산,→가학광산길)14:10-(2-2)서독산갈림길(↑서독산,←소하동1.3,↘가학광산1.0,↓운산정3.0)14:16-도고내산오거리14:22-서독산1봉14:27/14:28-서독산2봉14:33-500번버스종점,SK덕안주유소14:50/14:57-(2번버스)-광명시장15:21-홍두깨칼국수15:28/16:00(중식)-호프집16:10/20:10-광명사거리역20:19-온수역20:25/20:35-동암역20:56

(3시간50, 2시간30)

 

 

3. 광명보건소-가리대광장-구름산-가학산-광명동굴

일자 :  2023.8.13(일)

동행 : 나홀로 답사

 

동암역09:12-온수역09:33/09:35-철산역2번출구09:42/09:46-철산역 버스정류장(ID:14117)09:49/09:58-(17번버스)-구름산‧광명보건소 버스정류장(≒42/18.4/42.8)10:07/10:10-금당광장(↑구름산정상2.1)10:20-구름산터널10:35-가리대광장쉼터(≒156/130.7/157.4, 1.54/1.528/1.5, ↑구름산정상1.5,가학산3.8,광명동굴4.52,↖구름산정상1.1,가학산3.4,←가리대0.6,→승지골0.2,음삭문화의거리0.15,↓광명보건소1.7/1.78)10:38/10:40-산불감시탑/2층정자(≒266/242.5/266.9, 1.92/1.879/1.8, ↑구름산정상0.7,명상의숲0.45,↓가리대광장0.39)10:51/10:56-구름산(240,≒264/244.2/263.9, 2.58/2.537/2.5, ↑가학산2.33/2.3,광명동굴2.5,→영화원0.52,←소하근린공원1.1,↓광명보건소2.77/2.8,가리대광장1.07/1.1)11:07/11:17-장절리삼거리,소통정(←가학산정상0.9,↓구름산1.4,가리대광장2.5)11:43-노두갈림길(路頭, ↑가학산0.3,서독산1.8,→광명동굴0.6,↓구름산2.0,도덕산6.0)11:56-영당정갈림길(→가학산0.2,서독산1.7,←영당말약수터0.4,육군제52사단0.9,↓구름산2.1,가리대광장3.2)12:00-영당말쉼터(≒227/207.2/226.9, 4.64/4.532/4.4)12:00/12:02-가학산[220,≒251/226.8/250.7, 4.87/4.766/4.6,↑서독산1.4,안서초등학교3.6,→광명동굴0.4,자원회수시설0.8,↓장절리삼거리(소통정)0.9,구름산2.3]12:06/12:10/12:15-광명동굴갈림길(↑서독산1.2,자원회수시설0.5,←가학산0.3,노두0.2,→광명동굴0.1,↓구름산2.3,도덕산6.3)12:26-광명동굴 매표소(≒121/96.5/120.7, 5.8/5.646/5.5)12:28/12:35-광명동굴12:37/13:25-동굴앞벤치13:28/14:00(중식)-광명동굴 버스정류장14:14/14:18-(77번마을버스)-광명역14:31/15:23-구로역15:39/15:45-(특급)-주안역16:10/16:18-모래내시장역16:27

(산행거리 5.81/5.66/5.5km, 산행시간 총2시간27, 2시간24/18/4,

 평균속도 2.4/2.46/2.7km/h, 최고고도 268/244/267m, 최저고도 42/18m)

※광명동굴 입장료 성인 6,000원 (경로 1,500원)

 

 

▼구름산-가학산

 

△산불감시탑(2층정자)

 

 

△구름산 정상

 

 

△가학산 정상

 

 

▼광명동굴

 

△광명동굴입구

 

 

△와인동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