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기를 거치며 MZ세대(밀레니얼+Z세대)를 중심으로 하이볼을 즐기는 소비자들이 빠르게 늘어났다. 위스키 등 주류에 음료를 섞어 다양한 맛을 낼 수 있고, 낮은 도수에 가격도 합리적이라는 인식에 인기가 이어지고 있다. 이에 신세계푸드가 내놓은 1.75L짜리 대용량 ‘에반 윌리엄스 하이볼’ 등 다양한 제품이 잇따라 소개되고 있다. 신세계푸드 제공
“가볍게 술 한잔 합시다.”
여기서 가리키는 술은 무엇일까. 소주, 맥주, 와인, 막걸리? 만약 하이볼이라고 답할 수 있다면, 당신은 최신 트렌드를 꿰고 있는 사람일 것이다. 얼마 전만 해도 하이볼은 일본식 선술집(이자카야)에서 두툼한 꼬치 요리나 닭날개 튀김 같은 느끼한 음식을 먹을 때 주문하는 술이었지만, 이제는 언제 어디서나 마시는 데일리 술로 자리 잡고 있다. 젊은 사람들이 자주 오가는 서울 강남역이나 성수역 인근, 압구정로데오는 물론이고 호텔, 바, 레스토랑, 카페는 물론 편의점에서도 다양하고 이색적인 하이볼을 만날 수 있다.
하이볼은 칵테일의 일종이다. 18세기 탄산수 제조법이 개발된 뒤 영국 상류층을 중심으로 브랜디에 탄산수를 타서 즐겨 마신 게 시작이다. 19세기 나폴레옹 전쟁과 포도나무의 성장을 방해하는 진드기 필록세라가 유행을 하면서 브랜디 대신 위스키가 주로 쓰였다. 이때는 ‘스카치 앤드 소다’ ‘위스키 앤드 소다’ 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하이볼이라는 이름의 유래에 대한 설은 여러 버전이 있다. 미국 기차역의 신호 시스템에서 유래했다, 영국 스코틀랜드 골프장에서 높이 뜬 골프공을 보며 ‘하이볼’이라고 외치다 정착했다 등. 다만 정식으로는 1920년 미국의 유명한 믹솔로지스트(칵테일 제조자) 패트릭 더피가 높고 길쭉한 잔에 이 술을 내놓으며 ‘하이볼’이라고 칭한 후 자리를 잡았다. 이 술은 태평양을 건너 일본으로 전해졌다. 만들기 쉽고 마시기도 부담스럽지 않은 데다가 회, 초밥, 닭튀김 등 서민 음식은 물론 가이세키 같은 고급 일본 요리에도 모두 어울려 일본의 국민 술이 됐다.
사실 한국에 하이볼이 소개된 지는 오래됐지만, 주종이 위스키인지라 젊은층보다는 30대 중후반부터 50대가 주로 즐겼다. 그러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기를 거치며 집에서 가볍게 만들어 먹을 수 있는, ‘홈술’에 대한 수요가 늘면서 젊은층이 하이볼을 찾기 시작했다. TV 프로그램과 유튜브 등에서 유명인들이 하이볼을 소개한 것도 영향을 끼쳤다. 이 과정에서 일본의 국민 위스키로 불리는 산토리 가쿠빈 위스키는 4만 원대, 짐빔 위스키는 3만 원대 수준으로 구할 수 있게 되면서 ‘위스키는 무조건 비싸다’라는 통념이 깨졌고, 대중화가 빨라지게 됐다.
한 소비자가 국내 위스키 장인 김창수 대표와 편의점 GS25가 협업해 만든 ‘김창수 하이볼’을 살펴보고 있다. 음료와 주류업체, 유통업체까지 하이볼 출시에 달려들면서 편의점 냉장고마다 다양한 하이볼이 판매되고 있다. GS25 제공
하이볼에서도 한국의 특징인 ‘다이내믹함(역동성)’이 듬뿍 묻어난다. 위스키는 물론 중국 백주, 진, 럼, 보드카와 한국의 증류식 소주 등 다양한 주류가 하이볼에 사용되고 있다. 하이볼 종주국 일본에서는 하이볼의 80% 이상을 산토리 가쿠빈과 짐빔을 이용해 만든다는 점과 대비된다.
편의점 냉장고가 주류회사, 음료회사가 내놓는 ‘레디 투 드링크(RTD)’ 하이볼의 전장이 됐다는 점도 흥미로운 부분이다. 소주와 홍차를 섞은 소주 하이볼 ‘처음처럼 실론티 레몬 하이볼’, 아메리칸 버번 위스키에 콜라를 섞은 칵테일 버번콕에서 영감을 받아 GS25가 판매 중인 ‘버번 위스키 하이볼’, 중국 백주 연태고량주에 토닉워터와 파인애플향을 더한 ‘연태 하이볼’ 등이 큰 인기를 얻었다. 유통업계 안팎에서는 요즘 하이볼 제품을 내놓지 않은 회사는 뒤처지고 있다는 생각까지 할 정도다.
외식업체에서도 하이볼 문화를 전략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서울 용산구의 한 음식점은 바에 서서 하이볼과 간단한 안주를 즐기는 일본의 다치노미(立ち飲み·서서 마시다)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다. 이 브랜드를 만든 30대의 남준영 대표는 독주보다 가볍게 즐길 수 있는 술을 선호하고, 여행을 온 듯한 분위기를 즐기는 MZ세대(밀레니얼+Z세대)를 겨냥했다고 설명했다. 실제 일본에 있는 간판, 달력, 여배우 사진 등의 소품과 가벼운 금액으로 마치 일본 여행을 하는 것 같은 분위기를 만들었다는 것이다.
최근 엔화 약세로 일본 여행을 다녀온 사람들이 크게 늘어난 것도 하이볼을 익숙한 것으로 받아들이게 됐다. 기업 입장에서 하이볼은 다른 주류의 수익성보다 높고, 외식업자 입장에서도 저도수 하이볼은 추가 주문 빈도가 높아 매출에 도움이 된다고 한다. 레시피를 무한히 늘려 나갈 수 있다는 점도 매력이다. 하이볼의 유행에는 다양성과 개성을 중시하는 젊은 세대의 가치관, 홈술 문화의 득세, 늘어난 일본 여행 등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하이볼의 전성기는 당분간 계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는 이유다.
동아일보 / 김유경 푸드디렉터
'잡동사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의 돈 쓰는 방법 (0) | 2024.04.24 |
---|---|
사공정규의 ‘부부 뇌 설명서’ (0) | 2023.12.14 |
오동동 타령의 "오동추"는 누구일까? (1) | 2023.08.28 |
임계점의 극복 - 현대 정주영회장 (0) | 2023.07.19 |
韓國의 位相 (0) | 2023.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