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여행기/100+(플러스) 명산

99. 경기포천/가평 주금산(2022.3.29 외)

박연서원 2023. 4. 6. 07:44

주금산 [鑄錦山] 814m

경기 포천, 가평, 남양주

 

위치

 

주금산은 경기도 포천시 내촌면 가평군 상면 남양주시에 걸쳐 있는 높이 813m의 산으로 산이 부르럽고 아름다워 일명 비단산이라고도 불리며 주위에는 서리산 천마산 철마산 축령산 등 명산이 호위 하듯 둘러서 있으며 운악산에서 천마산으로 이어지는 능선상에 있고 남동으로 갈라진 지맥은 서리산과 축령산으로 이어지며 이 능선사이로 흐르는 수동천 상류에는 명소 비금 계곡이 있다 정상은 공터이며 정상부근의 기암과 수려한 비금계곡이 어우러져 마치 비단결 같은 산세가 이어지며 서북쪽 산자락에는 베어스타운 스키장이 자리잡고 있고 정상에서 남쪽으로 흘러 내리는 비금계곡은 아직도 오염되지 않은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능선에는 바위지대와 억새밭이 심심찮게 있고 수림이 울창하다 정상에서 뻗은 능선자락에는 베어스타운스키장이 조성되어 있다.

 

산행정보99. 경몽골문화촌과 승마체험장 사이의 아스팔트길을 따라 산행은 시작된다. 비금계곡은 옛날 풍류를 즐기던 선비들이 계곡에 거문고를 숨겨놓고 다녔다하여 붙은 이름이다. 시멘트 포장도로와 비포장도로가 번갈아 나타나고, 오르막과 내리막 사이의 시원한 계곡물을 두세 차례

 

건너서면 비금계곡 합수점이 나온다. 왼쪽의 2코스로 산행을 시작했다. 송전탑 공사를 위해 닦아 놓았던 옛 임도 따라 이어지는 등산로, 훼손된 산림을 복원하기 위해 임도 중간 중간에 석축을 샇고 어린 잣나무들을 심어 놓았다. 임도는 결국 주능선까지 이어져 모습을 감추고, 북으로 이어지는 능선길을 따라 송전탑에 도착했다. 정상이 1.45km나 남아 있다는 안내표지판이 서있는 쉼터를 지나자, 주금산을 지키고 서 있는 산신령의 모습을 닮은 아름드리 소나무들이 나타난다. 감탄사가 절로 터져 나올 정도로 조망이 훌륭한 헬기장에 올라선다. 앞으로는 웅장한 모습의 독바위와 크고 작은 암봉들이 연이어 늘어 서있고, 뒤로는 철마산을 지나 천마산으로 이어지는 힘찬 산줄기가 아름답게 펼쳐진다 헬기장을 지나 독바위 삼거리로 오르는 가파른 길을 오른다. 독바위 삼거리에서 360m 가량 더 북으로 주능선을 이어가면 정상이다. 조그마한 공터는 사방을 둘러싼 잡목들로 조망이 가린다. 정상에서 독바위 삼거리 지나 1코스 하산길에 접어든다. 처음에는 제법 가파른 길의 연속이지만 나무게단과 밧줄설치 구간이 반복되면서 걷기 좋은 능선으로 변해간다. 서둘러 서리산(825m)과 축령산(879m)으로 이어지는 남동능선길을 따라 내려선다. 능선길을 버리고 비금계곡으로 내려서는 안부 삼거리에 도착. 이제부터는 호젓한 시골길을 걷는 기분이다. 길도 널찍하고, 계곡 물소리도 가까이에서 들려온다. 비금계곡 상류의 모습이 눈에 들어오기 시작하면서부터는 이내 계곡의 수량도 제법 많아지면서 합수점에 닿는다. 계곡을 뒤로하고 산길을 내려온다.

 

등산코스

 

남양주 방면

▲ 1코스 (10km, 4시간)

비금계곡 주차장⇒동남능선⇒바위봉⇒정상⇒바위봉⇒남쪽능선⇒시루봉⇒주차장

▲ 2코스 (9.5km, 3시간 40분)

비금계곡 주차장⇒동남능선⇒바위봉⇒정상⇒안부⇒폭포⇒계곡합수곡⇒사기막 평사교

▲ 3코스 (11km 4시간)

몽골문화촌⇒비금계곡⇒2코스⇒독바위⇒정상⇒1코스⇒비금계곡⇒몽골문화촌

 

포천 방향

▲ 1코스 (3시간 30분)

음현리 안암절⇒정상⇒내4리(능골)

▲ 2코스 (3시간)

내4리(능골)⇒정상⇒베어스타운(스키장)

▲ 3코스(5시간)

소학리(사기막)⇒정상⇒음현리 안암절

   

접근방법

 

▲ 대중교통

서울내촌 방향

청량리 환승센터 1승강장⇒상봉터미널⇒퇴계원⇒광릉행 707번

청량리 환승센터 3승강장⇒상봉전철역⇒교문사거리⇒퇴계원⇒진접읍사무소 88번

천호역⇒구리시청⇒사릉 23번

강변역⇒내촌⇒장현 경유 3000번

강변역⇒광릉 경유 11번

강변역⇒퇴계원 경유 1번

잠실역 교통회관⇒진접 택지지구 경유 8012번

강남역⇒잠실역⇒장현 경유 7007

의정부⇒광릉내 21번

광릉내음현2리 입구·내촌·베어스타운 입구·신팔리

광릉내⇒도평리(이동)행 7번 버스 이용.

서울비금리

청량리 환승정류소⇒상봉역⇒구리역⇒수동국민관광지⇒내방리 경유 330-1번

 

▲ 도로정보

비금계곡 방향

구리시⇒46번 국도⇒마석⇒수동면 방향 362번 지방도⇒입석리⇒내방리⇒비금계곡 주차장

내촌면 사기막 방향

구리시(교문사거리)⇒퇴계원⇒일동방면 47번 국도⇒광릉 입구⇒내촌⇒평사교

 

주변관광지

 

▲ 비금계곡

남양주시 수동면의 수동국민관광지 안에 자리잡고 있는 계곡이다. 사방에 서리산, 주금산, 천마산 등이 병풍처럼 둘러싸고 있는 이 계곡은 울창한 숲 그늘이 드리워지고 맑은 물이 흘러 여름 피서지로 인기를 더해 가고 있다. 내방리에서 약 1.5km에 걸쳐 있는데, 아름다운 계곡과 함께 높이 540m의 시루봉 등산을 가볍게 즐길 수 있어 더욱 좋은 곳이다 031-590-4245

 

▲ 베어스타운 리조트

서울 근교의 대단위 종합 레져타 운으로 국제스키연맹(FIS)공인 슬로프를 보유하고 있는 도시근교형 스키장이다. 국내 최초로 렌탈제도를 채택하여 아무런 준비없이 찾아도 부담없이 스키를 즐길 수 있 다. 초보자를 위한 광장형 슬로프 리틀베어(경사도 8도, 길이 600, 폭 65m)가 마련되어 있어 스키를 처음 접하는 초보자라도 안심할 수 있다 031-540-5116~7

 

[특별부록지도 코스가이드] 주금산

글·사진 | 월간 산 박영래 객원기자

 

1박 2일 짜리 긴 종주코스와 명품 비금계곡도 가져

산정은 큰 독 같고 산릉은 비단결 같아

 

운악산(935m)에서 남서쪽 수원산(709.7m) 방면으로 이어지는 한북정맥은 포천시 화현면 명덕리와 내촌면 신팔리 경계를 이루는 425m봉(서파 사거리 북방 약 1km)에 이르면 남으로 천마지맥을 분가시킨다. 이 천마지맥이 약 10km 거리에 빚어 놓은 산이 주금산(鑄錦山·814m)이다.

주금산에서 계속 남진하는 천마지맥은 철마산~천마산~백봉~갑산~예봉산, 그리고 갑산~운길산에 이르러 여맥들을 북한강과 한강으로 가라앉힌다.

주금산에서 남동으로 가지 치는 능선도 있다. 이 능선은 수동고개(395m)~서리산(832m)~축령산(886m)~은두봉(678.4m)~깃대봉(623.6m)에 이른 후 여맥을 조종천과 북한강에 가라앉힌다.

주금산은 본래 내촌면 주민들이 ‘비단산’, 또는 독바위산으로 불렀던 산이다. 1980년대에 이 산을 찾았을 때만 해도 토박이 주민들 중 수대째 살아온 분들은 주금산을 문의하면 대부분 ‘그런 이름은 금시초문’이라는 반응이었다.

비단산이라는 이름은 내촌에서 올려다 보이는 산릉들이 마치 펄럭이는 비단 천처럼 보인다고 해서, 독바위산 이름은 정상 남쪽에 우뚝 솟은 암봉에서 유래되었다. 이 암봉은 마치 큰 독(일명 옹기·瓮器)을 엎어 놓은 듯한 모습으로 보이기 때문에 그런 이름을 얻게 된 것이라 전해진다.

주금산은 서쪽으로 포천시 내촌면 음현리 내리 신팔리, 동으로 가평군 상면 율길리 상동리, 남으로 남양주시 수동면 내방리 경계를 이룬다. 이 산 서쪽에는 한강 지천(支川)인 왕숙천, 동으로는 조종천 지천인 상동천, 남으로는 북한강 지천인 수동천이 깊은 골을 이루고 있다.

주금산을 중심으로 왕숙천 건너로는 수원산에서 국사봉으로 이어지는 한북정맥, 북으로는 운악산, 동으로는 개주산, 남동으로는 서리산과 축령산, 남으로는 철마산과 천마산 등 명산들이 호위하듯 에워싸고 있다.

정상 남단은 아찔한 절벽을 이룬 독바위봉과 선바위봉 등 암봉들이 자태를 뽐내고 있다.암봉에서 남동으로는 수려한 비금계곡이 어우러져 아름다움을 더해 준다. 수동천 상류인 비금(琵琴)계곡은 옛날 선비들이 이 계곡에 물놀이를 왔다가 거문고를 감춰 놓았다는 설이 전해진다. 이 계곡은 예전부터 여름철 수도권에서 더위를 잊는 물놀이 장소로 인기가 있는 곳이다. 일반적으로 주금산에서 가장 많이 떠오르는 명소는 정상 북서쪽에 자리한 베어스타운 스키장이다. 스키장에서도 정상으로 이어지는 등산코스가 개설되어 있다.

 

 

주금산은 수도권에서 멀지 않다. 게다가 청량리 버스환승정류장에서 기점인 내촌면과 수동면, 그리고 현리 방면으로 시내버스가 수시로 운행하기 때문에 당일산행을 즐기기에 쉽다. 교통카드 한 장과 도시락만 준비하면 부담 없이 다녀올 수 있는 산이다. 이 산은 평일에도 중장년층 등산인들이 많이 찾는다.

 

코스가이드

 

주금산 등산로는 포천시 내촌면 방면에서는 음현2리 안암절터~655m봉 서릉~남릉, 내리 내촌면사무소~능골~독바위봉 서릉~남릉, 베어스타운 리조트~남동쪽 계곡, 베어스타운 리조트~남동쪽 계곡~베어스타운 정상(513m봉)~북서릉~북릉, 신팔리 서파사거리~북릉을 경유해 정상으로 오르는 코스가 대표적이다.

 

특히 서파사거리에서 북릉을 타고 정상으로 향하는 코스는 주금산 북단에서는 가장 긴 코스다. 이 코스는 서파사거리 서쪽 수원산, 주금산 정상에서 남동쪽 수동고개~서리산~축령산, 남쪽 철마산~천마산으로 등산로가 이어진다. 따라서 요즘은 미니종주를 즐기는 마니아들이 막영장비를 이용해 1박2일 코스로 산행을 즐기는 팀을 쉽게 만날 수 있다.

 

가평군 상면 상동리 방면에서는 불기마을 종점에서 약 1km 들어간 곳인 여래사에서 시루봉~남릉, 여래사 입구에서 약 500m 거리인 수동고개~시루봉~남릉을 경유해 정상에 오르는 코스가 있다.

 

남양주시 수동면 내방리 방면은 몽골문화촌을 기점으로 비금리 종점~수동고개~시루봉 능선~남릉, 비금계곡~합수점 삼거리~시루봉 능선~남릉, 합수점 삼거리~남릉~팔각정을 경유해 정상에 오르는 코스가 대표적이다. 상기 코스들을 음현2리 안암절터 코스부터 시계방향으로 소개한다.

 

음현2리~매화동~안암절터~남릉~정상 <매화동 기점 약 5.5km·3시간30분 안팎 소요>

 

음현2리에서 안암절터 방면으로 가는 마을길에서는 북동쪽인 주금산 정상부터 오른쪽으로 독바위봉~팔각정 안부~767m봉~655m봉으로 이어지는 남릉이 마주 보인다.

 

안암절터는 옛날 이 자리에 ‘안암’이라는 절이 있었기 때문에 생긴 지명이다. 안암절은 일반 지형도에 ‘안양절’이라고 표기되어 있는 곳이다. 절이 있었던 자리(터)이므로 ‘안암절터’로 이해하면 좋을 듯하다.

 

안암절터에는 조선조 세종대왕 7대손 ‘이경여 신도비’가 남아 있다. 절터의 지세를 살펴보면 서에서 동으로 약 250m 폭을 이룬 둥그런 분지를 이루고 있다. 분지 하단부 거목들 옆에는 옛날 큰 사찰 마당을 장식했던 연못이 남아 있다. 연못 북단, 옛날 불사(佛寺) 터 양지바른 곳에는 별장이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이경여 신도비에서 오른쪽 계곡 방면 묵밭을 지나면 왼쪽 산기슭으로 오르는 갈림

길이 나온다. 이 길로 올라도 등산로 안내판에서 들어가는 길과 만난다. 갈림길에서 직진하면 숲 그늘 아래 계곡 옆에 신선약수와 정자가 있다. 이 일대는 소풍장소로 이용되는 곳이다.

 

47번국도 음현2리 입구 7번 버스 승강장소(주금산 등산로 1.75km→ 안내판)-(20분)→매화동 삼거리-(왼쪽 길로 5분)→약천사-(5분)→안암절터 입구(산꼭대기 산장 앞 주차장)-(20m)→이경여 신도비-20m→주금산 대형 안내판-(8m)→등산로 입구-(오른쪽 산길로 약 50m)→느티나무 아래 푯말(정상 3.14km→)-(5분)→지능선 고개(안부에 돌무더기)-(사면 길로 8분)→나무다리-(이후 계곡길로 8~9분)→합수점-(큰 계곡으로 직진 7분)→왼쪽 사면 길 진입-(17분)→송전탑-(20m)→655m봉 서릉 T자 삼거리(←음현2리 1.64km, ↓안암절 1.38km, 정상 1.76km→ 푯말)-(655m봉 서릉 오르막길로 12분)→오른쪽 사면 길 진입-(2분)→남릉 도착(←정상 1.37km, ↓안암절 1.77km, 남양주시→ 푯말)-(2분)→655m봉 동쪽 사면길 진입-(3분)→안부(↓안암절 2.14km, 정상 1.00km↑ 푯말)-(10분)→20m 벽 하단부-(오른쪽 우회길로 7분)→능선 휴식장소(벤치 2개)-(약 50m)→헬기장(767m봉)-(헬기장 건너 20m)→2층 팔각정자-(4~5분)→능골 갈림길(←능골 2.72km, 정상 0.48km↑, 안암절 2.66km↓ 푯말)-(약 25m)→비금리 갈림길(↓비금리 입구 1코스 4.45km, 비금리 코스 2코스 4.42km→ 푯말)-(약 40m)→선바위 꼭대기 왼쪽-(5분)→811m봉-(5분)→헬기장-(헬기장 건너 약 40m)→정상(삼각점 일동 24).

 

이경여 신도비

안암절터에 남아 있는 유일한 향토유적

 

포천군 관할 내에는 과거 역사 한 토막을 뒤돌아볼 수 있는 유적지가 적지 않다. 주금산 자락인 음현리 안암절터도 유적지다. 이 절터에 유일하게 남아 있는 유적이 이경여 신도비(李敬與 神道碑)다.

 

이경여(1588~1657) 선생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다. 자는 직부(直夫)이며 세종대왕의 7대손이다. 호는 백강(白江) 봉암(鳳巖)이다. 본관은 전주, 목사(牧司)를 역임한 수록(綏錄)의 아들이다.

 

1601년(선조 34년) 사마시, 1609년(광해군 1년)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한 후 검열이 되었고, 인조반정 후 부수찬 부교리를 거쳐 청주목사, 좌승지, 전라도 관찰사를 지냈다. 1636년(인조 14년) 병자호란 때는 남한산성으로 피신하는 왕을 모셨다. 경상도 관찰사, 형조판서, 우의정을 지냈으며, 효종 즉위 후 영의정이 되었으나 청나라의 압력으로 영중추부사로 전임되었다.

 

시문에 능하고, 글씨도 뛰어났으며, 저서로 백강집(白江集)을 남겼다.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신도비는 1669년(현종 10년)에 건립된 것으로, 비문은 송시열(宋時烈)이 짓고, 심익현(沈益鉉)이 글씨를 썼으며, 김만중(金萬重)이 전(篆)했다.

 

이경여 신도비와 안암절터가 무슨 연관이 있었는지는 기록이 남아 있지 않아 알 길이 없다. 신도비는 팔작지붕형의 옥개와 장방형의 비좌를 갖추었고, 비신의 재료는 대리석이다. 규모는 높이 266cm, 폭 99cm, 두께 36cm이다(향토유적 제8호).

 

내촌~능골~독바위 서릉~남릉~정상 <약 5km·3시간 안팎 소요>

 

능골(陵谷) 마을(내4리)에서 마을회관 입구를 지난 계곡길 초입(정상 1.81km→ 푯말)을 지나면 큰 묘 2기가 나온다. 이 큰 묘 때문에 능골이라는 지명이 생긴 것 같다. 돼지우물은 주 등산로에서 오른쪽 30m 거리에 있다. 우물(석간수) 옆에는 1994년에 내촌국민학교 동문산악회에서 돼지우물의 유래를 알려주는 안내석이 있다. 안내석에는 ‘선조들이 500년 전부터 이 물을 마셨다’는 내용이 있다. 그런데 갈수기에는 물이 말라버린다.

 

독바위봉 꼭대기는 독바위봉 동쪽 안부(오른쪽 남릉 30m 전방·현위치 1-5 독바위 푯말)에서 올라간다. 안부 왼쪽 작은 바위봉 북벽을 횡단해 15m 가면 두 번째 바위 안부가 나온다. 이 안부에서 약 4m 사다리를 오른 다음 약 15m 더 오르면 독바위봉 꼭대기다. 독바위봉 꼭대기는 남·서·북쪽 삼면이 높은 절벽이다. 내림길은 올라갔던 동쪽 남릉 방면뿐이다.

 

내촌파출소 앞 7번 버스 버스승강장-(2분)→내촌면사무소 지난 오른쪽 골목 입구(등산로 입구 1.81km→ 푯말)-(10분)→안동김씨 열녀비-(6분)→능곡 청정마을(내4리) 마을비석(대형 주금산 안내판 정상 3.20km→ 푯말)-(4분)→벽돌 집 앞 ㅏ자 삼거리(오른쪽 길은 60m 거리 내4리 마을회관 방면)-(왼쪽 직진 1분)→푯말(정상 2.81km→·긴급 연락처 현위치 1-1·내4리 마을회관)-(오른쪽 능골 방면으로 3분)→오래된 묘 2기-(잣나무숲길로 6분)→ㅓ자 삼거리(↑정상 2.50km 푯말)-(5분)→푯말(↑정상 2.36km, 능골 0.84km↓)-(20m)→독바위봉 서릉 진입-(13분)→389m봉-(8분)→큰 나무 아래 쉼터바위-(9분)→양쪽바위-(17분)→바위 아래 위험 표지판-(오른쪽 사면으로 4분)→ㅏ자 삼거리(↑정상 0.77km, 돼지우물 40m→ 푯말)-(4분)→30m 절벽 하단부-(오른쪽 사면으로 3분)→Y자 삼거리(오른쪽은 팔각정 방면)-(왼쪽 급경사 길로 6분)→독바위봉 남측 절벽 하단부 ㅏ자 삼거리(오른쪽은 팔각정 방면)-(2분)→T자 삼거리(오른쪽은 팔각정 방면)-왼쪽으로 20m→독바위봉 동쪽 안부(현위치 1-5 독바위 푯말)-(오른쪽 오르막으로 약 30m)→남릉 T자 삼거리(←정상 0.48km, ↓능골 2.72km, 안암절 2.66km→ 푯말). 이후 남릉을 경유해 정상으로 향한다.

 

안동김씨 열녀비

묘곡 3년간 주금산 호랑이도 감탄했다는 열녀 이야기

 

내촌면사무소에서 능골 방면으로 10분 들어가면 길 왼편으로 오래된 비석 하나가 눈길을 끈다. 주금산 서쪽 산자락 끝머리에 자리한 이 비석 앞면에는 ‘成化十二年九月十四日 (성화십이년구월십사일) 故行成均館司成 (고행성균관사성) 洪義達妻(홍의달처) 節婦安東金氏旌石 (절부안동김씨정석)’이라고 쓰인 비문이 음각되어 있다.

 

김씨 부인은 세조 때 좌의정을 했던 김질(金石質·1422~1478)의 누이(매씨·妹氏)다. 김씨 부인은 홍씨 문중에 출가한 이후 어질고 착한 아내로 살았다. 그런데 남편 홍의달이 자식도 없는 상황에서 일찍 죽고 말았다. 이에 김씨 부인은 크게 애통해하며 내촌면 음현리에 장사를 지냈다.

 

그 후 김씨 부인은 여종 한 명을 대동하고 남편의 묘를 돌보았다. 그는 오랫동안 무릎을 꿇고 아침저녁으로 곡(哭)을 하며 묘를 돌보는 와중에 땅에 닿은 무릎이 썩기도 하였다. 그런데 부인은 이에 개의치 않고 하루도 빠짐없이 곡을 하는 와중에 어느 날 묘 옆으로 큰 호랑이가 나타났다. 여종은 두려운 빛으로 이 사실을 알렸으나 김 부인은 “죽는 것이 소원인데, 이제 무엇이 두렵겠느냐”하고 오히려 태연하였다.

 

그 후 호랑이는 매일 찾아와서 다음날 새벽이 되어서야 돌아가곤 하였다. 이렇게 묘곡(墓哭) 3년을 마치고 김 부인이 집으로 돌아오던 날 호랑이도 집 근처까지 배웅해 주고 산속으로 사라졌다는 기록이 전해진다.

 

홍의달은 조선 세조 때 목사(牧使), 성균관사성(成均館司成) 등을 역임한 분이다. 그의 아내 김씨 부인의 절개와 행적을 기리기 위해 535년 전인 성종 7년(1476) 나라에서 왕명으로 세운 절부비(節婦碑)가 바로 이 비석이다. 이 비석은 향토유적으로 지정되지는 않았다. 그러나 부부동반 산행 시 이 열녀비를 구경하면 부부애가 더욱 살아나지 않겠는가.

 

베어스타운 스키장 입구~실버타운 계곡~정상 <약 3.5km·2시간30분 안팎 소요>

 

계곡 반석지대를 건너간 돌무더기 옆 푯말에서 북동쪽‘↑정상 1.64km’ 방면은 북서릉인 베어스타운 정상, 오른쪽 ‘정상 1.75km→’ 방면은 계곡을 경유해 정상으로 가는 길임을 뜻한다. 이 지점에서 북서릉, 또는 계곡 코스를 선택하면 된다. 이 지점에서 북서쪽 사면 길은 베어스타운 스키장 방면이다. 이곳에서 정상 방면 계곡길로 25분 거리인 삼거리에서 왼쪽 길은 북서릉으로 이어진다. 이곳에서 북서릉으로 올라가도 된다.

 

47번국도 베어스타운 입구 7번 버스승강장-(5분)→진미식당 앞 삼거리-(오른쪽 식당 앞길로 10분)→실버타운 주차장-(오른쪽 주차장 지나 약 100m)→베어스타운 둘레길 푯말(나무벤치 1개)-(왼쪽 능선길로 7분)→T자 삼거리(↓베어스타운 둘레길 1코스, 둘레길 2코스→ 푯말)-(왼쪽 사면으로 7분)→계곡 반석지대-(반석지대 건너 오른쪽 길로 약 40m)→돌무더기 옆 사거리(↑정상 1.64km, ↓베어스타운 0.81km, 정상 1.75km→ 푯말)-(계곡길로 25분)→아름드리 노송 옆 ㅓ자 삼거리(←정상 1.12km, ↓베어스타운 1.56km, ↑정상 1.00km 푯말)-(5분)→샘터-(11분)→합수점 푯말(↑정상 0.58km, 베어스타운 1.98km↓)-(약 50m)→양쪽 계곡 사이 정상 서릉 시작-(10분)→쉼터(벤치 1개)-(12분)→쉼터(벤치 1개)-(7분)→정상.

 

베어스타운 스키장 입구~베어스타운 정상~북서릉~북릉~정상 <약 3.5km·2시간30분 소요>

 

베어스타운 진미식당 앞 삼거리에서 스키장 안쪽을 통과하지 않고 실버타운 주차장으로 올라가도 괜찮다. 주차장에서 100m 거리 둘레길 푯말~왼쪽 능선~사면 길을 경유해 계곡 반석지대를 지난 삼거리에 이르러 북쪽 사면 길로 진입해도 된다.

 

진미식당 앞 삼거리-(왼쪽 스키장 방면으로 20분)→계곡 반석지대 왼쪽 돌무더기 옆 삼거리-(왼쪽 돌밭 사면으로 10분)→노송 2그루 옆 쉼터(벤치 1개)-(약 40m)→샘터-(약 30m)→푯말(↑정상 1.55km)-(15분)→베어스타운 정상(513m)-(8분)→ㅏ자 삼거리(↑정상 0.94km, ↓베어스타운 1.5km, 베어스타운 1.74km→ 푯말)-(10분)→푯말(현위치 2-3·7부 능선)-(7분)→묵묘 1기 쉼터(벤치 1개)-(15분)→북릉 T자 삼거리(↓베어스타운 2.36km, 정상 0.09km→ 푯말)-(3분)→정상.

 

베어스타운 스키장 입구에서 북으로 약 500m 거리에 사기막골 입구(소학1리)가 있다. 사기막골을 경유해 북릉으로 이어지는 등산로가 있다. 그러나 이 코스는 주민과 스키장에서 식수로 사용하는 상수원보호구역으로 출입을 엄격하게 금지하고 있다.

 

소학1리 승강장에서 사기막 마을 안으로 15분 들어가면 길 왼쪽에 사기막 입구 푯말(현위치 2-1)이 나온다. 이 푯말에서 왼쪽 길은 북릉 642m봉 서릉으로 이어진다. 이 코스는 북릉 642m봉에서 사기막 방면으로는 안내푯말이 전무한 것으로 보아 이용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사기막 마을 푯말(현위치 2-1)에서 12분 더 들어가면 취수장 왼쪽으로 철문이 있다. 철문 옆 벚나무에는 ‘각 산악회 간부는 이 지역으로 등산객을 인솔하지 마세요. 스키장 내로 가셔서 올라가세요. 주민 일동’이라 쓰인 안내문이 나온다.

 

서파사거리~북릉~정상 <약 8.5km·4시간30분 안팎 소요>

 

신팔1리 7번 버스 승강장에서 남쪽 80m 거리에 할머니쌈밥집 앞으로부터 건너오는 건널목(신호등 있음)이 있다. 이곳에서 동쪽 용천사 옆길로 오르는 길이 정석이다. 자가용 이용 시에는 서파사거리 지하차도로 유턴해서 할머니순두부식당(할머니쌈밥집과 같은 식당임) 앞 주차장을 이용하면 된다.

 

이 코스는 주금산 북단에서 등산로 길이가 가장 길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완만한 능선 길이기 때문에 특별하게 힘든 곳은 없다. 단지 시간이 문제이기 때문에 서파사거리에서 출발시간을 일찍 잡는 것이 관건이다.

 

북릉을 종주하다가 힘든 경우 탈출로는 642m봉 서릉이나, 사기막골 갈림길(개주산 갈림길에서 약 30분 거리)에서 사기막골로 하산은 가능하다. 등산을 즐기다가 힘들어 하산하는 것까지 막지는 않는다. 사기막골 하단부 취수장 옆 철문은 열려 있다.

 

할머니쌈밥집 앞 건널목 동쪽-(용천사 왼쪽 길로 약 60m)→묘 4기 있는 북릉-(오른쪽 북릉으로 15분)→395m봉-(4분)→사거리 안부(왼쪽에 묘 6기)-(10분)→426m봉-(6분)→옛고개(사거리)-(12분)→임도 진입-(5분)→임도 삼거리(왼쪽에 삼각점·일동 449)-(8분)→헬기장-(6분)→539m봉-(20분)→582.6m봉(삼각점·1977 건설부)-(11분)→586m봉(이곳부터 방화선 시작)-(15분)→서쪽 능선 갈림길(사기막 방면)-(2분)→642m봉-(1분)→개주산 갈림길(이곳에서 방화선은 개주산 방면으로 이어짐)-(15분)→673m봉-(5분)→사기막골 갈림길(부셔진 푯말·↑정상 1.95km, 사기막 하산로 2.33km)-(20분)→694m봉-(15분)→724m봉 서쪽 사면 길-(25분)→베어스타운 방면 북서릉 갈림길(↑정상 0.09km, 베어스타운 2.36km→ 푯말)-(3분)→정상.

 

여래사~시루봉 능선~남릉~정상 <약 2.7km·2시간 안팎 소요>

 

상동리 불기 종점에서 여래사(如來寺)는 도보로 20분이 조금 더 걸린다. 여래사는 오래된 절은 아니다. 건물도 평범한 시골 민가 같다. 여래사가 기점으로 많이 이용되는 이유는 이 방면(가평군 상면)에서 정상으로 오르는 가장 짧은 코스이기 때문인 것 같다. 그리고 가평군에서 안내푯말도 여래사와 이곳 남쪽인 수동고개에만 세워 놓았다. 가평군 발행 등산 안내책자에도 여래사와 수동고개 코스 두 곳뿐이다.

 

 

여래사 입구-(약 60m)→여래사-(왼쪽으로 약 50m)→합수점 1-(왼쪽 계곡길로 7~8분)→합수점 2-(왼쪽으로 계류 건너 약 50m)→지능선 시발점-(20분)→시루봉 남동릉(←수동고개 1.3km, ↓상면 상동리 여래사 방향 700m, 주금산 정상 1.3km→ 푯말)-(7~8분)→시루봉(벤치 3개)-(13분)→ㅏ자 삼거리(벤치 2개)-(2분)→쉼터(등산로 안내판, 통나무 의자 4개)-(15분)→남릉 T자 삼거리(←비금리 입구 2코스 4.42km, 비금리 입구 1코스 4.45km, 정상 0.48km→ 푯말). 이후 오른쪽 남릉을 타고 정상으로 향한다.

 

수동고개~군계능선~시루봉 능선~남릉~정상 <약 3km·2시간30분 소요>

 

해발 395m인 수동고개(일명 불기고개)는 가평군과 남양주시 경계다. 수동고개는 여래사 입구에서 도보 8분 거리. 고개 남쪽 비금리 종점에서는 도보로 30분가량 걸린다.

수동고개는 현리와 마석을 연결하는 387번지방도가 넘는 곳이다. 고개까지 운행되는 대중버스편은 없다. 이 때문에 자가용을 이용하는 등산인들이 고갯마루에 주차한 후 주금산 또는 서리산(서리산 정상 3.9km) 왕복산행을 즐긴다. 고갯마루에는 간단한 음료수를 파는 가게가 한 곳 있다. 고개 북쪽 40m 거리 도로 서쪽 주금산 기점(↑정상 2.5km 푯말) 옆에는 파이프를 박은 식수시설이 있다. 이곳 가게에서 이용하는 식수원이다.

 

수동고개(↑주금산 정상 2.5km 푯말)-(5분)→군계 능선-(12분)→무명봉(헬기장)-(13분)→수리봉 남동릉(十자로)-(오른쪽 길로 약 50m)→삼거리(왼쪽 길은 비금계곡 합수점 방면)-(약 80m)→휴식장소(벤치 2개)-(5분)→여래사 갈림길. 이후 시루봉~남릉을 경유해 정상으로 향한다.

 

비금계곡 입구 주차장~합수점 삼거리~시루봉 능선~남릉~정상 <약 4.8km·3시간 안팎 소요>

 

비금계곡은 갈수기에도 수량이 마르지 않는다. 계곡 곳곳에는 울창한 숲 아래로 규모가 작은 폭포와 담(潭)과 소(沼)가 연이어진다. 특히 여름철 물놀이 장소로 인기 있는 곳이다. 대중교통편이 편리하고, 비금계곡 입구에 있는 무료주차장으로 인해 대형버스를 이용하는 안내산악회와 자가용을 이용하는 등산인들이 평일에도 많이 찾는다.

 

수동국민관광지 주차장(↑주금산 정상 4.76km 푯말)-(약 100m)→광청성가든 앞 삼거리(주금산 등산안내판)-(왼쪽 비금계곡으로 약 10분)→산마루(민박·식당)-(7분)→왼쪽으로 계류 건넘-(14분)→오른쪽으로 계류 건넘-(12분)→합수점 삼거리(←주금산 2코스 2.45km, 주금산 1코스 2.48km→ 푯말)-(오른쪽 계류 건너 15분)→휴식장소(벤치 2개)-(8분)→573m봉 능선 안부(←정상 1.48km 푯말, 벤치 2개)-(왼쪽 능선길로 약 50m)-ㅏ자 삼거리(군계 능선, 오른쪽 길은 수동고개 방면). 이후 시루봉~남릉을 경유해 정상으로 향한다.

 

비금계곡 합수점 삼거리~남릉~팔각정~정상 <약 4.8km·3시간 안팎 소요>

 

비금계곡 삼거리에서 30분이면 오르는 남릉(←철마산 4.00km 푯말)에서 7분 거리 송전 탑 아래에 이르면 비금계곡과 철마산 방면 남릉이 조망되기 시작한다. 송전탑에서 3분 더 가면 안암절터(서쪽) 갈림길이 나온다. 이후 헬기장까지는 노송들이 어우러진 바위지대가 계속 이어진다.

 

비금계곡 합수점 삼거리-(왼쪽 계곡길로 10분)→왼쪽 사면 길 진입-(4분)→오른쪽 능선길 진입-(14분)→왼쪽 사면 길 진입-(2분)→남릉 T자 삼거리(←철마산 정상 4.00km, 주금산 정상 1.74km→ 푯말)-(10분)→안암절터 갈림길(←안암절 1.77km, 정상 1.37km↑ 푯말). 이후 헬기장~팔각정~남릉을 경유해 정상으로 향한다.

 

정상 조망

 

주금산 정상에서는 사방이 잡목들로 에워싸여 나뭇가지 위로 멀리 산들이 찔끔찔끔 보인다. 시원하게 조망이 터지는 장소는 남릉 선바위와 독바위 꼭대기, 그리고 정자가 있는 바로 남쪽 헬기장 등 세 곳이다.

선바위 꼭대기에서는 북으로 정상 오른쪽 개주산 뒤로 운악산 청계산 명지산이 보인다. 명지산 오른쪽으로는 명지지맥을 남으로 끌고 나아가는 연인산 매봉 깃대봉 약수봉 대금산이 펼쳐진다. 동으로는 청우산, 남동으로는 수동고개를 지난 서리산 축령산이 하늘금을 이룬다. 축령산 오른쪽 뒤 멀리로는 은두산 화야산 용문산 청계산 등이 전개된다. 남으로는 비금계곡과 수동천계곡 오른쪽으로 철마산과 천마산이 M자형으로 하늘금을 이룬다.

 

독바위봉 꼭대기에서 조망도 장쾌하다. 동쪽은 남릉과 선바위 암봉에 막히지만 남동쪽과 남쪽은 선바위봉 꼭대기에서와 거의 비슷하다. 이곳에서는 남서쪽 조망이 일품이다. 불암산과 수락산 뒤 멀리로 북한산과 도봉산이 눈에 와닿는다. 도봉산 오른쪽으로는 한강봉과 앵무봉도 보인다.

 

 

서쪽으로는 한북정맥 상의 죽엽산이 마주 보인다. 북서로는 한북정맥 상의 국사봉이 멀리 해룡산 왕방산과 함께 조망된다. 북으로는 주금산 정상 왼쪽으로 수원산이 마주 보인다. 정자 남쪽 헬기장에서는 북쪽만 독바위봉과 선바위에 막힐 뿐 그 외 방향 조망은 독바위봉과 선바위 꼭대기에서와 비슷하다.

 

남릉 767m봉 (헬기장)에서 북으로 본 팔각정과 독바위. 출처 : 월간산(http://san.chosun.com)

 

대중교통

 

서울→내촌 청량리 환승센터 1승강장에서 6~7분 간격(06:00~22:30)으로 홍릉 사거리~망우역~상봉터미널~신내 검문소~퇴계원~밤섬유원지~진접농협~금곡리 입구~진접중학교를 경유하는 광릉행 707번(망우역 신내 사거리에서 좌회전), 3승강장에서 상봉전철역~망우역·상봉터미널~교문사거리~돌다리~동구릉~퇴계원 극동아파트~대궐터~내각농협~내동마을~진접~금곡리 입구~진접읍사무소 입구를 경유하는 88번 버스( 망우리 고개 넘어 구리시 경유) 이용. 요금 현금 1,000원, 교통카드 900원.

 

하남시→광릉내 하남 풍산지구~길동~강동역~천호역~구리시청~돌다리~금곡~사릉 경유 23번 버스 이용.

 

동서울(강변역)→내촌 장현 경유 3000번 우등버스(이 버스는 내촌에서 포천~운천~신철원까지 운행). 광릉 경유 11번 좌석버스(이 버스는 일동까지 운행·요금 1,700원), 돌다리~퇴계원 경유 1번 일반버스 등 이용.

 

잠실역→광릉내 잠실역 교통회관에서 고속도로~진접 택지지구 경유 8012번(좌석) 이용. 강남역~역삼역~삼성역~종합운동장~잠실역~장현 경유 7007(좌석)번 이용.

 

의정부→광릉내 21번 버스 이용.

 

광릉내→음현2리 입구·내촌·베어스타운 입구·신팔리 광릉내에서 1일 30회(05:30~21:30) 운행하는 도평리(이동)행 7번 버스 이용. 음현2리 입구 4~5분, 내촌 파출소(내1리) 앞 6~7분, 베어스타운 입구(소학1리) 16분 안팎, 신팔리(신팔1리) 25분 안팎 소요. 요금 현금 1,000원, 교통카드 900원.

 

신팔리·베어스타운·내촌·음현2리 입구→광릉내 도평리에서 1일 30회(05:30~21:30) 운행.

 

택시 광릉내 택시 031-527-0888, 내촌택시 031-534-2877.

 

서울→현리 청량리 환승정류소에서 1330-4(현리), 1330-44번 좌석버스(운악산) 이용. 이외에 1330-2(가평), 1330-3(목동), 1330-5(청심병원), 8004번 좌석버스(가평) 이용, 청평에서 하차, 현리행 버스로 갈아탄다.

 

현리→상동(불기) 1일 10회(07:00〔불기〕, 08:00〔상동〕, 09:20〔상〕, 10:00〔불〕, 12:10〔상〕, 14:00〔불〕, 15:30〔상〕, 17:40〔불〕, 19:05〔상〕, 20:30〔상〕) 운행. 상동 10분, 불기 20분 소요.

 

서울→비금리 청량리 환승정류소에서 20~25분 간격(05:20~21:20)으로 운행하는 상봉역~망우역~구리역~도농역~남양주시청(금곡)~평내~마석~수동면~수동국민관광지~내방리 경유 330-1번 버스 이용. 요금 어른·청소년 1,600원(교통카드 1,500원), 초등생 현금 1,000원. 비금리 종점에서 수동고개까지 도보 30분 소요.

 

전철 망우역(전철 중앙선 환승)에서 운행하는 경춘선 이용, 마석역 또는 청평역 하차. 마석에서 비금리행 330-1번, 청평에서 현리행 버스로 갈아탄다.

 

택시 마석택시 031-593-0250, 청평 동운택시 582-2416.

 

 

맛집

 

■음현2리 방면 안암절터에 있는 산꼭대기산장(017-248-7431) 이용.

 

■내촌 방면 내촌파출소 맞은편 삼거리반점(532-2975), 파출소 지난 농협 맞은편 내촌식당(532-2810), 강계식당(532-2478), 내촌초교 방면 은혜분식(532-3898), 제일갈비(532-1623), 꼭지네곱창(531-7714), 고향수산회(531-1580), 누렁이집(533-2946), 베어스타운 방면 토담동치미국수(532-7892), 동해루(532-7522) 등 이용.

 

■신팔리 방면 서파사거리 남단 할머니순두부(533-5479), 내고향 쌈밥(533-1131), 변강쇠해장국(533-9466) 등 이용.

 

■수동고개 방면 불기정상쉼터에서 잔치국수, 감자수제비, 도토리묵, 감자전, 칡즙, 마즙 등을 판다.

 

■내방리 비금계곡 방면 몽골 전통요리 전문 옛고향(592-8801), 오리·백숙 전문 광청성가든(511-6560), 아침햇살민박(591-6994), 비금산장(591-6191), 다락펜션(594-4030), 산마루민박식당(591-3186) 등 이용.

 

산행기

 

1. 베어스타운(포천군)-사기막골-주금산-비금계곡-수동국민관광지(남양주시)

 

1-1)2003.7.30.(수)

나홀로 답사

 

베어스타운11:54/12:09-주금산정상14:16/14:57-비금리 비금계곡15:31/17:17

 

1-2)2014.6.22.(일)

참석자 : 산천사 회원 4명(벼리, 청실홍실, 넝쿨, 나)

 

동암역06:28(06:27)-신도림역06:52/06:58-(잠실방향)-강변역07:40/08:59-(11번 내촌행)-베어스타운 버스정류장10:20/10:21-(베어스타운)-등산로입구10:53-(03-01)계곡쉼터(≒324, 1.65, ↑정상1.85,→실버타운0.77,↓베어스타운0.6)11:05/11:30-(2‧2)베어스타운정상(정상2.5,베어스타운0.2),(03-02)3거리(↑정상1.75,↖정상1.64,↓베어스타운0.81)11:31-(03-03)이정표(↑정상1.39,↓베어스타운1.17)11:41-(03-04)3거리(↑정상1.0,←정상1.12,↓베어스타운1.56)11:53/11:54-(03-05)이정표(정상0.93)11:57-약수터(≒485, 2.53)12:00/12:13-(03-06)이정표(↑정상0.58,↓베어스타운1.98)12:22-벤치12:33/12:43-벤치12:58/13:03-(03-07)주금산(813.6,≒830, 3.42, ↑베어스타운하산로256,→독바위0.5,↓베어스타운하산로2.45),(1‧6)정상(→독바위0.5,수동고개2.6,←베어스타운정상1.0,개주산4.6)13:08/13:13-헬기장13:14-선바위(전망봉,≒815, 3.87)13:24/13:29-3거리[↑비금리(몽골문화원)4.16,←비금리(몽골문화원)4.19,↓정상0.48]13:30-(직진)-(03-21)갈림길(↑남양주 안암절2.66,→독바위,능골2.72,↓정상0.48)13:31-팔각정,독바위(≒778, 4.05)13:38/15:09(중식)-비금계곡합수곡(↑비금리하산길1.97,←주금산1코스2.48,→주금산2코스2.45)16:09/16:10-몽골문화촌16:53-(330-1번버스)-청량리 모이세횟집18:40/21:54(석식)-청량리역22:16-동암역23:25

(총8km-6시간32분, 순3시간40분)

※모이세활어회세꼬시 02-963-5950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동 741

 

 

2. 비금계곡

 

일자 : 2006.8.13.(일)

 

입산회는 8월13일(일) 정기산행일에 무더위로 인하여 주금산 산행을

포기하고 대신 수동국민관광지 비금계곡에서 피서와 주연을 즐겼다.

 

참석인원 : 강준수,김동호,김성진,김형철,박준상,박중수,석해호,윤희중,

이봉호,이상일,이정용,전경호,조철식,박승훈+2 총16(동기14+동반2)명

 

오전8시17분 330-1번 버스를 타고 청량리역을 출발, 입산회 참석인원

모두 자리에 앉았지만 점차 서서 가는 승객이 늘어나 조금 미안하다.

 

출발 2시간만에 수동국민관광지(남양주시수동면비금리)에서 하차하여

계곡을 따라 오르는데 곳곳이 위락객으로 만원, 빈 자리가 별로 없다.

 

11시경 계곡가에 자리를 잡은 후 4명(김동호,김형철,박중수,석해호)만

산에 오르고 일부는 계곡물에 들어가 더위를 식히는 동안 나머지는

삼겹살을 구워 술을 마시거나 점심을 들며 모처럼의 여유를 즐긴다.

 

오후2시50분 계곡을 떠나 3시25분 버스를 타고 5시 청량리역에 도착.

원조골뱅이집에서 생맥주를 마시며 뒤풀이모임을 갖고 6시30분 해산.

 

3. 불기고개-시루봉-주금산-(왕복)-불기고개

 

일자 : 2022.3.29(화) 주금산 & 축령산

동행 : 나홀로

돌산마루1호주차장07:30-(승용차)-세차07:44/07:47-(승용차)-불기고개(들머리, 404/378.7/404.3)09:54/10:03-헬기장(543/517.5/546.2, 0.461/0.428/0.4)10:31/10:32-시루봉(670,692/667.5/695.3, 1.44/1.386/1.4)11:01/11:04-전망봉(822/796.4/826.9, 2.15/2.064/2.1)11:30/11:33-주금산(813.6,839/817.1/841.2, 2.62/2.541/2.5)11:45/11:57-불기고개(날머리, 414/392.1/414.7, 5.15/5.014/5.0)12:49/13:11-(승용차)-경기도잣향기푸른숲 주차장(들머리, ≒402/378.3/402.8)13:41/13:53-사방댐(≒608/584.2/610.7, 1.48/1.46/1.5)14:26/14:29-전망대(축령산1.3)14:31-절골(절고개, ≒701/675.6/704.6/, 2.04/2.009/2.0)14:43/14:46-축령산(887.1,≒917/893.3/918.7, 2.73/2.682/2.7)15:16/15:37-경기도잣향기푸른숲 주차장(날머리, ≒416/392/415.6, 6.0/5.885/5.9)16:35/16:47-(승용차)-돌산마루1호주차장18:55

(주금산 산행거리 5.2/5.01/5.0km, 산행시간 총2시간46분, 순2시간41분/29분/26분,

 평균속도 1.9/2.01/2.1km/h, 최고고도 842/818/842m, 시작고도/최저고도 404/378m)

(축령산 산행거리 6.0/5.89/5.9km, 산행시간 총2시간42분, 순2시간35분/19분/18분,

 평균속도 2.4/2.53/2.5km/h, 최고고도 918/894/918m, 시작고도/최저고도 404/378m)

 

△불기고개
△등산로입구

 

△주금산 정상

 
 

△불기고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