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여행기/100+(플러스) 명산

68. 전남해남 금강산(2021.11.27)

박연서원 2022. 9. 5. 07:13

금강산 [金剛山] 488/482.7m, 만대산 [萬垈山] 480m

전남 해남군 해남읍, 옥천면

 

 

금강산(金剛山)[488m]은 해남읍의 500여 년의 역사를 지켜 온 해남읍의 진산(鎭山)이다.

해남의 금강산은 마산면의 맹진리와 화내리를 경계짓는 만대산(萬垈山)과 옥천면과 해남읍을 경계짓는 만대산(萬垈山)을 좌우로 거느린 산이다.

 

여기서 만대(萬垈)는 만개의 큰 바위란 뜻이다. 큰 바위를 한자로 대(垈)라 하고, 대를 일반적으로 작은 봉우리로 해석할 수도 있다.

결국 만대(萬垈)를 만봉(萬峰)으로 해석한다면 해남의 금강산은 만대(만봉)를 두개나 거느리는 산이니 봉우리가 이만봉이어서 북한에 있는 금강산의 일만이천봉보다 팔천봉이나 더 많은 해남의 아름다운 명산이다.

 

정상에서 동쪽으로 뻗은 능선위로는 고려시대에 축조한 '금강산성(金剛山城)터'가 약 400m정도의 길다란 돌무더기로 남아있는데 이 산성은 규모가 큰 포곡식산성으로서 현재 해남군의 향토문화유산 제27호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다.

금강산이라는 이름은 "쇠 금(金), 굳셀 강(剛)"자로서, 북한에 있는 금강산과 한자까지도 똑같지만, 그 이름에 대한 정확한 유래는 찾아보기가 힘들다.

 

조선 전기 문신 유희춘(柳希春)[1513~1577]의 호가 미암(眉巖)이다. 유희춘은 해남에 거주하면서 금강산과 어우러진 해남읍의 형국을 선녀가 가야금을 타는 형국으로 보고, 그 선녀의 아름다운 눈썹바위, 미암(眉巖)을 호로 썼다. 우리나라에 불교가 전래된 이후 승려들의 일대기를 기록한 『동사열전』 저자이며, 대흥사 13대강사인 범해각안은 『전라해남금강산은적사적』에서 금강산을 이렇게 예찬하였다. “해남은 뿌리요, 금강산은 꽃이고, 월출산은 열매이니, 해남에 인물이 나오는 땅”이라 하였다

 

해남 금강산과 만대산은 한반도 서남쪽 끝머리에 자리잡은 해남읍을 병풍처럼 두르고 있다. 한양과 멀다는 이유로 이곳은 귀양지로 이름을 날린 고장이다. 그러나 귀양 온 양반들이 심어놓은 문화와 유적은 오랫동안 이어져 유배문화의 본산이 된다. 그 때문인지. 해남의 산들에는 독특한 정서가 스며있어 산을 찾는 이들이 시 한 수를 읊고 싶어진다. 481m의 작은 산이지만 기암과 괴석으로 된 암장들이 포진해 있는 금강산 정상에서는 목포 영산강, 강진 덕룡산, 진도 첨찰산, 완도 상황봉, 영암 월출산, 장흥 제암산, 천관산, 해남 흑석산, 두륜산, 주작산 등 전남의 명산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최적의 산이다.

 

◆ 산행코스 :

1) 한듬어린이집 주차장-미암체육공원-미암바위-금강산-큰민재봉-금강재-만대산-삼봉-금강저수지-금강생태놀이터 (9.86Km)

2) 금강저수지-삼봉-만대산-금강재-금강산-금강저수지

3) 해리-매봉-만대산-금강재-금강산-금강폭포-산성안골-금강저수지-해리 (11km/4시간30분)

 

산행기

 

코스 : 금강저수지-삼봉-만대산-금강산-우정봉-금강저수지 주차장

일자 : 2021.11.27(토) 해남 금강산

동행 : 좋은사람들 28인승 버스 1대 (대장 불암, 기사 7422 강영식)

 

동암역05:40-(급행)-노량진역06:14/06:25-(급행)-고속터미날역06:32/06:37-신사역6번출구06:42/06:57-죽전07:18/07:21-군산휴게소09:32/09:50-금강저수지(≒92/67.6/91.2)12:13/12:20-삼봉(415.2,≒402/377.9/406.9, 1.37/1.327/1.3, ↑만대산1.5,금강산5.2,↓금강저수지1.2)12:54/13:00-돌탑3거리(↑만대산1.4,→우슬경기장0.5,↓금강저수지1.3)13:03-3거리(↑만대산1.1,→우슬경기장0.6,↓금강저수지1.6)13:11-헬기장(420, ↑만대산1.0,→우슬경기장1.0,↓금강저수지1.7)13:11-이정표(↑금강재삼거리2.4,만대산0.7,↓금강저수지2.0)13:17-삼형제바위13:21/13:22-만대산,목조데크(493.1,≒525/502.2/526.8, 3.14/3.063/3.0, ↑금강산3.7,금강재삼거리1.7,↓금강저수지2.7)13:40/14:17-금강재3거리(↑금강산2.0,←주차장2.0,↓만대산1.7,삼봉3.9)14:39-능선봉(≒416/388.8/417.8, 5.64/5.522/5.5)14:50/14:51-2봉(≒451/423.9/452.9, 5.98/5.863/5.8)14:58/15:00-삼봉(≒451/428.5/452.3, 6.06/5.938/5.9)15:01/15:04-헬기장(≒499/474.1/498.6, 6.76/6.633/6.6, ↖팔각정자1.8,금강산0.4,↓금강재3거리1.7,쉼터1.1)15:18/15:21-3거리(↑금강산0.2,←우정봉3거리0.3,↓금강재3거리1.9)15:23-금강산3거리(↑금강산0.1,←주차장2.0,↓헬기장0.3,금강재3거리2.0,만대산3.7)15:26-금강산(488,≒520/495.4/520.6, 7.19/7.056/7.0)15:30/15:38-금강산3거리(↑헬기장0.3,금강재3거리2.0,만대산3.7,→주차장2.0,↓금강산0.1)15:40-(우)-금강산성터-이정표(↑주차장1.6,팔각정자1.3,미암바위0.9,↓금강산0.5,금강샘0.1)15:50-3거리(↑팔각정자1.3,←우정봉0.8,주차장1.7,↓금강산0.6)15:51-(좌)-우정봉(牛頂峯, 309.5,≒336/312.5/336.8, 8.9/8.725/8.7)16:05/16:10-임도3거리(←만대산2.5,금강재3거리1.8,쉼터1.5,→주차장0.2,↓금강산2.1,우정봉3거리0.8)16:25-금강저수지 주차장(≒99/74.0/100.5, 9.62/9.366/9.3)16:28/16:56-정안휴게소19:45/20:00-신사역6번출구21:26-닭한마리감자탕21:30/22:44(석식:닭한마리)-신사역6번출구22:49-고속터미날역22:52/22:57-(급행)-노량진역23:04/23:14-(급행)-부평역23:44/23:48-간석오거리역23:53

(산행거리 9.7/9.37km, 산행시간 총4시간8분, 순3시간36분/15분,

 평균속도 2.7/2.87km/h, 최고고도 527/503m, 시작고도 91m, 최저고도 64m)

※닭한마리감자탕 신사본점 02-515-5220 서울 강남구 강남대로152길 14 (신사동 513-2)

 

△삼봉
△만대산
△금강산
△금강산성터
△우정봉
△신사동 닭한마리감자탕 석식(닭한마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