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상데미 [天上데미] 1055/1075/1080m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 장수군 장수읍
전북 임실군 관촌면 사선대. 섬진강을 이루는 하천변에 형성된 평탄지형으로 신선 4명이 어울렸다는 전설이 전해온다.
섬진강은 백두대간의 영취산장수군에서 서쪽으로 뻗은 산줄기인 금남호남정맥 영취산 주화산에 위치하는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 신암리 데미샘에서 시작하여, 전북, 전남, 경남의 3개도를 흘러 남해로 유입되는 하천이다. 금남호남정맥장수군진안군을 경계로 북쪽으로 흐르는 물은 금강으로, 남쪽으로 흐르는 물은 섬진강으로 흐른다.
데미샘이라는 이름은 위쪽 봉우리의 천상데미(1,080m)에서 유래했는데, 데미는 ‘더미봉우리’라는 전라도 사투리이다. 천상데미에서 시작된 물은 너덜바위를 거쳐 데미샘(850m)에서 표출된다.
백두대간은 전라북도와 경상남도와 경계를 이루는데 백두산지리산, 소백산맥, 이 중 장수군의 영취산(1,075.6m)에서 서쪽으로 진안군 주화산(565m)까지의 산줄기를 금남호남정맥이라고 한다. 다시 진안군 주화산에서 북쪽으로 부여 낙화암까지를 금남정맥, 주화산에서 남쪽으로 광양의 백운산까지를 호남정맥이라고 한다.
섬진강의 시작 지역은 동쪽으로는 백두대간, 북쪽으로는 금남호남정맥, 서쪽으로는 호남정맥으로 둘러싸여 모인 물이 남쪽으로 흐르는 것이다. 즉, 영취산과 주화산을 연결하는 금남호남정맥은 북쪽의 금강과 남쪽의 섬진강을 가르는 분수계를 이루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곳이 장수군 장수읍의 수분리(水分里)이다. 이곳에서 금강과 섬진강이 나뉘어진다. 전라북도에서 섬진강 지역은 전북의 동남부에 해당하는 진안군 백운면, 마령면, 성수면, 장수군 번암면, 산서면, 임실군, 순창군, 남원시 지역으로 섬진강의 상류에 해당한다.
이 후 섬진강은 전라남도와 경상남도의 경계를 이루면서 212km를 흘러 남해로 유입된다.
섬진강은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다가 고려 말 전남 광양시 진상면 섬거에 왜구가 침입하자1385년, 수 만 마리의 금두꺼비가 강변에 나와 울어대어 왜구를 물러가게 했다는 전설에서 섬진강(蟾津江) 두꺼비 섬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데미샘에서 시작한 섬진강은 진안군 백운면과 마령면을 흘러 임실군 관촌면 사선대를 지나 오원천, 섬진강댐으로 유입된다. 이 후 갈담천과 구림천, 오수천과 합류하고 전북과 전남의 경계를 이루다가 남원시 송동면에서 남원에서 흘러 온 요천과 합류한다.
섬진강이 흐르는 지역은 산간지역이기 때문에 물이 풍부하여, 섬진강 상류에 섬진강댐을 만들어 서쪽의 동진강으로 흐르게 하는 유역변경을 통해, 낙차를 이용한 수력 발전운암 발전소, 칠보 발전소가 동진강 유역 호남평야에 농업용수를 공급하고 있다. 특히 김제시 광활 간척지와 부안군 계화도 간척지는 이 물의 공급으로 간척사업이 가능했다. 현재는 새만금 간척사업에도 중요한 수원이 되고 있다.
전라북도의 섬진강 구간은 상류에 해당하기 때문에 특이한 지형들을 많이 볼 수 있다. 먼저, 데미샘에서 시작된 섬진강은 마령면에서 마이산에서 흘러온 물과 만나게 된다. 마이산(馬耳山)은 두 개의 봉우리 즉, 암마이봉(685m, 서봉)과 숫마이봉(680m, 동봉)이 마치 말의 귀처럼 생겼다는데서 유래했다.
마이산은 약 1억년 전에 형성된 호수에 다양한 크기의 자갈과 모래가 퇴적되고, 약 7천만년 전 중생대 후기인 백악기의 지각변동으로 암석화되었다. 이 후 오랜 세월 동안 주변의 화강편마암이 풍화와 침식을 받아 없어지고, 지하에 있던 단단한 역암층 모래와 자갈을 시멘트로 굳혀 놓은 것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진 마이산 역암층이 지상에 노출되어 나타난 모습이다.
마이산에는 지름이 수cm 또는 수m 크기의 구멍이 많이 보이는데, 이것은 모래와 자갈로 이루어진 역암층에서 풍화작용과 얼음의 쇄기 작용에 의해서 자갈이 빠져나간 구멍이다. 이것을 타포니(Tafoni) 또는 풍화혈이라고 하는데, 지금보다도 추웠던 환경에서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서 빠져나온 자갈을 활용하여 만들어진 것이 유명한 마이산 돌탑이다. 진안군 성수면 좌포리에는 풍혈냉천(風穴冷泉)이 있다. 풍혈(風穴)은 여름에 찬바람이 나오는 곳이고, 냉천(冷泉)은 여름에 시원한 물이 나오는 곳이다. 일명 얼음골이라고도 하는데, 이곳은 과거 추웠던 주빙하기후 시기에 절벽에서 떨어져 내린 바위와 암석이 쌓여 형성된 곳이다. 찬바람과 냉천이 만들어지는 이유는 산 정상 부분의 물이나 공기가 암석의 틈을 따라 아래의 기반암까지 수직으로 내려가고, 땅 속이기 때문에 온도가 낮게 되는 것이다.
이곳의 동굴 내부는 4℃ 정도로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마을 주민들은 우뭇가사리 공장과 누에 보관소 또는 여름철 김치저장소로 이용하였다.
임실군 관촌면에는 사선대(四仙臺)가 있는데, 이곳은 하천변에 형성된 평탄지형이다. 4명의 신선이 어울렸다고 해서 사선대라고 불리는데, 이곳은 과거 하천이 흘렀으나 지금은 유로 변경에 의해 퇴적이 이루어진 지역으로 과거 하천이 흘렀던 흔적인 구하도가 호수 형태로 남아 있다. 지금은 아름다운 풍광으로 유원지와 체육공원으로 이용되고 있다.
남원의 광한루 역시 과거 하천이 흘렀다가 유로 변경에 의해 형성된 곳이다.
임실군 덕치면 천담리와 순창군 동계면 구미리 사이의 계곡지역인 장구목은 섬진강이 만들어 놓은 다양한 형태의 바위가 있고, 이 중 대표적인 것이 요강바위깊이 2m, 무게 15톤이다. 이것은 하천의 바닥을 이루는 기반암의 약간 파인 부분에 자갈이 들어가고, 흐르는 물에 의해 이 자갈이 회전하면서 구멍이 점점 넓고 깊게 파여 마치 항아리와 같이 속이 깊고 넓은 모습을 하고 있다. 이것을 포트홀(Pothole)이라고 한다.
이러한 지형은 물길이 좁아진 협곡에서 많이 형성되는데, 장구목에는 다양한 형태의 포트홀을 볼 수 있다. 요강바위는 1993년에 도난당하기도 했으나, 1995년 다시 제 위치에 놓이는 수난을 겪기도 했다.
섬진강에는 강물을 농업용수로 사용하기 위해서 하천에 보(洑)를 축조하고, 이 물을 농수로를 통해서 농경지까지 공급하는 조선시대 수리체계의 흔적이 남아있다. 임실군 관촌면에는 1700년대에 축조된 것으로 보이는 방수리보, 이십리보(1508년), 신평면의 대리보(1484년), 강진면의 서리보, 덕치면의 설보(1639년), 순창군 동계면의 설탄보(1736년) 등이 있다.
특히 보에서 농경지까지 물을 이동시키는 수로축조에서 누수로 인하여 많은 어려움을 겪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그 흔적으로 설보(雪洑) 전설이 남아 있다.
순창군 풍산면 대가리 섬진강변에는 철도교량과 철도터널이 남아있어 섬진강과 함께 유원지로 활용되고 있다. 항가유원지. 이 시설은 호남선의 송정리역과 전라선의 남원 금지역을 연결하려는 몇 차례의 시도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다. 1922년에 시작된 공사는 중단되고 1944년 일부 구간을 제외하고 철거하여 공출함으로서 폐선이 되었다. 이곳의 터널과 교량은 이 당시에 만들어진 것이다. 1965년에도 이 노선을 연결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중단되었다.
현재는 섬진강과 철도교량, 철도터널 그리고 숙박 및 야영시설을 갖춘 유원지로 활용되고 있다.
섬진강댐과 유역변경식 발전 섬진강댐은 1928년에 만들어진 운암제높이 33m의 하류인 임실군 강진면 용수리와 정읍시 산내면 종성리 사이를 막은 콘크리트 중력식 댐이다. 1965년에 완공되었으며, 댐의 높이는 64m, 제방 길이는 344.2m, 저수용량은 4억 6,600만 톤이다.
섬진강댐에 저장된 물은 3개의 터널을 통해서 노령산맥을 넘어 서쪽의 동진강으로 유역을 변경하여 호남평야에 농업용수로 공급하고 있다. 섬진강의 물은 정읍시 산외면 종산리 팽나무정으로 759m의 터널을 통해 이동하고 있으며, 1931년에는 운암발전소(1985년 폐쇄)를 만들어 전기를 생산하고 이 물은 다시 농업용수로 공급되었다. 그리고 1945년에는 칠보발전소를 건설하고 6,215m의 터널을 뚫어 수력발전과 농업용수로 공급하고 있다. 섬진강댐에서 서쪽의 동진강으로 유역변경된 물은 호남평야와 김제 광활 간척지 그리고 계화도 간척지에 공급되고 있다. 특히 계화도 간척지에는 섬진강댐으로 인해 발생한 수몰민 2000여 세대가 정착하였다.
산행코스 : 차고개(자고개)-합미성-팔공산-서구이재-데미샘갈림길-천상데미-오계재-와룡자연휴양림
산행기
코스 : 자고개-팔공산-천상데미봉-데미샘-오계치-와룡자연휴양림
일자 : 2021.10.11(월) 장수 팔공산+천상데미 (종일 비)
동행 : 좋은사람들 25인승 버스 1대 17명(대장 라이언, 부자관광 3357 민영기기사)
동암역05:40-(급행)-신도림역06:05/06:10-사당역1번출구06:28/06:50-양재역07:00/07:01-금산인삼랜드휴게소08:47/09:09-자고개(≒687/685.9/687.5)10:02/10:07-이정표(↑팔공산2.89,↓자고개0.22)10:14-이정표(↑팔공산2.68,↓자고개0.32)10:16-삼거리(→팔공산1.59/1.69,←대성리 금평마을1,45/1.5,↓합미산성0.22,자고개1.52)10:42-이정표(↑팔공산0.91,서구이재3.43,↓자고개2.19)11:02—이정표(↑팔공산0.39,서구이재2.91,↓자고개2.71)11:13-절고개3거리(→서구이재2.4,←필덕마을3.8,↓합미산성1.9)11:25-(우)-팔공산(≒1160/1161/1164.9, 3.17/3.088/3.1)11:30/11:39-통신탑,팔공산입구3거리(↑서구이재2.53,↓자고개3.09,대성리3.2)11:40-이정표(→오계치5.7,↓자고개3.11)11:40-헬기장(≒1151/1150.6/1151.8, 3.48/3.404/3.4)11:44/11:49-이정표(↑서구이재1.72,↓팔공산0.82)11:59-이정표(↑서구이재1.25,↓팔공산1.29)12:10-이정표(↑오계치3.95,와룡휴양림4.67,→서구이재0.26,↓팔공산2.28)12:26-이정표(←삿갓봉4.48,→서구이재0.2,↓팔공산2.48)12:31-고개(≒1089/1087.1/1089.3, 7.84/7.706/7.7)13:10/13:16-데미샘갈림길(≒1099/1094, 7.9/7.87, ↗천상데미봉0.4,오계치1.53/1.56,삿갓봉2.35,선각산3.61,↖데미샘0.67,↓서구이재2.63,팔공산4.47)13:20-천상데미봉(≒1117/1116/1118, 8.4/8.265/8.2, ↑오계치1.18,삿갓봉2.0,↓서구이재2.98)13:30/14:08-데미샘갈림길14:14-이정표(↑데미샘0.2,↓천상데미0.47)14:23-데미샘(섬진강발원지)14:29/14:32-오계치갈림길14:40-(우)-헬기장3거리(↑오계치,←관리사무소1.47,↓데미샘0.92)14:53/14:55-오계치(≒902/902.4/901.6, 10.51/10.349/10.3, ↑와룡휴양림2.1,←마이산17.7,성수산7.9,→팔공산5.7,↓데미샘휴양림1.7)14:58/15:03-이정표(↑와룡휴양림1.7,↓오계치0.43,팔공산6.14)15:10-정자,삿갓봉등산로입구(↓삿갓봉1.4)15:15-와룡자연휴양림15:15/15:35-중상마을농특산물판매장 주차장(≒543/541.9/543, 13.06/12.879/12.8)15:40/16:01-신탄진휴게소17:25/17:42-양재역12번출구19:14/19:20-고속터미날역2번출구19:27-터미날내 식당19:35/20:40(석식)-고속터미날역20:48-신사역5번출구20:51-신사호프21:00/22:00-신사역5번출구22:13/22:16-고속터미날역22:20/22:32-노량진역22:39/22:56-(급행)-동암역23:35
(산행거리 13.1/12.88/12.8km, 산행시간 총5시간33분, 순4시간50분/41분/37분,
평균속도 2.7k/2.75/2.8m/h, 최고고도 1165/1163/1164m, 시작고도 685m, 최저고도 540m)
※신사호프 02-544-4626 서울 서초구 나루터로 79 (잠원동 14-13) 신사역 5번출구
'산행‧여행기 > 100대 명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1. 전북장수/경남함양 백운산(2012.12.29) 월간산 100명산 (1) | 2023.05.15 |
---|---|
140. 경남거제 계룡산(2021.11.28) 월간산 100명산 (1) | 2023.03.03 |
138. 전북남원 천황산(만행산, 2021.5.30) 월간산 100명산 (0) | 2021.11.08 |
137. 충남금산 진악산(2021.2.11 & 4.18) 월간산 100명산 (0) | 2021.11.03 |
136. 경남밀양 천황산(2015.10.22) 월간산 100명산 (0) | 2021.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