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서도 [麗瑞島] 여호산(余湖山) 352m
전라남도 완도군 청산면 여서리
여서도는 전라남도 완도군 청산면에 딸린 섬으로 동경 127°55′, 북위 33°59′에 위치하며 면적 2.51km2, 해안선 길이 10km, 최고점은 362m(큰산). 인구는 48가구 84명(2010년)이다.
대륙의 끝 그 너머에 바다가 있고 그 바다 위에는 섬이 있다. 한반도의 남서쪽 끝자락, ‘섬의 바다’ 다도해에서도 신안군 72개 다음으로 섬이 많은 곳. 바로 완도다. 265개 섬들 중 55개 섬에는 사람이 살고 나머지는 인적이 없는 무인도다. 완도는 전에는 뱃길을 따라가야 했는데 이제 대교 하나만 건너면 쉽게 육지에서 닿을 수 있다. 완도교를 지나 청해진에 닿으면 해상왕 장보고의 흔적들도 찾아볼 수 있다. 「어부사시사」로 유명한 윤선도의 유적지 보길도와 아시아 최초로 슬로시티로 지정된 청산도까지 완도에는 볼거리가 넘쳐 난다.
특히 완도 선착장에서 배로 세 시간 정도 거리인 완도 최남단의 섬 ‘여서도(麗瑞島)’는 하루에 배가 두 번밖에 닿지 않는 자연의 풍광을 그대로 지닌 섬이다. 긴 세월 거친 바닷바람에 맞서기 위해 담의 높이가 지붕의 처마까지 닿는 이곳은 대자연 속에서 이어 온 인간의 끈질긴 삶의 흔적들이 곳곳에 흩어져 있다.
지도에도 없는 섬, 여서도는 면적 2.51km2, 해안선 길이 10km로 40여 가구 84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 완도에서 남동쪽 41km 거리에 있으며 제주도와 중간 지점에 위치해 있는 외딴섬이다. 일제 강점기에는 ‘태랑도(太郞島)’라 불렀으나 1945년 이후에 ‘천혜의 아름다운 섬’이라는 뜻에서 여서도로 불리게 됐다. 1950년대에는 최대 240여 가구 1,200명이나 살았고, 1968년도만 해도 여서초등학교의 학생수가 180명이나 됐다.
서도는 외딴섬이라서 그전에는 왜구들의 침범이 심했을 것이다. 근세에 사람이 다시 들어와 살기 시작한 것은 1690년대이다. 임진왜란이 일어난 지 100년 가까이 지난 다음에 진주 강씨가 여서도에 처음 발을 디딘 것이다.
‘아름답고 상서롭다’는 뜻의 여서도는 아직까지도 때 묻지 않은 천혜의 아름다움을 간직한 섬이다. 특히 30~40m 깊이의 바닷속이 훤히 보일만큼 맑아서 “여서도로 시집가던 새색시의 앞섶이 풀어지며 옷고름이 바닷물에 빠져 황급히 들어 보았더니 옥색으로 물들어 있더라”라는 이야기가 전해질 만큼 물이 깨끗한 섬으로 알려져 있다.
이곳의 어종과 동식물은 보호할 가치가 많은 곳이기도 하다. 제주도 특산물인 자리돔(생이리)이 완도에서는 유일하게 이곳에서 잡히고 있다. 주민들의 생계 수단은 대부분 농업과 어업을 겸한다. 농산물로는 고구마·쌀·보리·콩·참깨 등이 소량 생산된다. 근해에서는 도미·숭어·도다리 등이 잡히며, 자연산 돌미역·해삼·전복 등이 채취된다. 여서도 해녀들이 주로 채취하는 것은 미역·소라·전복·해삼 등. 특히 여서도의 자연산 돌김·김·톳·미역·파래는 육지 가까운 데서 양식한 것과는 색깔과 맛이 다르다. 그리고 여서도의 자연산 해초는 최상급으로 그중에서도 봄에 처음 따는 미역인 초각은 맛이 좋기로 유명하다.
여서도는 완도 섬들 가운데 남쪽으로 가장 바깥쪽에 청산도와 제주 추자도 중간에 있다. 직선거리로 제주까지 약 40km이며 완도까지는 41km, 여수의 거문도까지는 30km이다. 지금 이 섬에는 제주도 출신 아낙네들이 몇 명 있다. 여서도와 제주도가 가깝다 보니 이곳으로 물질을 왔다가 여서도 총각과 눈이 맞은 것이다. 제주도 해녀들이 한번 물질을 오면 계약 기간 때문에 오랜 기간 머물러야 했다. 또 돌아가고 싶어도 여객선도 없고 지금처럼 빨리 달리는 배가 아니어서 마음대로 섬을 떠날 수도 없었을 것이다.
배시간표 (해광운수 061-555-9088) 2시간50분 소요
완도-여서도 (섬사랑7호) 동절기 14:50/18:00, 하절기 15:00/18:10
여서도-완도 (섬사랑7호) 10:00/13:00, 요금 8,800원
완도-청산도 07:00/07:50, 청산도-여서도 08:30/09:50
여서도-청산도 07:00/08:20, 청산도-완도 15:00/15:50
산행코스
1)들머리(보건진료소)-(1.8㎞)-봉화대-(0.56㎞)-여호산 정상-(0.55㎞)-사형제바위-(1.4㎞)-무인등대-(0.8㎞)-들머리 (5.11㎞/3시간)
2)등산로입구(여서도교회)-무인등대-사형제바위-여호산 정상-봉화대-쥐치(헬기장)-여서보건진료소-등산로입구(여서도교회) (5km/2시간30분)
산행기
전남 신안군 만재도, 완도군 여서도, 고흥군 천등산 산행
기간 : 2021.3.28(일)-4.1(목) 4박5일
동행 : 나홀로
교통편 : 승용차(SUV)
여서도 여호산 산행
코스 : 소라민박-무인등대-사형제바위-여호산-봉화대-쥐치-보건소-소라민박
일자 : 2021.3.31(월)
3/30(화)
기상05:50-조식06:10/06:30-만재도선착장08:30/09:00-(뉴퀸호)-목포여객선터미날11:27/11:30-목포항 무료주차장11:37/11:52-완도여객선터미날13:25-해궁횟집13:40/14:02(중식:꼬막비빔밥)-완도연안여객선터미날14:05/14:47(14:50)-(섬사랑3호)-여서도선착장17:20/17:23-소라민박17:29-석식17:50/18:30-산책18:35/20:00
※해궁횟집 061-554-3729 전남 완도군 완도읍 장보고대로 340
소라민박 010-7466-4421 전남 완도군 청산면 여서도31번길 6
3/31(수)
기상05:45-숙소출발(≒39/41.6/39.7)04:59-등산로입구(↑무인등대0.8,사형제바위2.2,여호산정상2.75,봉화대3.31)05:00-기점05:02-무인등대삼거리(→무인등대0.4,←사형제바위0.93,봉화대1.9,정상요망대2.0)05:13/05:14-(우)-홋깨(개)잔둥(↑무인등대75m,↓사형제바위1.0,봉화대2.0,정상요망대2.1)05:15-무인등대(≒128/128.3/129, 0.622/0.597/0.6)05:17/05:21-홋깨(개)잔둥05:25-무인등대삼거리05:28-사형제바위(≒289/286.9/289.4, 1.85/1.786/1.9, ↑여호산0.55,봉화대1.0,정상요망대1.1,↓무인등대1.4,여서항2.2)05:59/06:03-돌탑06:20-여호산정상(≒376/378.7, 2.64/2.092/2.8, ↑봉화대0.56,↓사형제바위0.55)06:24/06:37-봉화대(≒380/383.6, 3.14/2.092/3.4, ↑여서항1.8,↓여서산정상0.56)06:45/06:50-헬기장,쥐치(↑탐방로종점0.49,돌담마을0.5,여서항0.7)07:04/07:07-여서도 당제07:16-이정표(↑돌담마을50m,여서항0.36)07:20-큰샘(우물)07:21-여서도민박,보건소09:15-숙소(≒35/36, 4.96/5.3)07:24-조식07:50/08:20-숙소출발09:28-여서도선착장09:32/10:14-(섬사랑3호, 청산도)-완도연안여객선터미날13:00/13:15-다도해해상국립공원 정도리탐방지원센터13:25/13:34-고금면소재지주차장14:04-샤브랑고기랑14:12/14:45(중식:곰탕)-주차장14:46/14:49-장흥IC15:38-보성녹차휴게소15:57/16:17-벌교IC16:24-형제섬일몰전망대,형제섬농원펜션17:09/17:10-나로도연안여객선터미날17:26-진보각 체크인18:10-숙소(진보각)18:40/20:40(석식:광어회,유부초밥)-취침21:00
(산행거리 5.0/4.88/5.4km, 산행시간 총2시간25분, 순2시간5분/9분/7분,
평균속도 2.4/2.26/2.6km/h, 최고고도 380/381m, 시작고도 41m, 최저고도 25m)
※샤브랑고기랑 061-552-5110, 010-3608-4080
전남 완도군 고금면 고금로 594-5 (농상리 443-7)
진보각 061-833-9929 전남 고흥군 봉래면 축정2길 103 (신금리 1000-13)
▼3월30일(화)
▼여서도
▼3월31일(수)
'산행‧여행기 > 섬(BAC 섬&산100+)'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1. 전남여수 거문도(2021.5.9) (0) | 2021.07.14 |
---|---|
경남하동 대도 [大島] (2021.3.13) (0) | 2021.05.17 |
99. 전남신안 만재도(2021.3.29) (0) | 2021.05.03 |
98. 인천옹진 연평도(2020.12.7) (0) | 2020.12.22 |
97. 인천옹진 백아도(2020.11.10) (0) | 2020.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