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음악감상실

모차르트 / 대관식 미사

박연서원 2018. 2. 22. 07:44

'Krönungsmesse (Coronation Mass)' in C major, K.317

모차르트 / 대관식 미사

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


Complete

Anna Tomowa-Sintow, soprano

Agnes Baltsa, counteralto

Werner Krenn, tenor

Jose van Dam, bass

Wiener Singverein Chor

Herbert Von Karajan, cond.

Berliner Philharmoniker


Kyrie 0:00

Gloria 2:58

Credo 7:33

Sanctus 13:50

Benedictus 15:42

Agnus Dei 19:18

Joan Rodgers, soprano

Elisabeth von Magnus, alto

Josef Protschka, tenor

Laszlo Polgar, bass

Arnold Schoenberg Chor

Concentus Musicus

Nikolaus Harnoncourt, cond.


00:01 Kyrie

02:55 Gloria

07:23 Credo

14:01 Sanctus

15:46 Benedictus

18:55 Agnus Dei

Barbara Schlick, soprano

Elisabeth von Magnus, alto

Paul Agnew, tenor

Matthijs Mesdag, bass

Ton Koopman, cond.



1. Kyrie - 주여 우리를 불쌍히 여기소서


Emma Kirkby, soprano

Catherine Robbin, mezzo-soprano

John Mark Ainsley, tenor

Michael George, bass

Winchester Cathedral Choir

Christopher Hogwood, cond.

The Academy of Ancient Music


Wiener Sängerknaben


Herbert Von Karajan, cond.


전주 없이 바로 합창이 엄숙한 가운데 시작된다. 한국개교회의 예배에서는 별로 찾아 볼 수 없으나 한국 장로교회 예배의 근간을 이루는 스코틀란드 장로교회의 예배에서 참회의 기도가 이 부분에 해당된다. 하느님 앞에 죄인일 수 밖에 없는 우리들이 주님께 은혜를 구하는 가사로 되어있다. 소프라노 솔로에 이은 4중창은 이 곡 전체의 주제라고 볼 수 있는 멜로디를 제시하고 있으며 특히 마지막 곡인 아뉴스데이의 중창과 합창에서 재현된다.


2. Gloria -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께 영광


Emma Kirkby, soprano

Catherine Robbin, mezzo-soprano

John Mark Ainsley, tenor

Michael George, bass

Winchester Cathedral Choir

Christopher Hogwood, cond.

The Academy of Ancient Music


Barbara Bonney, soprano

Catherine Wyn Rogers, mezzo-soprano

Jamie MacDougall,countertenor

Stephen Gadd, baritone

Trevor Pinnock, cond.

English Concert


Wiener Sängerknaben


Herbert Von Karajan, cond.


미사에서 송영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삼위일체의 하느님을 찬송한다. 장엄하고 우렁찬 합창이 1곡 키리에에 연결되어 연주된다. 하느님의 위엄과 공의가 장대한 선율과 합창 속에 울려 퍼지며 또한 하느님의 사랑이 아름답고 부드러운 멜로디로 간간히 엮어진다. 마지막 부분은 장대한 아멘송으로 이루어져 있다.


3. Credo - 내가 주를 믿나이다


Emma Kirkby, soprano

Catherine Robbin, mezzo-soprano

John Mark Ainsley, tenor

Michael George, bass

Winchester Cathedral Choir

Christopher Hogwood, cond.

The Academy of Ancient Music


Wiener Sängerknaben


Herbert Von Karajan, cond.


매주일 고백하는 사도신경을 가사로 노래하는 부분이다. 모두가 한 하느님을 고백하는 것을 상징하듯 제창으로 노래하는 부분이 많으며 주께서 십자가에 달리사 고난 받으시고 죽으시는 장면을 빼고는 시종 박력 있고 바른 페시지로 되어있다. 전체 곡 중 이 곡이 가장 길고 규모가 큰 합창곡으로 되어 있으며 소프라노 솔로와 이중창이 중요한 부분에 나타난다.


4. Sanctus - 하나님은 거룩하시다


Emma Kirkby, soprano

Catherine Robbin, mezzo-soprano

John Mark Ainsley, tenor

Michael George, bass

Winchester Cathedral Choir

Christopher Hogwood, cond.

The Academy of Ancient Music


Wiener Sängerknaben


Herbert Von Karajan, cond.


성찬예식 시작에 주로 불리어지는 곡으로 우리말로 구태여 번역하면 거룩송이 된다. 거룩이라는 가사를 빼면 나머지는 글로리아에 나오는 가사와 거의 같다. 느리고 장엄하게 시작되는 첫 부분과 경쾌한 호산나 찬송을 노래하는 두번째 부분으로 나뉜다. 비교적 짧은 곡으로 되어있으며 두번째 호산나 찬송부분은 다음 곡인 베네딕투스에 다시 나온다.


5. Benedictus - 복 있도다 주님의 이름으로 오는 자


Emma Kirkby, soprano

Catherine Robbin, mezzo-soprano

John Mark Ainsley, tenor

Michael George, bass

Winchester Cathedral Choir

Christopher Hogwood, cond.

The Academy of Ancient Music


Wiener Sängerknaben


Kathleen Battle, sop.

Gösta Winbergh, tenor

Rudolf Scholz, tenor

Herbert Von Karajan, cond.

Wiener Philharmoniker

Wiener Singverein


미사의 축복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아름다운 전주와 4중창 선율이 우리를 감동시키며 중간중간 상투스에서 나온 호산나 찬송 부분이 등장한다.


6. Agnus Dei - 세상 죄를 지시는 하나님의 어린 양


Emma Kirkby, soprano

Catherine Robbin, mezzo-soprano

John Mark Ainsley, tenor

Michael George, bass

Winchester Cathedral Choir

Christopher Hogwood, cond.

The Academy of Ancient Music


Wiener Sängerknaben


Kathleen Battle, sop.

Herbert Von Karajan, cond.

Wiener Philharmoniker

06/29/1985.


역시 성찬예식에서 주님의 고난을 노래하는 곡이다. 곡 처음 부분에 나오는 느린 소프라노 솔로는 이 곡의 그 어느 부분보다도 아름다운 선율을 이루고 있다. 후반에는 이 곡 전체를 끝내는 강렬한 합창이 전개되는데 처음 곡 키리에에서 보여준 선율이 재등장한다.


잘츠부르크 콜로레도 대주교


모차르트의 대관식 미사곡은 총 19개의 미사곡 중에서 16번째의 작품이다. 미사에는 두 종류가 있는데 하나는, 미사 통상문<매 주일 같은 가사로 노래 되는 부분>이며 다른 하나는, 미사고유문<매 주일 다른 가사로 노래되는 부분>으로 나뉘어진다. 대관식은 미사통상문이며 여섯 곡으로 4부 합창(S.A.T.B.)과 4부 솔로(S.A.T.B.)로 구성되어 있다.


미사곡은 원래 가톨릭 음악이었지만 지극히 예전적인 음악이어서 개신교에서도 많이 연주되고 있으며 교리에 어긋남이 없음을 밝혀두고 있다. 번역에 있어서도 원문을 그대로 인용함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특히 Credo<신앙고백>부분은 개신교의 사도신경 원문을 채택했니다.

여기에서의 대관식 미사곡은 "미사통상문"을 위한 작품이다. 미사곡은 직접 미사를 위한 작품이 있을 수 있지만, 우리가 작품으로서 들을 수 있는 예술적 가치가 있는 미사곡도 있는데 이 대관식 미사곡은 구노의 "장엄미사"와 견줄만한 대곡이다.

모차르트의 20곡에 달하는 미사곡 중 가장 잘 알려진 작품으로 1779년 잘쯔부르크 근교의 마리아 프라인 교회의 성모상의 대관식을 위해 작곡되었다. 축일의 미사곡답게 밝고 기쁨에 찬 작품이다. 슬픈 키리에, 화려하고 힘찬 글로리아, 4중창의 서정적인 베네딕투스, 또 <피가로의 결혼> 제3막에서 백작 부인의 아리아 첫 부분과 닮은 소프라노 독창이 나오는 아뉴스 데이가 좋다.

모차르트는 19곡의 미사곡을 남겼으며 그 중 16번째로 작곡한 대관식 미사는 그의 나이 23세에 잘츠부르크에서 완성되었다. 어떤 모차르트 해석가는 그의 나이 25세에 황혼의 삶을 느꼈다고 할 만큼 짧은 생애, 긴 음악이란 말이 어울릴만한 나이에 작곡한 것으로 완성도가 높은 작품이다.

그는 또 이 시기에 잘츠부르크 대사교 궁정 음악가로 봉직했기에 당시의 대부분의 곡이 교회음악으로 작곡되었다. 대관식은 독일과 프랑스 등지의 여행이후에 작곡되었기에 더더욱 힘이있고 규모가 크며 전통적인 교회 양식에 의한 호모포닉 (homophonic -선율과 화성이 서로 뚜렷하거나 음악의 텍스츄어가 화음진행 위주로된 양식) 스타일로 작곡되었다.

원래 미사곡은 Kyrie(키리에), Gloria(글로리아), Credo(크레도), Sanctus(쌍투스), Agnus Dei(아뉴스데이) 5개의 곡들이 항상 들어가는데, 이 작품은 제4곡과 제5곡 사이에 Benedictus(베네딕투스)가 있다. 반면 구노의 "장엄미사"에는 Benedictus(베네딕투스)가 아닌 Offertoire(오페토리아)가 들어있다. Offertoire(오페토리아)라는 것은 '봉헌송'이라 하며 기본적으로 미사곡은 Kyrie(키리에), Gloria(글로리아), Credo(크레도), Sanctus(쌍투스), Agnus Dei(아뉴스데이) 5개의 곡이 항상 기본으로 되어 있다. 거기에 모차르트처럼 Benedictus(베네딕투스)가 들어가든가 구노같이 Offertoire(오페토리아)가 들어가는 것과 같이 작곡가에 따라 조금 다른 부분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