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기타연습실

안동역에서 - 진 성 외

박연서원 2017. 1. 2. 20:01

안동역에서

    작사 : 김병걸

    작곡 : 최강산

    노래 : 진성 <2008年 発表>

안동역에서 / 진성(악보있슴)

 

 

바람에 날려버린 허무한 맹세였나

첫눈이 내리는 날 안동역 앞에서

만나자고 약속한 사람 새벽부터 오는눈이

무릎까지 덮는데 안오는건지 못오는건지

오지않는 사람아 안타까운 내마음만

녹고 녹는다 기적소리 끊어진 밤에

 

어차피 지워야 할 사랑은 꿈이였나

첫눈이 내리는 날 안동역 앞에서

만나자고 약속한 사람 새벽부터 오는 눈이

무릎까지 덮는데 안오는건지 못오는건지

대답없는 사람아 기다리는 내마음만

녹고 녹는다 밤이 깊은 안동역에서

기다리는 내마음만 녹고 녹는다

밤이깊은 안동역에서  

 

 

 

진 성

 

이라희

 

 

금잔디  


 

안동 역사(驛舍) 옆에는 작은 공터가 있고, 거기에는 신라시대에 세워진 오층 전탑과 오래된 벚나무가 서 있다. 이 벚나무가 그 유명한 ‘원이 엄마’ 이기 못지않은 애틋한 사랑의 사연을 간직하고 있어 소개한다.  해방이 되기 전 어느해 겨울 밤, 한 젊은 역무원이 열차에서 내리자마자 정신을 잃고 쓰러지는 한 처녀를 역무실로 업고와 정성스레 간호해 주고 집까지 데려다 주었다고 한다. 
 며칠 뒤 처녀는 감사의 인사를 전하러 그 역무원을 찾아왔고, 그렇게 두 사람의 만남은 시작되었다. 
 당시 역 주변에는 두 사람이 같이 시간을 보낼 만한 이렇다 할 장소도 없고 해서, 늘 오층 전탑 주위를 거닐며 사랑을 나누곤 했다. 그리고 그 옆에 서로의 사랑을 약속하며 벚나무 두 그루를 같이 심었다.  그러다 얼마 쯤 뒤 그는 갑자기 일본 고등계 형사들에게 쫓기게 되었다. 사실 그는 비밀 독립운동단체의 단원이었는데, 그게 그만 일본 형사들에게 알려졌기 때문이었다. 그는 처녀가 걱정할 것을 우려해 ‘같이 심은 벚나무가 죽지 않는 한 자신에게도 별 일이 없을 테니 걱정 말라’는 말을 남기고는 황급히 만주로 떠났다.

그 후 처녀는 수시로 역을 찾아와 전탑 앞에서 간절히 기도를 하며 벚나무를 보살폈다고 한다.  그리고 몇 년 뒤 6·25 전쟁이 일어났고, 피란을 떠났던 그녀는 전쟁이 끝나 고향으로 돌아오자마자 안동역부터 찾았다. 그런데 정말 뜻밖에도 역에는 그가 와 있었다.  
 만주에서 독립군 생활을 하던 그는 해방이 되면서 피치 못할 사정으로
북한군에 편입되었다가 전쟁이 일어나 안동까지 내려오게 되었다고 했다. 그러다 벚나무를 보고는 그녀 생각에 도저히 그곳을 떠날 수가 없어 국군에 투항을 한 후 그녀를 기다렸다는 것이다.  그녀는 너무 기뻐서  눈물을 멈출수가 없었다. 오랜 세월이 지난 지금 어쩌면 고인이 되었을 지도 모를 두 사람의 소식은 알 길이 없다 하지만 그들이 심어놓은 벚나무는 그들의 애틋한 사랑을 말해 주려는 듯 연리지처럼 밑둥치가 하나로 붙은 채 오늘도 푸른 하늘을 향해 가지를 뻗치고 있다.

 



요즘도 이 이야기를 전해 들은 젊은 연인들은 안동역을 찾아 벚나무 앞에서 자신들의 사랑을 맹세하기도 한다. 이처럼 우리 주변에는 잘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들이 많이 있다. 이런 이야기들을 찾아내어 잘 다듬고 알리는 것도 지역의 문화와 관광자원을 더욱 풍성하게 만드는 길이 아닐까 싶다.  
박희채 <소설가·안동역장>(영남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