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음악감상실

생상스 / 오페라 '삼손과 데릴라'

박연서원 2016. 5. 19. 19:16

Opera 'Samson et Dalila'
생상스 / 오페라 '삼손과 데릴라'

Charles Camille Saint-Saëns (1835 - 1921)

 

생상은 평생에 13편의 오페라를 썼으나 오늘날까지 높은 인기를 유지하고 있는 작품은 이 '삼손과 데릴라(프랑스어로는 삼송과 다리라)'뿐이다. 애초에는 구약성서에서 소재를 따다가 멘델스존의 '엘리야'같은 오라토리오로 만들 생각이었다.
그러나 도중에 대본작가의 간절한 권유를 받아들여 오페라로 바꾸어, 헨델, 글룩, 베를리오즈, 베르디의 '아이다' 그리고 바그너의 영향까지도 받아들여 이국적인 색채미의 음악과 요염하고 관능적인 선율을 풍만하게 풍기는 그랜드 오페라를 만들어냈다. 특히 제3막 제2장 다공신전에서 필리스티아인의 잔치 장면에 나오는 발레음악 '바까날(Bacchanale)'은 그 이국 취미의 절정을 이룬다. 

 

제 1막

장소는 다곤 신전 앞에 있는 가자 광장으로, 이스라엘 사람들은 펠리시테 정복자들의 모진 압제에 슬퍼하고 있다. 그러나 삼손은 우리들이 믿는 히브루 신에게 끊임없이 기도하자며 백성들에게 용기와 신념을 북돋아 준다. 그의 설교는 압제자들에게 항거하도록 그들을 일깨우게 된다. 이때 가자의 총독인 아비멜레크가 등장한다. 그는 당신들의 신이 당신들을 노예 상태로부터 구출하는데에 과연 무엇을 했느냐며 조롱한다.
격분한 삼손은 지금이야말로 복수할 시기가 도래했으며 언제나 신의 가호가 함께 할 것이라고 외친다. 뇌성벽력과 함께 히브루인들의 항거가 드세다. 그들의 사기에 놀란 아비멜레크가 삼손을 죽이려 하나 오히려 그의 손에 살해당하고 만다. 다곤의 대사제가 호위병들에 둘러싸여 [영원히 저주받은 민족이여 Maudite jamais soit la race]를 분노로 부른다. 그러나 이스라엘인들의 반항은 노도와 같아 팔리시테 병사들은 도망가기 급급하다.
데릴라가 매혹적인 하녀와 함께 나타나서 온갖 위선적이며 농염한 자태로 경의를 표한다. [나는 승리를 축하하러 왔도다 Je viens c l brer la victoire]를 부르며 히브루의 영웅인 삼손에게 추파를 던진다. 히브루의 장로들은 파멸과 분노의 재앙이 올 것이라고 충고하지만 그의 마음은 봇물터진 둑과 같았다. 펠리시테의 처녀들은 다곤 신전 앞에서 요염한 춤을 추며 히브루인들을 현혹한다. 특히 관능적인 교태로 삼손을 유혹하는 데릴라의 노래는 황홀하기 그지 없다. 그녀는 아리아 [눈을 뜨는 봄 Printempsqui commence]을 부르며 그의 사랑을 기다린다는 내용을 밝힌다. 

 

 

 

 

 

 

'Printemps qui commence'

(눈을 뜨는 봄)

 

Maria Callas, sop.

Georges Pretre, cond.

Orchestre National de la Radiodiffusion Francaise

 

Jamil Maluf, cond.

Orquestra Sinfônia Municipal e Coral Lírico

Printemps qui commence

(눈을 뜨는 봄)

 

제 2막

장소는 데릴라의 집 정원으로, 그녀는 삼손을 기다리며 아름다운 아리아 [내 사랑! 연약한 내 마음에 힘을 주오 Amour! viens aider ma faiblesse]를 부른다. 그때 대사제가 와서 그녀에게 삼손을 배반하여 체포하는 데 일조할 것을 강력히 요구하나, 그녀는 그렇게 재촉하지 말아달라고 요구한다. 그와의 사이에는 이미 처음과 같은 연애 관계가 깨어졌다며 대사제에게 화를 낸다. 대사제는 만약 거사에 성공한다면 보상을 톡톡히 할 것임을 밝힌다. 데릴라는 보상 따위엔 안중에도 없으며, 다만 그를 사랑의 노예로 전락시켜 그의 초인적인 힘의 비밀을 꼭 밝혀 내겠다는 모진 결심을 할 뿐이다. 대사제가 떠나자 그녀는 모사를 꾸미기 시작한다.
데릴라의 미모에 이끌려 삼손이 등장한다. 그는 그녀의 대문 앞에서 미련과 갈등에 주저하지만 이를 안 데릴라가 뛰어나온다. 그는 다만 작별 인사차 왔다며 아쉬운 표정으로 작별을 고하나 그녀는 사랑스런 아리아 [그대 음성에 내 마음 열리고 Mon coeur s'ouvre ta voix]를 부른다. 그는 다시 그녀의 여성적인 매력에 굴복한다. 그렇지만 여전히 자기의 기적적인 힘의 근원이 어디서 비롯되는지는 밝히지 않는다. 그녀는 화를 내며 집 안으로 뛰어들어가고, 잠시 후 삼손도 어리둥절한 표정으로 뒤따른다.
고막이 터질 듯한 천둥소리에 이어 발코니에서 승리를 외치며 정원에 매복한 펠리시테 병사들을 부르는 데릴라. 자신의 비밀을 폭로하고 잠이 든 사이, 힘의 근원인 긴 머리카락이 잘리고 만 삼손이 사로잡혀 집 밖으로 끌려나온다.

 

 

'Amour! viens aider ma faiblesse'

(내 사랑! 연약한 내 마음에 힘을 주오)

메조-소프라노 백재은

Amour! viens aider ma faiblesse

(내 사랑! 연약한 내 마음에 힘을 주오)

 

'Mon Coeur S'ouvre à Ta Voix'

Arie(아리아) "My heart opens itself to your voice"
(also known as "Softly awakes my heart" 그대 음성에 내 마음 열리고)

 

Mon coeur s'ouvre à ta voix,
My heart opens to your voice,


comme s'ouvrent les fleurs
like the flowers open


Aux baiser de l'aurore!
To the kisses of the dawn!


Mais, ô mon bienaimé,
But, o my beloved,


pour mieux sécher mes pleurs,
To dry my tears the best,


Que ta voix parle encore!
Let your voice speak again!


Dis-moi qu'à Dalila
Tell me that to Dalila


tu reviens pour jamais,
You will return forever,


Redis à ma tendresse
Repeat to my tenderness


Les serments d'autrefois,
The oaths of other times,


ces serments que j'aimais!
the oaths that I loved!


Ah! réponds à ma tendresse!
Ah! respond to my tenderness!


Verse-moi, verse-moi l'ivresse!
Pour out to me the drunkeness!

 

 

Ainsi qu'on voit des blés
Like one sees the wheat


les épis onduler
the blades undulate


Sous la brise légère,
Under the light breeze,


Ainsi frémit mon coeur,
So trembles my hear,


prêt à se consoler,
ready to be consoled,


A ta voix qui m'est chère!
by your voice which is dear to me!


La flèche est moins rapide
The arrow is less quick


à porter le trépas,
to carry death,


Que ne l'est ton amante
Than is your love


à voler dans tes bras!
to fly into my arms!


Ah! réponds à ma tendresse!
Ah! resond to my tenderness!


Verse-moi, verse-moi l'ivresse!
Pour out to me the drunkeness!

 

"그대 음성에 내 마음 열리고

동트는 새벽에 입 맞추며 꽃이 피어나듯이

허나 내 사랑하는 이여 이 눈물을 말리기 위해

그대 목소리를 좀 더 들려다오!
영원히 데릴라 곁에 돌아온다고 말해 다오.
지난날의 언약을 내가 좋아한 그 언약을
다시 한번 되풀이 해 다오!
아, 내게 응답하라 나를 황홀감 속에 잠기게 해 다오!
보리 이삭이 산들바람에 출렁이듯이
체념하려던 내 마음은 이제 그리운
그대 목소리에 떨며 몸부림친다.
죽음을 실어 나르는 화살보다도 빠르게
사랑하는 사람이 그대 팔 안으로 날아간다.
아, 내 사랑에 응답하여
나를 황홀감 속에 잠기게 해 다오.
내 사랑에 응답해 다오."

Regina Resnik, mezzo-sop.

Sir Edward Downes, cond.

Covent Garden, Royal Opera House Chorus and Orchestra

 

Maria Callas, sop.

Georges Petre, cond.

Orchestre National de la Radiodisffusion Francais

 

Elina Garancas, sop. 

 

Shirley Verrett, sop. as Dalila

Jon Vickers, tenor as Samson

Royal Opera House, Covent Garden

 

Rebecca Chellappah with Bruce McLaren

Preston Opera

St John's Minster Preston in May 2009

 

Rashid Skuratov, cond.

The State Symphony Orchestra of Tatarstan

Salikh Saydashev Great Concert Hall,
Kazan, Tatarstan, Russia October 14, 2007

 

Edgar Moreau, cello

Pierre-Yves Hodique, piano

'Mon Coeur S'ouvre à Ta Voix'

Arie(아리아) "My heart opens itself to your voice"
(also known as "Softly awakes my heart" 그대 음성에 내 마음 열리고)

 

제 3막

 

제1장

머리카락이 잘리고 눈이 멀게 된 삼손이 감옥의 뜰에 있는 연자매를 비참하게 돌리고 있다. 한편 감옥에 갇혀있는 사람들이 그를 비난하면서 히브루인의 합창을 부른다. 삼손은 비참한 목소리로 [내 불행을 보라 Vois ma mis re]를 부른다. 펠리시테 병사들이 그를 다곤 신전으로 끌고 간다. 그곳에서는 히브루인들에 대한 자신들의 승리를 자축하는 여흥이 벌어지고 있었다.

 

제2장

장면은 신전의 안으로, 사제들과 여사제들, 특히 데릴라는 삼손에게 비웃음을 던지며 즐거워한다. 종교적인 의식이 시작되기 전에 바카날이 추어진다. 사람들중 일부는 삼손을 향해 다곤의 제단 앞에 무릎을 꿇으라고 소리친다. 삼손은 히브루의 신에게 큰 소리로, 지난 날 자신의 잘못을 용서하신다는 신의 표시로 가호를 내려서 다시 한번 힘을 달라고 간절히 기도한다. 소년이 신전을 받치고 있는 두 기둥사이로 그를 이끌고 온다. 삼손은 조용히 소년에게 자기를 떠나라고 말한다. 그리고 나서 자기 팔을 두 기둥 사이에 뻗쳐서 댄다. 그 순간 삼손은 기적적인 힘을 발휘한다. 신전은 참배자들을 깔아 뭉개며 거짓말같이 와르르 무너져내리고 아비 규환과 수라장의 소용돌이 속에 삼손도 데릴라도, 또 펠리시테인 모두 파묻힌다.

 

Danse Bacchanale (3막 2장 발레음악 '바까날/바카날')

Lorin Maazel, cond.

Pittsburgh Symphony Orchestra

  

바카날리아(Bacchanalia) : 고대 로마에서 술의 신 바쿠스(그리스신화의 디오니소스)를 기리던 축제. 그리스에서 열리던 디오니소스 축제가 이탈리아 남부에 전파된 뒤 캄파니아를 거쳐 로마에서도 성행하였다. 처음에는 여자들만 참석하여 비밀리에 열렸으나 나중에는 남자들도 참석이 허용되었으며, 한 달에 5차례나 열릴 정도로 성행하였다고 한다. 종교적 제의를 빙자하여 방탕하고 난잡한 축제로 변질되자 BC 186년에는 원로원에서 위법으로 판정하여 금지령을 내리기까지 하였다. 그러나 이후에도 이탈리아 남부에서는 계속해서 축제가 열렸다고 한다. 특히 1세기 무렵에 크게 유행하였는데, 폼페이 유적에서 발견된 돌널[石棺]이나 벽화 등에서 당시의 흔적을 엿볼 수 있다.

 

Leo Siberski, cond.

Deutsche Radio Philharmonie

Danse Bacchanale (3막 2장 발레음악 '바까날')

 

영화 '삼손과 데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