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좌도 [安佐島] 박지도[朴只島] 반월도[半月島]
전라남도 신안군 안좌면 중부로 872
전라남도 신안군 안좌면에 속한 섬. 목포시에서 서남쪽으로 약 21㎞ 지점에 있다. 주위에는 상사치도·하사치도·내호도·외호도·반월도·박지도·부소도·자라도·요력도 등 크고 작은 섬들이 산재해 있다. 본래는 안창도와 기좌도 두 섬으로 분리되어 있었으나, 간척사업으로 연결되면서 섬의 이름을 안좌도라 했다. 북쪽에 있는 팔금도와는 연도교로 이어져 있고, 부소도·내호도와는 방조제로 연결되어 있다.
최고지점은 섬의 북서쪽 봉산(182m)이며, 큰산(151m)·후동산(151m)·안산(133m) 등 100m 내외의 산들이 많다. 산간저지와 해안 곳곳에는 농경지와 염전이 분포한다. 해안선은 드나듦이 비교적 복잡하며, 간석지가 넓게 펼쳐져 있어 간조시에 부속섬들과 연결되기도 한다. 대체로 온화하고 비가 많은 기후이며, 북가시나무·동백나무·사철나무·후박나무 등이 자란다.
주민의 반 이상이 농업에 종사하며, 쌀·보리 이외에 양파·마늘·고사리 등이 많이 생산된다. 연근해에서는 대하·숭어·멸치·갈치·낙지·문어·조기 등이 잡히며, 김·굴 양식과 천일제염이 소규모로 이루어진다. 능선을 따라 간선도로가 나 있으며, 목조다리인 천사의 다리를 통해 안지도·박지도·반월도와 왕래할 수 있다. 목포에서 출발하는 정기여객선이 운항된다. 면적 49㎢, 해안선 길이 49.7㎞, 인구 3,107(2016).
안좌도에는 섬과 섬을 연결하는 목교가 있다. 걸어서 육지를 건너고 싶은 할머니의 소망을 담아 만든 두리~박지~반월도를 잇는 1,462m의 목교이다. 다리 아래에는 감태․파래도 보이고 갯벌에서 서식하는 많은 개 종류와 짱뚱어도 볼 수 있다. 특이 이곳 갯벌에 함유되어 있는 게르마늄은 신비의 약리작용과 함께 산소 운반의 매개체 역할을 해 체내에 풍부한 산소를 공급하고 자연 치료제인 엔돌핀의 생성을 도와준다. 다리 중간에는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팔각정과 낚시를 할 수 있는 공간도 있다. 밤이 되면 소망의 다리는 더욱 빛이 난다. 암흑이 드러워진 곳에 소망의 다리만의 환한 불빛을 비추고 다리 아래로는 바닷물이 가득차 있다.
안좌도 : 역사가 시작되는 고조선과 삼한시대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 청동기 시대 지석묘군락(방월리), 백제시대 석실고분(읍동리), 선돌(대리)등의 문화유적이 보존되어 있다.
박지도 : 박지도 돌담길과 박지당 우실샘 혹이 붙은 예덕나무(이당나무)가 있고 앞 갯벌에는 가시파래라 불리는 감태 자생지이다. 바가지 형태여서 바기섬, 배기섬이라 불리다가 박지섬이라 불리게 됨.
반월도 : 섬 형상이 반달처럼 생겼다고 해서 반드리라고도 불림. 세종실록 지리지에 의하면 1450년 말 40여필을 관리하기 위하여 사람들을 입도시켰다는 기록이 전해온다. 반월도 당숲은 생명의 숲 산림청 유한킴벌리가 선정하는 "제14회 아름다운 숲" 전국대회에서 공존상을 수상. 1982년 12월 3일에 신안군 보호수로 지정된 300여년 된 팽나무 3그루가 있다.
*퍼플교 : 안좌도 두리와 박지도(박지리), 반월도(반월리)를 이어주는 다리
퍼플교(1,462m) = 두리-박지구간(547m) + 박지-반월구간(915m)
퍼플교 트레킹 거리 및 소요시간 : 5.06km(1시간 12분)
안좌도 두리마을 → 퍼플교(두리-박지) → 박지도 → 퍼플교(박지-반월) → 반월도 → 어깨산 → 반월도 →
퍼플교 → 박지도 → 퍼플교 → 안좌도 두리마을
여행기
일자 : 2019.7.14(일)
동행 : 좋은사람들 28인승 버스 1대 (대장: 선비랑)
7/13(토) 암역22:39-(급행)-신도림역23:04/23:11-사당역23:29/23:50-양재역24:00-
7/14(일) 군산휴게소01:56/02:20-자은중학교(≒37/44.1)04:31/04:46-꽃깔봉(무선기지국)-성제봉(정자)-대율재4거리(≒222/225.5, 2.29/2.355)05:39/05:47-두봉산(363.8,≒350/349.9, 3.47/3.569)06:19/06:48-도명사,노루약수터07:16/07:23-상수원(저수지)07:36-유천마을(≒77/77.4, 6.42/6.596)07:50/08:43-(버스)-수곡리 노만사(露滿寺)입구(≒47/50.6)09:10/09:17-수곡임도(고개)09:40/09:41-승봉산(355.5,≒339/339.1, 3.11/3.275, ↗암태면사무소3.6,↓노만사2.6)10:23/11:00(간식)-만물상11:06/11:08-헬기장(↖면사무소2.3,↗암태초등학교1.3,↓승봉산1.3)11:29-이정표(↗면사무소2.2,↓승봉산1.4)11:35-이정표(↑면사무소1.0,↓승봉산2.4)11:50-마당바위11:52/11:54-갈림길(↑암태중학교,↗중대본부0.75,↓승봉산)11:55-(직진)-바다식당(≒58/64.1, 6.25/6.529)12:15/13:30(중식:병어회,백반)-(버스)-안좌도 두리(박지도,반월도 트레킹)13:55/15:25-고인돌휴게소17:16/17:30-양재역20:03/20:04-사당역20:13-명동칼국수20:17/20:56(석식)-사당역21:03-신도림역21:23/21:26-(급행)-동암역21:51
'산행‧여행기 > 섬(BAC 섬&산100+)' 카테고리의 다른 글
55. 전북군산 방축도(2019.7.28) (0) | 2019.08.14 |
---|---|
54. 전남여수 개도 봉화산(2019.7.17) (0) | 2019.08.09 |
53. 전남신안 암태도 승봉산(2019.7.14) (0) | 2019.08.05 |
52. 전남신안 자은도 두봉산(2019.7.14) (0) | 2019.08.05 |
51. 전남영광 송이도(2019.7.9) (0) | 2019.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