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익한 공지

전자금융사기 사례 및 예방법 안내 <KB금융그룹>

박연서원 2015. 4. 16. 08:52
KB금융그룹
전자금융사기사례및 예방법 안내
MC2 : 이제부터 화끈하게 뜨거운 이야기가 펼쳐집니다.
MC3 : ‘열받는’ 이겠지
MC1 : 없어져야 할 전자금융 사기의 유형! 피싱마귀사냥, 피싱라이트를 꺼줘~ 
MC1 : 자 오늘은 어떤 사연이 기다리고 있을까요~
MC3 : 갈수록 지능화 되어지는 전자금융사기, 알면 지킬 수 있겠죠? 자 그럼 기가막힌 사연 함께 들어볼까요
MC3 : 아 그전에 피싱 사기경험 없었나요?
MC2 : 뭐 전 워낙~ 강하잖아요!  아시면서~
MC3 : 아이고 사연 듣겠습니다
MC1 : 첫번째 사연입니다~ 안녕하세요, 얼마전에 문자 한통이 왔는데 영 찝찝해서요 어떻게 왔냐면요~
MC1 : ‘빠른 보안강화 하세요~ 고객상담센터: 1588-XXXX / 직통전화: 070-499-XXXX 이거 혹시 피싱아닌가요? ‘
MC3 : 난 피싱이다
MC2 : 아닌것 같은데 은행에서 온 문자잖아
여직원 : 피싱이 맞습니다! 은행에서는 문자안내로 직통 전화번호 통화를 유도하지 않습니다!
MC1 : 똑똑한데?
MC2 : 올
MC3 : 헷! 다음 사연 들어보시죠~
MC2 : 두번째사연 : 어느날 전화가 왔는데요 이렇게
말하더라구요
‘ 검사: 서울지방검찰청 검사 ㅇㅇㅇ입니다. 수사 중 당신의 이름이 나왔으며, 공범인지 아닌지 수사를 위해 협조를 하십시오.’
MC2 : ‘검사: www.spo-xxx.com 사이트에 접속하여 금융정보를 입력하면 본인 확인 후 수사를 진행하겠습니다’ 그래서 전 너무놀란 나머지 저의 금융정보를 다 입력했는데..이거 혹시 피싱인가요?
MC3 : 난 피싱이다
MC1 : 검찰에 수사 협조해야 되니 이건 피싱이 아닐 껄?
MC2 : 그럼~ 검찰인데~
여직원 : 피싱이 맞습니다! 전화로 검찰, 경찰, 금융기관을 사칭하여 특정사이트 접속 유도나 OPT번호를 요구하면 절대 응하지 마세요!
MC3 : 그럼 내가 저번에 받았던 그 전화가! 피싱..?
MC2 : 쯧쯧 당했구만
MC3 : 세번째 사연입니다~ 인터넷을 하려고 창을 열었는데 정보가 유출 되었다면서 인증서 및 금융정보의 보안을 검증해야 한다는 금융감독원 팝업 창이 떳어요.
금융정보를 입력하고 나니 금융감독원 보안팀의 참이쁜과장으로부터 전화가 와서 OTP번호로 검증이 필요하다고 하여 불러줬어요
저.. 이거 피싱인가요?
MC1 : 확인되지 않은 사이트에서 금융정보 요구라..  난 이거 피싱이다!
MC2 : 음.. 참이쁜이라.. 설마 사기꾼 이겠어?
MC3 : 금융정보를 입력하고 나니 금융감독원 보안팀의 참이쁜과장이 전화가 와서 OTP번호로 검증이 필요하다고 하여 불러줬어요
MC3 : 나도 얼마전에 뉴스에서 봤어, 이거 피싱이던데?
여직원 : 피싱이 맞습니다! 은행이나 금융기관에서는 확인되지 않은 사이트나 팝업창에서 고객님의 금융정보를 절대 요구하지 않습니다!
MC1 : 혼자 틀렸네!
MC2 : 내분야는 이게 아니라서 그래
MC3 : 네 분야는 뭔데?
MC2 : 음 그러니까..
MC3 : 다음사연 듣겠습니다
MC1 : ㅇㅇㅇ고객님 안녕하십니까? 전담직원 김국민입니다.
가입하신 펀드에 대한 수익률 안내를 위해 전화를 드렸습니다.
가입하신 상품의 수익률은 현재 3.8%입니다.
감사합니다.
음.. 뭐 이건~
MC2 : 수익률 안내만 할 뿐, 개인정보를 요구하지 않으니까
MC3 : 피싱이 아니지~
MC2 : 피싱이 아닙니다 모두 맞히셨네요
MC3 : 음.. 근데 피싱말고 왜 그.. 다른건 안 나오나요 뭐요?
MC2 : 아니 그 왜~ 스팸메일 열어보면 그.. 그런거(?) 있잖아요
MC1 : 아유~ 참
MC3 : 아이고
자 우리 모두 피싱사기가 없어, 피싱라이트를 끄는 그날까지 보안을 생활화합시다
최근 사기 사례 예방 수칙
은행은 문자메세지(SMS)를 통해 정보유출로 인한 본인확인이나 보안강화등을 사유로, 통화를 유도하여 보안장치의 비밀번호등을 요구하지 않습니다.
금융기관 및 검찰, 경찰 등 공공기관 등에서는 어떠한 경우에도 특정사이트 접속 유도 또는 전화로 고객님의 금융정보(보안카드, OTP번호, 계좌비밀번호 등)을 요구하지 않습니다.
출처가 불분명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알 수 없는 출처 앱 설치’ 기능을 해제 합니다
(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폰: ‘환경설정’ → ‘보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