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음악감상실

도메니코 스카를라티 / 피아노 소나타 K-1 ~ K491

박연서원 2015. 7. 3. 22:51

Sonata for Harpsichord K-1 ~ K491 

도메니코 스카를라티 / 피아노 소나타 K-1 ~ K491 

Domenico Scarlatti, 1685~1757

 

음악에서 '소나타'라는 말의 의미는 주로 하이든, 모차르트, 베토벤 시절에 주로 엄격히 지켜졌고 나머지는 그리 잘 지켜지지 않았다. 스카를라티의 소나타는 고전주의 시대의 소나타가 명확히 자리잡기 전의 소나타이다. 단지 칸타타에 대해 소나타라고 불리었다고 할까. 스카를라티의 소나타는 전부 555곡쯤이나 되는데, 전부 한개의 악장이다. 그리고 거의 다 한 개의 주제로 되어 있다. 형식이 복잡하지 않은만큼 단순함 속에 아름다움과 재미를 녹여내었다.

 

스카를라티에 의해 쓰여진 소나타들은 한 악장으로 이루어졌다. 고전파시대 부터는 소나타라고 하면 대개 기악곡을 위해 쓰여진 3~4 악장의 체제를 말하지만 그 이전까지는 칸타타가 성악곡을 이름하는 것에 대한 대응으로서 기악을 위해 쓰여진 곡을 소나타로 호칭하게 되었다. 그런 의미에서 그 당시의 스카를라티의 단악장으로 이루어진 소나타들은 비록 짧은 곡이지만 당시 최고의 기악곡의 한 형태이었다고 볼 수 있다. 소나타 형식은 하이든에 의해 완성되지만 스카를라티의 소나타에서도 곳곳에 동기를 발전시키는 방법이 보인다. 스카를라티의 소나타들을 분석해 보는 것은 고전주의 이전의 소나타에서 모티브를 어떻게 전개시켰고 어떻게 소나타로 발전되어 갔나를 알수 있는 중요한 분석이 된다. 그의 작품 번호는 K.와 L.(longo)이 같이 쓰이는데 K.는 하프시코드 연주자인 Ralph Kirkpatrick이 정리해 놓은 번호이다 

 

바흐의 건반 작품들이 탄탄한 구조를 가지고 있고 수학적인 아름다움을 지니고 있으며 천상의 미에 가깝다면, 스카를라티는 평범한 사람들의 노래와 즉각즉각 와닿을 수 있는 우아함과 아기자기함으로 승부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듣는 사람은 재미있고 좋지만, 연주자에게는 양손 교차나 넓은 간격의 음정 뛰어 오르기, 장식음 등등의 기교가 요구된다.

 

※작품번호...스카를라티의 작품 번호의 L은 예전에 쓰던 것으로 롱고 Longo에 의한 것이고, 무작위로 번호를 매긴 것이다. 요즘 쓰고 있는 K는 1950년대 F. Kirkpatrick에 의한 것으로 어느 정도 객관성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피아노 소나타 K-1 ~ K-12

 

1. 키보드(피아노) 소나타 K-1 (L.366) in D minor (Allegro) 

    Gleb Akselrod (글렙 악셀로드) 연주

    http://a.tumblr.com/tumblr_ngh0liguWS1syslh4o1.mp3

2. 키보드(피아노) 소나타 K.2 (L.388) in G major (Presto) 

    Carlo Grante (카를로 그란테) 연주

   http://a.tumblr.com/tumblr_ngk3uhcmDy1syslh4o1.mp3

3. 키보드(피아노) 소나타 K.3 (L.378) in A minor (Presto)

     John Browning (존 브라우닝) 연주

     http://a.tumblr.com/tumblr_ngkr928Acn1u5j2obo1.mp3

4. 키보드(피아노) 소나타 K.4 (L.390) G minor (Allegro) 

     Pieter-Jan Belder (피터 얀 벨더) 연주

     http://a.tumblr.com/tumblr_ngmigbWTek1u5j2obo1.mp3

5. 키보드(피아노) 소나타 K.5 (L.367) D minor (Allegro) 

    Pieter-Jan Belder (피터 얀 벨더) 연주

      http://a.tumblr.com/tumblr_ngocof05N31syslh4o1.mp3

6. 키보드(피아노) 소나타 K.6 (L.479) F Major (Allegro)

     Alicia de Larrocha (알리시아 데 라로차) 연주

     http://a.tumblr.com/tumblr_ngs2dmbBrs1syslh4o1.mp3

7. 키보드(피아노) 소나타 K.7 (L.379) A minor (Presto)

     Pieter-Jan Belder (피터 얀 벨더) 연주

     http://a.tumblr.com/tumblr_ngvrckuNFy1syslh4o1.mp3

8. 키보드(피아노) 소나타 K.8 (L.488)(전원) G minor (Allegro)

    Ivo Pogorelić (이보 포고렐리치) 연주        

      http://archive.org/download/Scarlatti-pianoSonataK.8_ingigong/D.scarlatti-keyboardSonataK-8_ivoPogorelic_piano.mp3

9. 키보드(피아노) 소나타 K-9 (L.413)(전원) in D minor (Allegro) 

    Gleb Akselrod (글렙 악셀로드) 연주

      http://a.tumblr.com/tumblr_nh4sv0kkBc1u5j2obo1.mp3

10. 키보드(피아노) 소나타 K-10 (L.370) in D minor (Presto) 

     Scott Ross (스코트 로스) 연주

        http://a.tumblr.com/tumblr_nh6x9x7K4H1u5j2obo1.mp3

11. 키보드(피아노) 소나타 K-11 (L.352) in C minor (Allegro)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 연주

       https://t1.daumcdn.net/cfile/cafe/257D5E50549E1A041C?original

12. 키보드(피아노) 소나타 K.12 (L.489) in G minor (Presto)

     Scott Ross (스코트 로스) 연주      

      http://a.tumblr.com/tumblr_nhakbpAXZJ1syslh4o1.mp3

 

키보드(피아노) 소나타 K-1 (L.366) in D minor (Allegro)

Gleb Akselrod, piano

 

키보드(피아노) 소나타 K-5 (L.367) in D minor (Allegro)

Pieter-Jan Belder, piano

 

키보드(피아노) 소나타 K-9 (L.413) in D minor (Allegro)-Pastorale

Ivo Pogorelich, piano

 

키보드(피아노) 소나타 K-32 (L.423) in D minor (Aria)

Emil Gilels, piano

 

키보드(피아노) 소나타 K-48 (L.157) in C minor (Presto)

Scott Ross, harpsichord

 

1. Moderato Cantabile

2. Minuet

키보드(피아노) 소나타 K-77 (L.168) in D minor (Moderato e cantabile - Minuet)

Edoardo Catemario, guitar

 

K-89 (L.211) in D minor

1. Allegro 2.Grave 3. Allegro
Mikhail Fikhtengolts, violin
Evgenia Lisitsina, organ

Grand Hall of Moscow Conservatory, 1983

 

K-89 (L.211) in D minor

1. Allegro 2.Grave 3. Allegro
Carlo Aonzo, mandolin
Elena Buttiero, Harpsichord

Recorded on March 17, 2009 in Providence, RI, U.S.A.

as a part of a concert with the Providence Mandolin Orchestra.

 

K-119 in D major

 


K.141 (L.422) in D minor (Allegro)
Pierre Hantaï, harpsichord

 

K-147 in E minor

 


K.175 in A minor

Julian Gray / Ronald Pearl, guitar

 

키보드(피아노) 소나타 K-380 (L.23) in E major (Moderato e cantabile - Minuet)

Vladimir Horowitz, piano

 


키보드(피아노) 소나타 K-491 (L.164) in D major

Trevor Pinnock, harpsichord

 

Giuseppe Domenico Scarlatti, 1685~1757

Scarlatti Domenico

 

이탈리아 작곡가. 나폴리 출생. 알레산드로 스카를라티의 열 명의 아들 중 6번째 아들. 그의 대모는 총독부인이었으며, 1701년 그는 아버지처럼, 탁월한 오르간 주자 겸 작곡가가 되었다. 1702년 아버지와 함께 토스카나의 궁정을 방문했고 나폴리에 돌아온 후 작곡중이던 3편의 오페라 '옥좌에 돌아온 오타비아 L'Ottavia ristituita al trono(1703)', '주스티노 Il Giustino(1703)', '이레네 L'Irene(1704)'를 완성했다.

 

1705년 알레산드로는 페르난도 데 메디치 앞으로 다음과 같은 추천장과 함께 도메니코를 베네치아로 보냈다. "이 아이는 날개 달린 독수리입니다. 둥지 속에 가두어 둘 수 없습니다. 그가 날아가지 못하게 할 권한이 내게는 없습니다".

 

베네치아에서 그는 프란체스코 가스파리니 밑에서 공부했는데, 그를 통해서 프레스코발디의 예술에 인도된 것이 아닌가 추정된다. 1709년부터 1719년에 걸쳐 로마에서 지내면서 헨델을 만났다. 도메니코는 이때 전설적인 경연을 하여 오르간에서는 헨델이, 쳄발로에서는 도메니코가 승리했다.

 

그곳에서는 약 20년 후에 그의 초기 오페라를 런던에서 보급시키기 위해 많은 협력을 하게 되는 영국의 음악가 토머스 로진그레이브도 만나게 된다. 우선 그는 1714년까지 망명한 폴란드 여왕의 예배당 악장으로 있었으며 1713년 12월부터 바티칸의 줄리아 예배당에서 일하게 되었다. 1714년 폴란드 여왕이 로마에서 떠나자 그는 포르투갈 대사인 데 폰테스 De Fontes의 예배당 악장이 되었다. 미제레레 G조와 10성의 장려한 스타바트 마테르는 이 시기에 만들어진 것이다. 마찬가지로 이때에 작곡한 것으로는 이밖에도 칸타타와 수많은 오페라가 있다. 그 가운데 중요한 것으로는 톨로메오 Tolomeo(1711), 오를란도 Orlando(1711), 아울리드의 이피게니아 Ifigenia in Aulide(1713), 타우리드의 이피게니아 Ifigenia in Tauride(1713), 암블레토 Ambleto(1715), 인테르메쪼 디린디나 Dirindina(1715) 등이 있다. 그의 마지막 오페라는 베레니체 Berenice(1718)이다.

1719년 도메니코 스카를라티의 평생의 대전환기가 찾아온다. 그 해 그는 포르투갈 국왕 조앙 5세의 예배당 악장으로서 리스본으로 옮겨 갔다. 오랫동안 스카를라티가 1719년에 영국으로 건너간 것으로 믿어왔으나 랠프 커크패트릭은 그것이 사실무근이라고 했고, 리스본으로의 이주가 그때까지 생각했었던 것보다 수년 앞섰다는 사실을 밝혔다. 리스본에서 스카를라티는 국왕의 동생 돈 안토니오 Don Antonio와 특히 왕녀 마리아 바르바라 Maria Barbara의 음악교육을 담당했다. 그의 소나타의 대부분은 그녀를 위해서 작곡한 것이다. 그가 이탈리아에 돌아온 것은 1724년(로마), 1725년(나폴리, 이때가 아버지와 재회한 마지막이 된다), 그리고 1728년(이때 로마에서 첫번째 아내 마리아 카탈리나 젠틸리 Maria Catalina Gentili와 결혼했다) 등 세 차례에 지나지 않는다. 이 세 차례의 여행을 제외한다면 그는 말년의 36년간 이베리아반도를 떠난 적이 없었다.

1728년에 포르투갈 왕녀 마리아 바르바라는 스페인 왕, 후의 페르디난도 6세와 결혼했다. 도메니코는 그녀를 따라 마드리드에 갔고 그곳에서 살았다. 이때부터 그는 최후의 작품이라고 추정되는 소프라노와 현악기를 위한 살베 레지나 외에 쳄발로곡 밖에는 작곡하지 않았다. 1738년 포르투갈의 조앙 5세로부터 산티아고 기사 작위를 받은 그는 답례로 왕에게 유명한 쳄발로 연습곡집을 헌정했다. 같은 해 런던에서 출판된 이 곡들은 커크패트릭에 의해서 붙여진 작품번호 중 처음 30개의 소나타이다. 1739년 아내가 죽자 1742년에 재혼했으며 9명의 아들 중 4명만 살아남았으나 음악가가 된 사람은 한 사람도 없다.

스카를라티가 이탈리아에 있을 때에는 아버지가 지배하고 있었던 나폴리파 오페라 분야의 보통 작곡가 한 사람에 불과했고, 이 시기에는 기악 앙상블을 위한 17곡의 신포니아를 작곡했다. 포르투갈로 떠난 것이 그를 오페라의 세계에서 해방했고, 자기 자신의 체험을 축적시킴으로써 이것을 위해서 그가 태어났다고 할 수 있는 쳄발로 소나타를 발견하게 했다. 바흐, 헨델과 같은 해에 태어났고 라모보다 두 살 밑인 스카를라티는 사실상 모든 시대를 통한 쳄발로의 대가이다.

연습곡집의 서문은 스카를라티의 것으로 남아있는 2개의 텍스트의 하나인 만큼 다음에 인용해 두겠다.

"독자여, 여러분이 〈애호가〉이든 전문가이든 이 곡에서 어떤 심오한 가르침을 기대해서는 안 됩니다. 오히려 쳄발로의 장엄성에 친숙해지기 위한 예술을 기대해야 합니다. 내가 이것을 출판하게 된 것은 이익을 위한 것도 야심을 위한 것도 아니고 단순히 순종하는 마음에서일 뿐입니다. 이 곡이 귀하의 마음에 들었으리라고 기대하고 싶습니다. 만일 그렇게 된다면 나는 다른 주문에 대한 것보다 쉽고 보다 변화에 찬 상냥한 양식으로 귀하를 즐겁게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래서 바라건대 비판적이기보다 인간적이고 싶습니다. 그렇게 됨으로써 당신의 즐거움은 배가 될 것입니다. 손의 위치에 관해서는 D는 오른손을, M은 왼손을 가리킨다는 것을 알아두기 바랍니다. 아듀"

커크패트릭이 본 스카를라티의 555곡의 소나타 (이 가운데 미완성이거나 또는 진정으로 그의 작품인지 의심되는 것은 10곡이 채 안 된다)의 자필보는 하나도 남아 있지 않다. 작곡자의 생전에 출판된 것은 그 수가 매우 적으며, 당시의 거의 모든 판은 영어판으로서 모두 스카를라티가 직접 서명한 유일한 출판, 즉 1738년의 30곡의 〈연습곡〉에 기초하고 있다. 이것은 1739년에 토머스 로진그레이브가 12곡을 더하여 모두 42곡이 되었다. 1742년 암스테르담에서 연습곡집의 신판이 나왔고 또 1741년부터 1746년에 걸쳐서는 파리에서 지극히 한정된 수의 몇 곡의 소나타가 간행되었다. 19세기 초 스카를라티가 에피소드와는 다른 어떤 흔적을 남겼을 당시 이탈리아 유일의 작곡가 무치오 클레멘티는 영국에서 스카를라티의 쳄발로 또는 피아노 포르테를 위한 걸작 Scarlatti's Chefs d'oeuvre, for the Harpsichord or Pianoforte이라는 작품집을 출판했다. 또 1839년에는 체르니가 200곡의 소나타를 출판했는데, 이것은 손가락 연습을 하는데 유용한 연습곡으로 간주된, 당시의 취미에 부합하는 것이었다.

1906년이 되어서야 겨우 최초의 전집이 나왔다. 알레산드로 롱고의 손에 의한 것으로 총 544곡의 소나타가 조성마다 〈조곡〉의 형태로 그룹지어진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작곡된 시기를 전혀 고려하지 않은 지극히 자의적인 것이었다. 롱고판은 후기 낭만파적 경향에도 불구하고 오랫동안 권위를 지켜왔다. 그가 붙인 작품번호는 커크패트릭에 의한 것이 나올 때까지 유효했었다. 커크패트릭의 작품번호에 기초한 전집은 1970년대에 케네스 길버트에 의해 실현되었다. 때때로 의심스러운 점이 있는 작곡 연대순으로 분류를 하기 위해서 커크패트릭은 우리가 알고 있는 스카를라티의 기본적인 자료에서 도움을 얻었다. 주로 1742년(1752년의 가능성도 있다)부터 1757년 사이에 병행해서 옮겨 기록한 마리아 바르바라가 소지했던 각기 15권으로 이루어진 두 그룹의 수고보에 의한 것이다.

그 중 하나(총 496곡의 소나타를 수록한 I에서 XIII까지의 번호가 있는 13권과 번호가 없는 2권)는 베네치아의 성 마르코 도서관이 소장하고 있고, 다른 하나(총 463곡의 소나타를 수록한 15권)는 파르마의 왕실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원래는 번호가 없었지만 커크패트릭이 XIV와 XV의 번호를 붙인 베네치아의 두 권은 각기 1742년과 1749년에 카피되었다. 거기에는 1738년의 30곡의 〈연습곡〉을 비롯하여 가장 오래된 소나타가 수록되어 있다. 반대로 가장 새로운 것은 베네치아의 제13권과 파르마의 제15권으로 모두 1757년에 옮겨 기록한 것이며, 뮌스터의 포르투나토 산티니 Fortunato Santini 신부(17781862)가 소장하고 있던 수고보집인 또 하나의 다른 자료에는 도메니코 스카를라티가 1756년과 그가 사망한 해인 1757년에 작곡한 마지막 쳄발로 소나타곡들이라고 소개한 소나타 작품들이 수록되어 있다. 뮌스터의 5권본에는 총 349곡의 소나타가 수록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요하네스 브람스가 소지했던 총 308곡의 소나타가 수록된 7권본은 현재 빈 악우협회가 보관하고 있다.

베네치아와 파르마의 수고보의 유래는 상당히 분명하다. 스카를라티와 같은 시대에 파리넬리라고 불렸던 유명한 카스트라토 카를로 브로스키가 마드리드 궁정에 있었다. 1737년 스페인에 도착한 파리넬리는 그곳에서 페르디난도 4세가 세상을 떠난 해인 1759년까지 살았다. 그는 바르바라 왕비로부터 가장 아름다운 쳄발로뿐만 아니라 스카를라티 소나타의 수고보까지 받았다. 파리넬리는 그의 생애를 이탈리아에서 마쳤고, 각각 15권으로 이루어진 2개의 곡집이 베네치아와 파르마에 당도하게 된 것은 그의 중개에 의한 것임에 틀림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