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그 / 서정 소곡집 제9집 작품68, 제10집 작품71
"Lyriske stykker(Lyric Pieces)" Book 9, Op.68 그리그 / 서정 소곡집 제9집 작품68 Edvard Hagerup Grieg 1843∼1907 |
No.1. Sailor's song (선원의 노래) - Nathan Coleman, Piano
제1곡 '선원의 노래(Matrosernes Opsang)'라는 표제로 시작되는데, 슈만의 '어린이를 위한 앨범'에도 동명의 곡이 있다. 슈만과 같은 낭만파 작곡가 작품에서 그 모범을 구한 듯한 느낌이 드는데 활발하고 밝은 주제가 행진곡풍으로 처리된다.
No.2. Grandmother's minuet (할머니의 미뉴엣) - Nathan Coleman, Piano
제2곡 '할머니의 미뉴엣'
No.3. At Your Feet (당신 곁에) - Andrei Gavrilov, Piano
제3곡 '당신 곁에(For dine Foedder)'는 드물게 애정표현을 주제로 한 밝은 음색의 반주음형 외에 사랑의 고백처럼 자주 더듬거리는 선율이 흐른다.
No.4. Abend im Hochgebirge (산 속의 황혼) - Sviatoslav Richter, Piano
제4곡 '산 속의 황혼(Abend im Hochgebirge)'은 첫 소절은 서주로 B음을 지속하면서 그 아래에 차츰 하행하는 음렬 모두에 짧은 전타음을 붙여 황혼 분위기를 표현한다. 이어서 38소절로 된 단성 선율이 오른손만으로 연주된다. 아마도 목동의 피리소리를 묘사한 것으로 보이며, 이어서 그 선율이 이번에는 화성을 동반하여 다시 한 번 반복된 후 짧은 코다가 이어진다.
No.5. At the Cradle (요람의 노래) - Andrei Gavrilov, Piano
제5곡 '요람의 노래'
제6곡 '우울한 왈츠'는 19세기 후반에 낭만파 작곡가가 즐겨 쓴 일종의 유행적 왈츠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Lyriske stykker(Lyric Pieces)" Book 10, Op.71 그리그 / 서정 소곡집 제10집 작품71 Edvard Hagerup Grieg 1843∼1907 |
No.1. once Upon a Time (옛날 옛적에)- Andrei Gavrilov, Piano
표제대로 이야기가 있는 내용을 스웨덴 민요 선율과 노르웨이 봄의 춤 선율을 써서 표현된다. 쓸쓸한 감정이 넘쳐흐르며 뒤에는 밝은 음조를 나타낸다.
No.2. Summer's Eve (여름 저녁) - Andrei Gavrilov, Piano
짧지만 괘 충실하고 좋은 곡으로, 북국의 시원한 여름날 저녁을 묘사해준다.
No.3. Kobold (요정) - Andrei Gavrilov, Piano
'작은 요정'의 요정(Kobold)이란 사람을 위해서 봉사하지만 모욕을 받았을 때는 음흉하게 복수한다고 전해지는 민담을 주제로 한 곡이다. 동화에 나오는 그들의 움직임을 상상해 보면 이해가 쉽다.
No.4. Waldesstille (숲의 적막) - Andrei Gavrilov, Piano
제4곡은 '숲의 적막(Waldesstille)'이란 표제처럼 숲속의 정경을 나타내면 2개의 화음 뒤에 조용하고 침착한 선율이 뒤따른다. 마치 숲속을 걷고 있는 사람의 발자국 소리와 같기도 한 동일 주제가 조를 바꾸어 반복되는 서법이다.
No.5. Halling (Norwegian Dance)- Chris Breemer, Piano
No.6. Voruber (과거) - Andrei Gavrilov, Piano
No.7. Nachklange (여운) - Andrei Gavrilov, Piano
제7곡 '여운(Nachklange)'은 3부 형식에 의한 왈츠곡이며 다소의 비인 왈츠 풍을 띠고 있다. '아리에타' 선율에 근거를 둔 것이어서 '여운'이라고 이름을 붙였다.
Complete
Book I - 8 Lyric Pieces, Op.12 (1864-67) Fräulein Betty Egeberg gewidmet
0:00:20 Arietta
0:01:46 Waltz
0:03:38 Watchman's Song
0:06:17 Elfin Dance
0:07:16 Folk Song
0:08:32 Norwegian Melody
0:09:52 Album Leaf
0:11:45 National Song
Book II - 8 Lyric Pieces, Op.38 (1883-88)
0:13:20 Berceuse
0:16:21 Popular Melody
0:18:23 Melodie
0:19:36 Halling (Norwegian Dance)
0:20:53 Jump Dance (Norwegian Dance)
0:21:48 Elegie 0:25:48 Waltz
0:26:54 Kanon
Book III - 6 Lyric Pieces, Op.43 (1886) Herrn Professor Isidor Seiss gewidmet
0:31:42 Butterfly
0:33:40 Solitary traveller
0:35:40 In my native country
0:37:37 Little bird
0:39:28 Erotikon
0:41:59 To the Spring
Book IV - 7 Lyric Pieces, Op.47 (1886-88) Fräulein Elisabet Hernemann gewidmet
0:45:14 Valse-Impromptu
0:48:22 Album-leaf
0:52:09 Melodie
0:55:32 Halling (Norwegian Dance)
0:57:09 Melancholie
1:00:42 Norwegian Dance
1:02:17 Elegie
Book V - 6 Lyric Pieces, Op.54 (1889-91) Herrn Julius Röntgen gewidmet
1:04:58 Shepherd's boy
1:09:00 Norwegian Peasant March
1:12:52 March of the dwarfs
1:16:08 Notturno
1:20:09 Scherzo
1:23:39 Bell ringing
Book VI - 6 Lyric Pieces, Op.57 (1890-93) Herrn Hermann Scholtz gewidmet
1:27:25 Vanished days
1:33:26 Gade
1:37:31 Illusion
1:41:09 Secret
1:46:20 She dances
1:49:36 Home-sickness
Book VII - 6 Lyric Pieces, Op.62 (1893-95)
1:53:25 Sylphide
1:55:15 Gratitude
1:58:56 French Serenade
2:01:38 Brooklet
2:03:41 Phantom
2:06:55 Homeward
Book VIII - 6 Lyric Pieces, Op.65 (1896)
2:09:49 From early years
2:15:22 Peasant's Song
2:17:06 Melancholy
2:21:07 Salon
2:23:51 Ballad
2:26:29 Wedding day at Troldhaugen
Book IX - 6 Lyric Pieces, Op.68 (1897-99)
2:33:45 Sailor's song
2:35:20 Grandmother's minuet
2:37:38 At your feet
2:41:00 Evening in the mountains
2:43:56 At the cradle
2:46:21 Valse mélancholique
Book X - 7 Lyric Pieces, Op.71 (1901) Frau Mien Röntgen gewidmet
2:50:26 once upon a time
2:54:25 Summer's eve
2:57:08 Puck
2:59:18 Peace of the woods
3:05:01 Halling (Norwegian Dance)
3:08:45 Gone
3:11:05 Remembrances
Chris Breemer, piano
Complete
Book I, Op. 12:
• 0:00 Arietta
• 1:31 Waltz
• 2:59 Watchman’s Song
• 5:46 Fairy Dance
• 6:40 Folk Melody
• 8:03 Norwegian Melody
• 8:58 Albumleaf
• 10:17 National Song
• Book II, Op. 38:
• 11:33 Berceuse
• 13:47 Folk Melody
• 15:13 Melody
• 16:54 Norwegian Dance
• 17:38 Spring Dance
• 19:02 Elegy
• 21:07 Waltz
• 22:05 Canon
• Book III, Op. 43:
• 26:01 Butterfly
• 27:36 Solitary Traveller
• 29:15 In My Native Country
• 31:02 Little Bird
• 32:55 Erotikon
• 35:11 To Spring
• Book IV Op. 47:
• 37:35 Valse-Impromptu
• 40:14 Album Leaf
• 43:46 Melody
• 47:01 Norwegian Dance
• 48:17 Melancholy
• 51:10 Spring Dance
• 52:28 Elegy
• Book V, Op. 54:
• 55:25 Shepherd Boy
• 59:20 Norwegian March
• 1:02:47 March of the Dwarfs
• 1:05:40 Notturno
• 1:08:41 Scherzo
• 1:11:54 Bell-ringing
• Book VI, Op. 57:
• 1:15:29 Vanished Days
• 1:20:14 Gade
• 1:24:06 Illusion
• 1:27:10 Secret
• 1:31:22 She Dances
• 1:33:55 Homesickness
• Book VII, Op. 62:
• 1:36:54 Sylph
• 1:38:25 Gratitude
• 1:42:28 French Serenade
• 1:44:45 Little Brook
• 1:46:34 Phantom
• 1:49:06 Homeward
• Book VIII, Op. 65:
• 1:51:54 From Early Years
• 1:56:35 Peasant’s Song
• 1:58:08 Melancholy
• 2:01:35 Salon
• 2:03:53 Ballad
• 2:06:37 Wedding Day at Troldhaugen
• Book IX, Op. 68:
• 2:12:47 Sailor’s Song
• 2:14:43 Grandmother’s Minuet
• 2:16:49 At Your Feet
• 2:19:54 Evening in the Mountains
• 2:22:28 At the Cradle
• 2:24:51 Valse mélancolique
• Book X, Op. 71:
• 2:28:38 once Upon a Time
• 2:32:31 Summer’s Eve
• 2:34:52 Puck
• 2:36:40 Peace of the Woods
• 2:41:53 Norwegian Dance
• 2:45:00 Gone
• 2:46:55 Remembrances
Håkon Austbø, piano
66 Pièces Lyriques Op 12,38,43,47,54,57,62,65,68,71
Geir Henning Braaten, piano
24 Lyric Pieces
Arietta op.12 n°1 0:00
Waltz op.12 n°2 1:20
Watchman's Song op.12 n°3 3:22
Fairy Dance op.12 n°4 6:30
Norwegian Dance Halling op.38 n°4 7:28
Kanon op.38 n°8 8:25
Butterfly op.43 n°1 13:26
To the Spring op.43 n°6 15:24
Valse-Impromptu op.47 n°1 20:14
Norwegian Dance Gangar op.54 n°2 23:28
Scherzo op.54 n°5 27:14
Bell ringing op.54 n°6 30:42
Secret op.57 n°4 34:17
She dances op.57 n°5 39:45
Home-Sickness op.57 n°6 42:56
Phantom op.62 n°5 47:55
Wedding-Day in Troldhaugen op.65 n°6 50:22
Evening in the moutains op.68 n°4 56:40
Puck op.71 n°3 1:00:18
Peace of the woods op.71 n°4 1:02:14
Gone op.71 n°6 1:07:29
Remembrances op.71 n°7 1:09:59
Summer evening op.71 n°2 1:12:10
Notturno op.54 n°4 1:15:04
Sviatoslav Richter, piano
Live recording, Athens & Kozani, X.1993
그리그, 서정 소곡집 "Lyriske stykker(Lyric Pieces)"
그리그는 피아노에 뛰어난 모친의 영향을 받아 어린 시절부터 피아노와 가까이 지냈다. 그가 좋아하는 레퍼토리는 특히 쇼팽이었으며 소품 형식 속에 델리킷한 시정이 아로새겨진 작품에 마음이 끌렸다. 성장하여 작곡가가 되고부터는 많은 수의 피아노 작품을 썼지만, 구성감이 뛰어난 대곡은 협주곡과 소나타 1곡씩에 머물고 기타는 소품의 형태라든가, 변주곡의 형식을 응용한 것이 많다. 특히 그의 작곡 활동 기간의 거의 모두에 걸쳐 기회를 타고서 6곡 내지 8곡씩 한꺼번에 출판된 제 10집, 계 66곡의 <서정 소곡집> 에 그리그의 서정이 풍부한 피아노 소품 작곡가로서의 면목이 마음껏 발휘되고 있다. 쇼팽에 경도한 그리그이긴 했지만 <서정 소곡집>에 그리그의 서정이 풍부한 피아노의 소품 작곡가로서의 면목이 마음껏 발휘되고 있다.
쇼팽에 경도한 그리그이긴 했지만 <서정 소곡집>을 이룬 대부분의 소품은 쇼팽의 소곡과 같은 실내 정서적인 것이 아니고 자연계, 즉 유유한 산야와 해변의 풍물이나, 소박한 농민, 목동 생활의 반영 및 자연인 그 자신의 그때 그때의 심정을 토로한 것이다.
사교적인 타입인 쇼팽의 음악에 비해 그리이크의 작품은 어디까지나 야인의 스케치라고 말할 수 있겠다. 그는 이렇게 해서 기회를 엿보아 쓴 소곡을 몇 곡씩 통합해서 하나의 작품 번호 속에 넣을 때 서로 유기적인 관련을 가지고 배열하는 데에는 배려를 하지 않았다. 즉 어느 시리이즈를 통해서나 연주되는 것이 전제가 되어 있지는 않다. 수시로 적당한 곡을 짜 맞춰서 연주하면 되는 것이다.
<서정 소곡집>의 각 소품은 모두 제목이 붙어 있다.
타이틀에는 '왈츠'라든가 '스케르쪼'와 같은 곡의 형식이나 개념을 나타내는 것도 있는 한편, 온통 스케치의 제목과 같이 특정된 풍경을 나타내고 있는 것도 있다. 또한 민족적인 소재에서 취해진 타이틀(예컨대 '할링'이란 무곡)도 있고, 작곡가의 심리적인 생각(<지나간 나날>이라든가 <멜랑콜리>)과 같은 것도 있어 다양하다. 또한 각 곡의 타이틀은 본래 노르웨이어로 되어 있지만, 이탈리아어나 독일어에서 차용한 것을 사용하고 있는 것도 있다.
작곡의 시기
라이프치히 음악원에서 수업(1858 ~ 1862)을 끝내고 귀국하여 신진 기예의 피아니스트 및 작곡가로서 활약을 개시한 후 1864년에 '노르웨이의 선율'(현재 <서정 소곡집> 제 1집의 6곡)이 단독으로 출판되었다. 그러나 그 3년 후인 1867년에 이 곡을 합쳐서 쓴 7곡과 함께 <서정 소곡집> 제1집 작품12로서 출판하였다.
그 이후에 그는 피아노 협주곡이나 입센의 극 <페르 귄트>를 위한 음악의 작곡 등, 그에 덧붙여서 지휘자로서의 활동에 쫓기어 일기식의 <서정 소곡집> 제1집 작품12로서 출판하였다.
그 이후에 그는 피아노 협주곡이나 입센의 극 <페르 귄크>를 위한 음악의 작곡 등, 그에 덧붙여서 지휘자로서의 활동에 쫓기어 일기식의 <서정 소곡집>의 계속은 자칫하면 정체되기 쉬웠다. '제1집'에서 무려 16년이 지난 1883년에야 가까스로 '제2집' 작품38이 8곡의 시리이즈로써 출판되었다. 그 후는 곧 이어서 그 다음해 1884년에 '제3집' 작품 43이 6곡을 모아서 완성되었으며, 후자의 출판은 1886년으로 이월되었다.
그 후 1888년에 '제4집' 작품47(7곡), 91년에 '제5집' 작품54(6곡), 93년에 '제6집' 작품57(6곡)로 이어졌고, 다시 95년에 '제7집' 작품62(6곡), 96년데 '제8집' 작품65(6곡), 98년에 '제9집(6곡)' 등, 모두 접근된 간격으로 묶여졌다. 이윽고 세기가 바뀐 1901년에 '제10집' 작품71이 7곡을 수록해서 완성된 후에는 그에게 결국 6년간의 여생이 있었지만 속편은 출현하지 않았다. 최후의 '제10집'의 마지막 2곡이 각각 '과거'와 '여운'이라는 타이틀이지만 이제 와서 생각하면 이 시리이즈의 종말을 가리키는 것 같아서 암시적이다.
총괄하면 전 10집, 66곡은 그가 21세에 해당되는 1864년부터 무려 37년간에 걸쳐 기회를 엿보아 흥미가 기울어지는 그대로 써서 엮어 온 음의 스케치 내지는 수상이다. 첫 연주의 기록은 판명되어 있는 것도 있지만 대부분이 불명이다.